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석현, "조선후기 當食不食 논의와 그 의미" 국학연구원 (189) : 173-205, 2019
2 송지원, "조선시대 일식 월식을 구(救)하는 의례" 40 : 120-134, 2007
3 노인환, "조선시대 濟州牧使의 문서 행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4) : 10-37, 2015
4 김병구, "조선 후기 漕運船 致敗의 보고와 처리 - 1867년 公忠道水軍節度使 李志鼎 啓本을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58 : 1-28, 2021
5 노인환, "조선 후기 水原府留守의 문서 행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9) : 236-271, 2018
6 이국진, "일식과 월식을 소재로 한 한국 한시의 양상과 의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 : 63-108, 2016
7 이면우, "서운관지" 소명출판 2003
8 "黃海監營狀啓謄錄(장서각 K2‒3676)"
9 "高麗史"
10 "關西啓錄(장서각 K2‒3632)"
1 경석현, "조선후기 當食不食 논의와 그 의미" 국학연구원 (189) : 173-205, 2019
2 송지원, "조선시대 일식 월식을 구(救)하는 의례" 40 : 120-134, 2007
3 노인환, "조선시대 濟州牧使의 문서 행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4) : 10-37, 2015
4 김병구, "조선 후기 漕運船 致敗의 보고와 처리 - 1867년 公忠道水軍節度使 李志鼎 啓本을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58 : 1-28, 2021
5 노인환, "조선 후기 水原府留守의 문서 행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9) : 236-271, 2018
6 이국진, "일식과 월식을 소재로 한 한국 한시의 양상과 의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 : 63-108, 2016
7 이면우, "서운관지" 소명출판 2003
8 "黃海監營狀啓謄錄(장서각 K2‒3676)"
9 "高麗史"
10 "關西啓錄(장서각 K2‒3632)"
11 "關東啓錄(규장각 古4255.511)"
12 "經國大典・經國大典註解・大典會通・六典條例・銀臺條例・銀臺便攷"
13 "統制營啓錄(규장각 奎15101)"
14 "禮房謄錄(규장각 奎21462)"
15 "湖南啓錄(장서각 K2‒3675)"
16 "江華留營啓錄(장서각 K2‒3623)"
17 "江原監營啓錄(규장각 奎15106)"
18 "東營狀啓謄錄(장서각 K23309)"
19 "朝鮮王朝實錄"
20 조미은, "朝鮮時代 王世子 代理聽政期 文書 硏究" 한국고문서학회 36 : 55-96, 2010
21 구만옥, "朝鮮後期 日月蝕論의 變化" 한국사상사학회 19 : 2002
22 "春官通考(규장각 奎12272)"
23 "承政院日記"
24 "慶尙監營啓錄(규장각 奎15100)"
25 "忠淸監營啓錄(규장각 奎15092)"
2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完營日錄 一~三" 대동문화연구원 2002
27 "國朝續五禮儀(장서각 K2‒2101)"
28 "國朝五禮儀(장서각 K2‒2113)"
29 "咸鏡監營啓錄(장서각 K2‒3674)"
30 "各祭享祭物謄錄(규장각 奎12527)"
31 국립중앙박물관, "古文書(국왕・왕실문서, 관청문서)" 통천문화사 2004
32 서울대학교 도서관, "古文書 5(官府文書)" 서울대학교 도서관 1988
33 서울대학교 도서관, "古文書 2(官府文書)" 서울대학교 도서관 1987
34 "判付規式(규장각 가람古349.102‒P192)"
35 김슬기, "18세기 중반 조선 일월식 계산의 새로운 기준으로서 청나라 일월식 자문" 한국과학사학회 42 (42): 65-95,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