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해방 전 시기의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죽음의식을 규명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고 있다. 한용운, 정지용, 윤동주 시인이 형상화하는 죽음의식은 그들이 추구하였던 각각의 종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589038
200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해방 전 시기의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죽음의식을 규명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고 있다. 한용운, 정지용, 윤동주 시인이 형상화하는 죽음의식은 그들이 추구하였던 각각의 종교...
본 연구는 해방 전 시기의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죽음의식을 규명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고 있다. 한용운, 정지용, 윤동주 시인이 형상화하는 죽음의식은 그들이 추구하였던 각각의 종교적 맥락과 이어진다. 한용운의 죽음의식은 불교적인 생사관과 연결된다. 정지용의 죽음의식은 노장적인 생사관과 연결된다. 윤동주의 죽음의식은 기독교적 생사관과 연결된다. 죽음의 문제에 관하여 종교만큼 깊이 관여하는 분야는 없다. 이 세상의 모든 종교는 그들 나름대로의 설득력 있는 생사관을 내세우고 있으며, 이는 포교 활동의 가장 중요한 교리로서 작용한다. 한용운, 정지용, 윤동주의 죽음의식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종교관에 관하여서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용운 시의 죽음의식은 {님의 침묵}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역설과 반어의 교직을 통하여 오랜 세월 동안 불교적 사유로써 진리의 깊이를 체득한 한용운의 시는 가아(假我)를 버리고 진아(眞我)를 찾아가는 수행자의 구도과정을 보여준다. 그의 시에 나타난 죽음의식은 죽음의 비극성을 극복하여 생사의 순환론적인 이치를 찾아가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정지용 시의 죽음의식은 {백록담}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그는 자연 공간으로 초월하는 자세를 통하여 식민지라는 고달픈 시대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 죽음은 통과의례적이고 정신적인 죽음 의식을 지향한다. 윤동주 시의 죽음의식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그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다. 그의 시에는 기독교적 세계에 깊이 침윤된 세계 인식이 나타난다. 초기에 그의 죽음의식은 고독하거나 우울한 양상을 지니기도 하였으나, 마침내 그것은 부활을 향한 동경으로 발전하였다.
한용운, 정지용, 윤동주의 시에 나타나는 죽음의식을 한국현대시 전체의 죽음의식을 대표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는 없다. 그러나 각기 불교적 세계관, 노장적 세계관, 기독교적 세계관에 대하여 독특한 사유의 깊이를 보이고 있는 이들의 작품 세계에 나타난 죽음의식을 탐색하는 일은 한국현대시의 넓이와 깊이를 한꺼번에 이해할 수 있는 첩경이 될 것이다. 그동안 한국시의 죽음의식을 연구한 논문은 간혹 발표되었으나 한국시에 나타난 죽음의식의 실체를 종교사상적인 측면에서 궁구한 작업은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처럼 여러 종교가 갈등 없이 존재하는 사회적 배경 속에서 문학이 흡수한 종교 사상에 대한 이해는 우리 문학의 정신적 배경 탐색을 위해서 필요하다.
국문 초록 (Abstract)
Ⅰ. 당초 연구계획 1. 당초 연구목적 및 배경 2. 당초 연구내용, 범위 및 방법 Ⅱ. 실적 및 향후 계획 1. 당초 연구계획 대비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내용 및 결과 2. 당초 연...
Ⅰ. 당초 연구계획
1. 당초 연구목적 및 배경
2. 당초 연구내용, 범위 및 방법
Ⅱ. 실적 및 향후 계획
1. 당초 연구계획 대비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내용 및 결과
2. 당초 연구계획 대비 향후 연구내용 · 방법 · 기대효과
3.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