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는 21세기에 접어 들어서 급속히 다문화사회로 변화되고 있다. 그래서 그 어느 때보다 다문화교육이 일반 교육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기독교교육에서도 중요해 지고 있다. 그런데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87240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7-61(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는 21세기에 접어 들어서 급속히 다문화사회로 변화되고 있다. 그래서 그 어느 때보다 다문화교육이 일반 교육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기독교교육에서도 중요해 지고 있다. 그런데 지...
한국사회는 21세기에 접어 들어서 급속히 다문화사회로 변화되고 있다. 그래서 그 어느 때보다 다문화교육이 일반 교육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기독교교육에서도 중요해 지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한국에서 논의되는 다문화교육은 서양의 다문교육이론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캐슬-밀리가 분류한 유형 중 ‘다문화주의’ 모델이 그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학계에 이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확산되면서 한국 다문화교육을 위한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문화교육 담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한 뒤, 그 토대 위에서 한국적 다문화주의로서의 종교평화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주제를 탐색하였다. 첫째,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과 관련하여 현재 진행되는 다문화교육 담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현재 논의되는 다문화교육 이론들은 대체로 기여적 접근과 부가적 접근에 의해 진행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변혁적 접근과 사회적 실천 접근, 특히 종교대화 및 종교평화를 강조하는 재개념주의 유형에 따른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둘째, 본 논문은 다문화주의의 한계와 그 대안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자국민 우선주의 정책이 전 세계의 다문화교육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현실에서,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본 논문은 한국 다문화교육을 위해 ‘풍류도’를 중심으로 한 종교평화모델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종교대화를 중심으로 한 다문화교육 모델인 동시에 전세계에 흩어진 800만 명에 이르는 디아스포라-한국인에게 다문화적 자아정체성을 제시하는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21st century. More than ever, multicultural education is becoming important not only in general education but also in Christian education. Howev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21st century. More than ever, multicultural education is becoming important not only in general education but also in Christian education. Howev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in Korea has shown an attitude of accepting the Western multicultural education uncritically. Especially, the “multiculturalism” model among the types classified by Castle & Miller is at the center.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cour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n presents a “Korean multiculturalism model” on the basis of the discourse.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explored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themes. First,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d the current discourse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relation to Christian education.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ies have been pointed out to be largely governed by the contribution approach and the additive approach.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ransformation approach and social action approach, especially the type of reconceptualists approach emphasizing religious dialogue and religious peace. Second,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d the limits of multiculturalism and its alternatives. In particular, the US Trump Administration`s nationality preference policy called by “America First” has had a great impact on multicultural education around the world, suggesting the need for the Korean multiculturalism. Third, this study presented a “pungryudo(風流道) model” as a concrete model of religious peace model as a model of Korean multiculturalism. This is a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 centering on religious dialogue and can be used as a model to show the multicultural self-identity of diaspora-Koreans, who are scattered around the world, to 8 mill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샤갈(Marc Chagall)의 그림 속에 투영된 종교성이 기독교교육에 주는 함의
기독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감사성향 및 부모관계의 조절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