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지영, "해방 후 전통적 지식인의 탈식민 民族(詩文學)史의 기획 —조지훈의 반공/보수/민족주의와 한국현대시문학사 서술" 반교어문학회 (37) : 287-324, 2014
2 김윤태, "한국의 보수주의자 조지훈" 역사비평사 57 : 18-52, 2001
3 인권환, "한국사시민강좌 50" 일조각 344-359, 2012
4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 연구" 역사비평사 1992
5 신주백, "한국 역사학의 기원―근현대 역사학의 제도⋅주체⋅인식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휴머니스트 2016
6 이지원, "한국 근대 문화사상사 연구" 혜안 2007
7 조지훈, "조지훈전집 8 : 한국학연구" 나남 1996
8 조지훈, "조지훈전집 7 : 한국문화사 서설" 나남 1996
9 조지훈, "조지훈전집 6 : 한국민족운동사" 나남 1996
10 조지훈, "조지훈전집 5 : 지조론" 나남 1996
1 박지영, "해방 후 전통적 지식인의 탈식민 民族(詩文學)史의 기획 —조지훈의 반공/보수/민족주의와 한국현대시문학사 서술" 반교어문학회 (37) : 287-324, 2014
2 김윤태, "한국의 보수주의자 조지훈" 역사비평사 57 : 18-52, 2001
3 인권환, "한국사시민강좌 50" 일조각 344-359, 2012
4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 연구" 역사비평사 1992
5 신주백, "한국 역사학의 기원―근현대 역사학의 제도⋅주체⋅인식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휴머니스트 2016
6 이지원, "한국 근대 문화사상사 연구" 혜안 2007
7 조지훈, "조지훈전집 8 : 한국학연구" 나남 1996
8 조지훈, "조지훈전집 7 : 한국문화사 서설" 나남 1996
9 조지훈, "조지훈전집 6 : 한국민족운동사" 나남 1996
10 조지훈, "조지훈전집 5 : 지조론" 나남 1996
11 조지훈, "조지훈전집 4 : 수필의 미학" 나남 1996
12 조지훈, "조지훈전집 3 : 문학론" 나남 1996
13 조지훈, "조지훈전집 2 : 시의 원리" 나남 1996
14 조지훈, "조지훈전집 1 : 시" 나남 1996
15 김정배, "조지훈의 역사관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2 : 107-128, 1989
16 김기승, "조지훈의 민족운동사 인식과 동학관" 동학학회 6 : 355-396, 2003
17 인권환, "조지훈의 민속학 연구와 그 학사적 의의" 한국민속학회 28 : 233-251, 1996
18 남근우, "조지훈의 '민족문화학'" 한국문학연구소 (18) : 121-137, 1996
19 김종길, "조지훈 연구"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8
20 "조선일보"
21 홍종욱, "제국의 위협자들 : 1930-40년대 일제의 ‘조선 연구’ 탄압에 맞서 조선의 문화, 전통, 학문을 지키려 고투한 지식인들"
22 허수, "이돈화 연구" 역사비평사 2011
23 김용섭, "역사의 오솔길을 가면서" 지식산업사 2011
24 강만길, "역사가의 시간" 창비 2010
25 허은,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1950년대 문화의 자유와 통제"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9
26 박대재, "손진태의 사회문화사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78) : 195-241, 2018
27 차승기, "반근대적 상상력의 임계들―식민지 조선 담론장에서의 전통⋅세계⋅주체" 푸른역사 2004
28 "동아일보"
29 김건우, "대한민국의 설계자들―학병세대와 한국 우익의 기원" 느티나무책방 2017
30 정혜린, "구수한 큰 맛: 번역된 자연미" 민족문화연구원 (88) : 53-78, 2020
31 허지향, "경성제국대학 ‘철학, 철학사 제1’ 강좌 교수 아베 요시시게(安倍能成)의 학문과 현실" 대동문화연구원 (100) : 477-508, 2017
32 조형열, "20세기 전환기 동아시아 지식장과 근대한국학 탄생의 계보" 소명출판 2020
33 류시현, "1940~60년대 시대의 ‘불안’과 조지훈의 대응"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7) : 385-411, 2012
34 조형열, "1930년대 조선 ‘역사과학’의 학술문화운동론적 분석" 고려대학교 2015
35 천관우, "(한국사 씸포지움) 한국사관은 가능한가―전환기에서 본 民族史眼" 사상계사 117 :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