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일식과 월식의 대응과 문서 행정 = Dealing with Solar and Lunar Eclipses and Document Administration in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5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lar and lunar eclipses are natural phenomena that are occurred by the changes of the positions of sun and moon from the earth. Seowoongwan was responsible for the matters on solar and lunar eclipses in early Joseon dynasty, and Gwansanggam took this role since King Sejo. Gwansanggam predicted eclipses and submitted the notes for them to the king before 3 months. In 1769, King Youngjo made the rule to submit the notes for solar and lunar eclipses to the king before 5 months. Gwansanggam which belonged to Yejo reported to Yejo in writing after prediction of eclipses, and Yejo submitted it to the king. After receiving the approval from the king, Yejo delivered the dates of the events to Gwanchalsa, Tongjesa, and Yousoo, then, Gwanchalsa delivered them to local governors.
      Once solar and lunar eclipses were occurre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atched them and performed Gushik. The ceremony of Gushik was prepared in Guilshikui of Gukjooreui published in 1474, and changed on the place, dress code, personnel, request contents, and so on in Chilimguilshikui of Gukjosokoreui published in 1744. In 1785, the rules on Gushik for solar and lunar eclipses were discussed in the royal court and applied in Daejontongpyon, and the Gushik ceremony for lunar eclipse was newly developed. Local governors who performed Gushik during eclipses reported the status to Gwanchalsa and Tongjesa as Cheopjeong and Seomok. Then, Gwanchalsa and Tongjesa who were reported by the local governors reported to the king for eclipses by Gyebon.
      In this study, the processes dealing with solar and lunar eclipses by Gushik in the Joseon dynasty were reviewed. Also, the document administration were clarified on the major events of eclipses from central public offices to the king, from central to local public offices, and from local public offices to the king.
      번역하기

      Solar and lunar eclipses are natural phenomena that are occurred by the changes of the positions of sun and moon from the earth. Seowoongwan was responsible for the matters on solar and lunar eclipses in early Joseon dynasty, and Gwansanggam took this...

