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아동의 Rorschach Card Ⅳ와 Ⅶ에 대한 반응 = Response of Rorschach Card Ⅳ and Ⅶ in Korean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432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성격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것은 부모의 존재로서, 모친으로부터의 여성에 대한 동일화와 부친으로부터의 남성에 대한 동일화를 통하여 성에 대한 동일화와 자아에 대한개념...

      성격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것은 부모의 존재로서, 모친으로부터의 여성에 대한 동일화와 부친으로부터의 남성에 대한 동일화를 통하여 성에 대한 동일화와 자아에 대한개념의 바탕이 이루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어린 시절에 부모로부터의 성에 대한 동일화가 올바로 이루워지지 못한 아동에 있어서는 부모의 상징가를 지니고 있다고 가정한 IV와 VII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각기의 card가 상징하는 적절한 성에 대한 반응이 나오지 않으리라는 2차적인 가설이 또다시 설정될 수 있는 바, 그러한 가설을 확실시 하기 위하여 저자는 부모의 유무에 따라 나눈 group별 아동의 반응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V에 대한 긍정반응은 부모생존 group 58%, 고아 group 37%, 편부 group 36%, 편모 group 20%로 나타났다.
      (2) VII에 대한 긍정반응은 부모생존 group 70%, 편모 group 56%, 편부 group 48%, 고아 group 39%로 나타났다.
      (3) IV에 대한 부친 유무별 긍정반응 비교에서 부친 생존 group 53%, 부친사망 group 27%이었다.
      (4) VII에 대한 모친 유무별 긍정반응 비교에서 모친생존 group 63%, 모친사망 group 41%이었다.
      (5) IV에 대한 무반응 비교에서 편모 group 34%, 고아 group 15%, 편부 group 16%, 부모생존 group 11%이었다.
      (6) VII에 대한 무반응 비교에서 고아 group 33%, 편모 group 32%, 편부 group 28%, 부모생존 group 9%이었다.
      (7) IV와 VII에 대한 반응수 비교에 있어서 평균 반응수는 부모생존 group 2.6, 편부 group 1.8, 편모 group 1.7, 고아 group 1.6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1) 이제까지 주로 외국에서 연구된 상징가 가설에 대하여, 문화적 배경이 다른 한국에 있어서도 신뢰도 및 타당도가 수립되기 위해서는 더 큰 규모의 광범위한 대상에게 실시해 보아야 한다.
      (2) 실제로 반응하는 내용이 어떻게 부친과 모친을 상징하는 의미로서 해석될 수 있는 지에 관해 좀 더 깊은 심리학적인 연구가 있어야 한다.
      (3) 가설검증을 위한 방법에 계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한다.
      (4) 상징가 가설이 실제 이용될 수 있는 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한다. (끝으로 본연구를 함에 있어서 시종일관 지도와 편달을 하여 주신 朴助烈교수님과 후원해 주신 동부 교육구청의 조선생님, 소년의 집 양정, 연미, 연산, 연제국민학교 교장선생님들께 深甚한 謝意를 드리는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important for psychiatric nurses to know the meaning and method of various projective tests which give basic information about personality. The Rorschach test is the best known of this type of psychological test. Among the 10 Rorschach cards, IV...

      It is important for psychiatric nurses to know the meaning and method of various projective tests which give basic information about personality. The Rorschach test is the best known of this type of psychological test. Among the 10 Rorschach cards, IV card(IV) and VII card (VII) is regarded to have symbolic meaning for father and mother resp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ymbolic meaning of these cards through analysis of the responses to IV and VII.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74 children who have parents (group I), 25 children who have only father (group II), 82 children who have only mother (group III), 57 children who have no parents (group (group IV).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Positive response for IV : group I58%, group IV 37%, group II 36%, group III 20%. (53% of children who have father, 27% of children who have no father.)
      (2) Positive response for VII : group I 70%, group III 56%, group II 48%, group IV 39%. (63% of children who have mother, 41% of children who have no mother)
      (3) Failure or reject for IV : group III 34%, group IV 18%, group II 16%, group I11%.
      (4) Failure or reject for VII : group IV 33%, group III 32%, group II 28%, group I 9%.
      (5) Average total response for IV and VII : group I 2.6, group II 1.8, group III 1.7, group IV 1.6, Major suggestion for further study is to have more larger and wider scale research for establishment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hypothesis which has been studied in foreign countries main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방법과 대상
      • 3. 반응결과
      • (1) Group별 반응비교
      • (2) Ⅳ에 대한 부친 유무별 반응비교
      • 1. 서론
      • 2. 방법과 대상
      • 3. 반응결과
      • (1) Group별 반응비교
      • (2) Ⅳ에 대한 부친 유무별 반응비교
      • (3) Ⅶ에 대한 모친 유무별 반응비교
      • (4) Group별 무반응 비교
      • (5) Group별 반응수 비교
      • 4. 고찰
      • 5. 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