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대한 기독교교육학/교수학적인 이론적 접근이 성경교수학(Bibeldidaktik)이다. 성경교수학의 역사적 발전단계는 기독교교육학의 발전단계에서 제기된 시대의 과제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799440
윤화석 (백석대학교)
2014
Korean
Bibledidactics ; Bible theology and hermeneutics ; experience ; methodology ; reflection ; 성경교수학 ; 성경신학과 해석학 ; 경험 ; 방법론 ; 성찰
KCI등재
학술저널
199-230(3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대한 기독교교육학/교수학적인 이론적 접근이 성경교수학(Bibeldidaktik)이다. 성경교수학의 역사적 발전단계는 기독교교육학의 발전단계에서 제기된 시대의 과제와 ...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대한 기독교교육학/교수학적인 이론적 접근이 성경교수학(Bibeldidaktik)이다. 성경교수학의 역사적 발전단계는 기독교교육학의 발전단계에서 제기된 시대의 과제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당시의 신학과 사상적인 문제들에 대한 논의와도 맥을 같이하고 있다.
독일을 중심한 기존의 성경신학적-해석학적 논의를 이해하고, 한국에서의 성경교수학적 논의와 접근의 토대를 위하여 성경해석방법에 대한 다양하고 상호보완적 혹은 모순된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기독교교육학계 내에서의 성경교수학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기독교교육학자들이 성경 그 자체와 신학에 대한 관심은 지대한 반면에, 성경교수학에 대한 이론적 접근은 상대적으로 핵심논의에서 벗어나 있다. 이는 기존의 인식이 성경교수학을 단지 성경공부를 위한 방법론으로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성경교수학의 이론을 위한 전제가 바로 성경해석학에 대한 학습자의 올바른 이해와 새로운 지평의 개방, 즉 학습자의 경험과 연관된 교수-방법적 접근 이다. 성경교수학을 위한 성경해석의 다양한 방법들에 대한 논의를 위하여 독일의 기독교교육학자인 Horst Klaus Berg가 정리한 기존의 다양한 성경해석 방법들의 일부분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 방법론들에 대한 필자의 성찰적 견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oretical approximation of Religious Education/didactics about the Bible, the Word of God, is the Bibledidactics. The historical developmentphase of Bibledidactics is on the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epochaltypischen challenges of the time th...
The theoretical approximation of Religious Education/didactics about the Bible, the Word of God, is the Bibledidactics. The historical developmentphase of Bibledidactics is on the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epochaltypischen challenges of the time that had arisen in the developmentphase of Religious Education. And this trend is consistent with the discussion of the temporal issues in theology and thought in unison.
We want to take the diverse complementary and contradictory theory into consideration by understanding the existing debate in the Bible, theology and hermeneutics in Germany. In the inner circle of religious educators in Korea is the discussion about the Bibledidactics relatively rare. The theoretical approach about the Bibledidactics is relatively not in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although the religious educators the strong interest about the Bible and theology have. This cause comes from the existing knowledge that the Bibledidactics is only the teaching method for Bible study.
The premise for the theory of Bibledidactics is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openness about the new horizon, the didactic-methodological approximation in relation with the experience of learning students. For the discussion about the different methods of biblical hermeneutics is here the existing bibelhermeneutische methods reflective, that the German religious educator Horst Klaus Berg has discussed with the Bible theology and hermeneutics about it. And I put my critical reflection in the focussing about this discuss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용원, "한국에서의 기독교교육의 역사와과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0) : 2004
2 고원석, "아동지향적, 생동적, 변중법적: 마틴 랑의 '투아 레스아기투어’의 성서교수법"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3) : 2006
3 윤화석, "기초화 이론에 기반한 성경교수법의 이해" 한국복음주의신학회 48 : 128-151, 2008
4 Theifien, G., "Zur bibel motivieren. Aufgaben, Inhake und Methoden einer offenen Bi-beldidaktik" Giiterloher Verlaghaus 2003
5 Frick, M, "Schwierige Bibeltexte im Religionsunterricht. Theoretische und empirische Elemente einer alttestamentlichen Bibeldidaktik jur die Primantufe" V&R unipress 2005
6 Muller, Peter., "Schliissel zur Bibel : Eine Einfuhrung in die Bibeldidaktik" Calwer Verlag 2009
7 Hilger, G, "Religionsdidaktik Grundschtde:Handbuch jur Die Praxis des evangelischen und katholischen Religionsunterricht" Calwer Verlag 2010
8 Berg, Horst K., "Neues Handbuch religionspadagogischer Grundbegriffe" Kosel 2002
9 Wischmeyer, Oda., "Lexikon der Bibelhermeneutik : Begriffe-Methoden-Theorien-Kon-zepte" Walter de Gruyter 2009
10 Niehl, Franz W., "Leben lemen mit der BibeL Der Textkommmtar zu Meine SchuUfibel" Kosel Verlag 2003
1 강용원, "한국에서의 기독교교육의 역사와과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0) : 2004
2 고원석, "아동지향적, 생동적, 변중법적: 마틴 랑의 '투아 레스아기투어’의 성서교수법"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3) : 2006
3 윤화석, "기초화 이론에 기반한 성경교수법의 이해" 한국복음주의신학회 48 : 128-151, 2008
4 Theifien, G., "Zur bibel motivieren. Aufgaben, Inhake und Methoden einer offenen Bi-beldidaktik" Giiterloher Verlaghaus 2003
5 Frick, M, "Schwierige Bibeltexte im Religionsunterricht. Theoretische und empirische Elemente einer alttestamentlichen Bibeldidaktik jur die Primantufe" V&R unipress 2005
6 Muller, Peter., "Schliissel zur Bibel : Eine Einfuhrung in die Bibeldidaktik" Calwer Verlag 2009
7 Hilger, G, "Religionsdidaktik Grundschtde:Handbuch jur Die Praxis des evangelischen und katholischen Religionsunterricht" Calwer Verlag 2010
8 Berg, Horst K., "Neues Handbuch religionspadagogischer Grundbegriffe" Kosel 2002
9 Wischmeyer, Oda., "Lexikon der Bibelhermeneutik : Begriffe-Methoden-Theorien-Kon-zepte" Walter de Gruyter 2009
10 Niehl, Franz W., "Leben lemen mit der BibeL Der Textkommmtar zu Meine SchuUfibel" Kosel Verlag 2003
11 Berg, Horst K., "Grundriss der Bibeldidaktik. Konzepte-Modelle-Methoden" Kosel/Calwer Verlag 1993
12 Lachmann, R., "Ekmentare Bibeltexte. Exegetisch-system-atisch-didaktisch" Vandenhoeck & Ruprecht 2005
13 Baldermann, I., "Einjuhrungin die biblischm Didaktik" WBG 2007
14 Berg, Horst K., "Ein Wort tuieFetter : Wege lebendigerBibelauslegung" Kosel/Calwer Verlag 1991
15 Wegenast, Klaus., "Die empirische Wendung in der Religionspadagogik"
16 Schmidt, T., "Die Bibel als Medium religioser Bildung. Kulturwissenscaftliche und religionspadagogische Perspektiven. Arbeiten zur Religionspadagogik (Bd, 34)" V&R unipress 2008
17 Theis, J., "Biblische Texte verstehen lemen. Eine bibeldidaktische Studie mit einer-empirischen Untersuchung zum Gleichnis vom barmherzigen Samariter. Praktische Theologie heute (Bd. 64)" Kohlhammer 200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3-3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 |
2014-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6-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 |
2006-06-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87 | 1.101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