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NFTM-TRIZ모형 적용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성향, 수업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분석 = Effect Analysis of NFTM-TRIZ Model on the Creative Disposition, Immersion in Class,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94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NFTM-TRIZ model had impacts on creativedisposition, immersion in class,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re is a significantdifference by variables including gender, majors, satisfaction level in major andacademic grades, after applying the NFTM-TRIZ model over 164 students in firstyear classe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way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First,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and the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 former showed a significantdifference in the sub-areas of creative disposition including spontaneity, creativity,obsession and curiosity, contrary to the latter which was taught in teacher-ledlecture. It suggests that divergent and convergent activities in the NFTM-TRIZmodel have positive effects on creative disposi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re/post test on the experimental group towhich the adjusted NFTM-TRIZ model was applie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found in the sub-areas of creative disposition including spontaneity, creativity,obsession, and curiosity, the sub-areas of immersion in class including cognitiveimmersion and emotional immersion, and the sub-area of academic self-efficacy likeself-regulated efficacy.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NFTM-TRIZ model has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post test to the NFTM-TRIZ appliedexperimental group to find out a significant difference by variables, a significantdifference was found in academic grades and satisfaction level in major while itwas not found in gender and major. This implies that ways to raise academicgrades and satisfaction level in major can be sought by improving the sub-areas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e disposition, immersion in class,and academic self-efficacy.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NFTM-TRIZ model had impacts on creativedisposition, immersion in class,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re is a significantdifference by variables including gender, majors, satisfaction level in major andacademic grades, ...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NFTM-TRIZ model had impacts on creativedisposition, immersion in class,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re is a significantdifference by variables including gender, majors, satisfaction level in major andacademic grades, after applying the NFTM-TRIZ model over 164 students in firstyear classe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way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First,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and the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 former showed a significantdifference in the sub-areas of creative disposition including spontaneity, creativity,obsession and curiosity, contrary to the latter which was taught in teacher-ledlecture. It suggests that divergent and convergent activities in the NFTM-TRIZmodel have positive effects on creative disposi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re/post test on the experimental group towhich the adjusted NFTM-TRIZ model was applie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found in the sub-areas of creative disposition including spontaneity, creativity,obsession, and curiosity, the sub-areas of immersion in class including cognitiveimmersion and emotional immersion, and the sub-area of academic self-efficacy likeself-regulated efficacy.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NFTM-TRIZ model has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post test to the NFTM-TRIZ appliedexperimental group to find out a significant difference by variables, a significantdifference was found in academic grades and satisfaction level in major while itwas not found in gender and major. This implies that ways to raise academicgrades and satisfaction level in major can be sought by improving the sub-areas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e disposition, immersion in class,and academic self-effic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164명을 대상으로 NFTM-TRIZ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결과 창의성향, 수업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는지와 성별, 전공, 전공 만족도, 학업 성적 변인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는 특성화고의 교수·학습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해본 결과 NFTM-TRIZ교수·학습 모형을적용한 실험집단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과 달리 창의성향의 하위영역인 자발성, 독창성, 집착성, 호기심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NFTM-TRIZ교수·학습 모형에서의 발산적·수렴적 활동이 특성화고 학생인 실험집단에게 창의성향에 긍정적 효과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 수준에 맞게 수정한 NFTM-TRIZ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에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창의성향의 하위 영역인 자발성,독창성, 집착성, 호기심과 수업몰입의 하위영역인 인지몰입, 감정몰입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인 자기조절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NFTM-TRIZ교수·학습 모형이 특성화고의 교수·학습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주고 있다고 해석된다.
      셋째, NFTM-TRIZ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결과를 특성화고 학생의 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업성적과전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성별과 전공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이는 창의성향, 수업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하위영역을 향상시켜 학업성적과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164명을 대상으로 NFTM-TRIZ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결과 창의성향, 수업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는지와 성별, 전공, 전공 만족도, 학업 성적 변인별로 유...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164명을 대상으로 NFTM-TRIZ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결과 창의성향, 수업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는지와 성별, 전공, 전공 만족도, 학업 성적 변인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는 특성화고의 교수·학습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해본 결과 NFTM-TRIZ교수·학습 모형을적용한 실험집단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과 달리 창의성향의 하위영역인 자발성, 독창성, 집착성, 호기심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NFTM-TRIZ교수·학습 모형에서의 발산적·수렴적 활동이 특성화고 학생인 실험집단에게 창의성향에 긍정적 효과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 수준에 맞게 수정한 NFTM-TRIZ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에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창의성향의 하위 영역인 자발성,독창성, 집착성, 호기심과 수업몰입의 하위영역인 인지몰입, 감정몰입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인 자기조절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NFTM-TRIZ교수·학습 모형이 특성화고의 교수·학습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주고 있다고 해석된다.
      셋째, NFTM-TRIZ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결과를 특성화고 학생의 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업성적과전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성별과 전공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이는 창의성향, 수업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하위영역을 향상시켜 학업성적과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양분, "학교 교육수준 및 실태 분석 연구 : 고등학교 학교교육문제 진단 및개선 전략수립 지원을 위한 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2003

      2 남순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배상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과 학습심리변인 및 교사 수업행동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4 강영혜, "특성화 고등학교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5 류성희,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계열별 교육에 따른 진로의식 차이 연구" 동아대학교 2007

      6 최미숙,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독서성향과 창의성향과의 관계 연구" 목포대학교 2003

      7 박하진, "초등 수학영재의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성향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2011

      8 "청소년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3 (13): 35-60, 2006

      9 박명수, "지식기반서비스업의 고용구조 변화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4

      10 민상기,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학습몰입과 학급풍토의 관계" 서울대학교 2007

      11 허재준, "산업구조 변화와 일자리 변동" 2008 (2008): 74-77, 2008

      12 박혜진, "메타인지, 몰입과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13 (13): 205-224, 2010

      13 이경은, "대학생의 창의적 인성과 학습몰입의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0 (10): 45-59, 2010

      14 송윤희,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몰입,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와의 관계" 원격교육연구소 10 (10): 105-123, 2014

      15 김성식, "계층간 교육격차의 양상" 22 (22): 52-66, 2007

      16 정경순, "TRIZ기법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2012

      17 권현종, "TRIZ 대학생 창의교육 이론서" 두양사 2007

      18 M.M.Zinovkina, "NFTM-TRIZ의 이론과 실제" GS인터비젼 2013

      19 김훈희, "NFTM-TRIZ에 근거한 지속적인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수업설계모형 구안"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74-481, 2013

      20 남현욱, "NFTM-TRIZ를 적용한 초등학생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3 (13): 171-190, 2007

      21 김현수, "NFTM-TRIZ 지속적인 창의력 시스템" 인터비젼 2005

      22 Schilling, J. C.,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Variability and contextual sources Related to the academic Engagement of Minority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Adolescents" University of Virginia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2 1.52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2.24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