      Solar and lunar eclipses are natural phenomena that are occurred by the changes of the positions of sun and moon from the earth. Seowoongwan was responsible for the matters on solar and lunar eclipses in early Joseon dynasty, and Gwansanggam took this role since King Sejo. Gwansanggam predicted eclipses and submitted the notes for them to the king before 3 months. In 1769, King Youngjo made the rule to submit the notes for solar and lunar eclipses to the king before 5 months. Gwansanggam which belonged to Yejo reported to Yejo in writing after prediction of eclipses, and Yejo submitted it to the king. After receiving the approval from the king, Yejo delivered the dates of the events to Gwanchalsa, Tongjesa, and Yousoo, then, Gwanchalsa delivered them to local governors.
      Once solar and lunar eclipses were occurre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atched them and performed Gushik. The ceremony of Gushik was prepared in Guilshikui of Gukjooreui published in 1474, and changed on the place, dress code, personnel, request contents, and so on in Chilimguilshikui of Gukjosokoreui published in 1744. In 1785, the rules on Gushik for solar and lunar eclipses were discussed in the royal court and applied in Daejontongpyon, and the Gushik ceremony for lunar eclipse was newly developed. Local governors who performed Gushik during eclipses reported the status to Gwanchalsa and Tongjesa as Cheopjeong and Seomok. Then, Gwanchalsa and Tongjesa who were reported by the local governors reported to the king for eclipses by Gyebon.
      In this study, the processes dealing with solar and lunar eclipses by Gushik in the Joseon dynasty were reviewed. Also, the document administration were clarified on the major events of eclipses from central public offices to the king, from central to local public offices, and from local public offices to the k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식과 월식은 지구에서 바라보는 해와 달의 위치가 변화하면서 일어나는 자연 현상이다. 조선시대 일식과 월식에 대한 업무는 조선 초기에 서운관(書雲觀)에서 담당하였고, 세조 이후에 관상감(觀象監)에서 담당하였다. 관상감은 일식과 월식을 예측한 후 3개월 전에 초기(草記)를 국왕에게 입계(入啓)하였다. 1769년(영조 45) 영조는 5개월 전에 초기를 입계하는 것을 정식(定式)으로 삼았다. 예조에 소속된 관상감은 일식과 월식을 예측한 후에 첩정을 올려 예조에 보고하였고, 예조는 관상감의 첩정을 점련(粘連)한 계목(啓目)을 올려 국왕에게 보고하였다. 국왕의 결재를 받은 예조는 계목의 내용을 관찰사・통제사・유수에게 관(關)으로 전달하였고, 관찰사는 지방 수령에게 일식과 월식의 날짜를 전달하였다.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면 중앙 아문과 지방 아문에서는 일식과 월식을 살펴본 후에 구식을 거행하였다. 조선 전기에 일식을 구식하는 의식은 세종 연간에 마련하였고, 1474년(성종 5) 편찬된 󰡔국조오례의󰡕 구일식의(救日食儀)에서 정리되었다. 이후 1744년(영조 20) 편찬된 󰡔국조속오례의󰡕 친림구일식의에서 구식 장소, 복식, 담당 관원, 국왕에게 아뢰는 내용 등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1785년(정조 9) 정조는 일식과 월식을 구식하는 규정을 논의한 후에 󰡔대전통편󰡕에 반영하였고, 월식을 구식하는 의식을 새롭게 마련하였다.
      일식과 월식 이후에 문서 행정은 구식을 거행한 지방 수령이 관찰사에게 첩정과 서목을 올려 일식과 월식의 상황을 보고하였다. 지방 수령의 보고를 받은 관찰사와 통제사는 국왕에게 계본(啓本)을 올려 일식과 월식을 보고하였다. 관찰사와 통제사의 계본을 받은 국왕이 최종적으로 예조에 계하하면 일식과 월식이 일어난 후에 문서 행정이 완료되었다.
      본고는 조선시대 일식과 월식을 구식하는 의식을 통해 일식과 월식을 대응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일식과 월식이라는 중요한 사건에 대해 중앙 아문에서 국왕에게 보고하는 문서 행정, 중앙 아문에서 지방 아문으로 전달하는 문서 행정, 지방 아문에서 국왕에게 보고하는 문서 행정을 규명하였다.
      번역하기

      일식과 월식은 지구에서 바라보는 해와 달의 위치가 변화하면서 일어나는 자연 현상이다. 조선시대 일식과 월식에 대한 업무는 조선 초기에 서운관(書雲觀)에서 담당하였고, 세조 이후에 관...

      일식과 월식은 지구에서 바라보는 해와 달의 위치가 변화하면서 일어나는 자연 현상이다. 조선시대 일식과 월식에 대한 업무는 조선 초기에 서운관(書雲觀)에서 담당하였고, 세조 이후에 관상감(觀象監)에서 담당하였다. 관상감은 일식과 월식을 예측한 후 3개월 전에 초기(草記)를 국왕에게 입계(入啓)하였다. 1769년(영조 45) 영조는 5개월 전에 초기를 입계하는 것을 정식(定式)으로 삼았다. 예조에 소속된 관상감은 일식과 월식을 예측한 후에 첩정을 올려 예조에 보고하였고, 예조는 관상감의 첩정을 점련(粘連)한 계목(啓目)을 올려 국왕에게 보고하였다. 국왕의 결재를 받은 예조는 계목의 내용을 관찰사・통제사・유수에게 관(關)으로 전달하였고, 관찰사는 지방 수령에게 일식과 월식의 날짜를 전달하였다.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면 중앙 아문과 지방 아문에서는 일식과 월식을 살펴본 후에 구식을 거행하였다. 조선 전기에 일식을 구식하는 의식은 세종 연간에 마련하였고, 1474년(성종 5) 편찬된 󰡔국조오례의󰡕 구일식의(救日食儀)에서 정리되었다. 이후 1744년(영조 20) 편찬된 󰡔국조속오례의󰡕 친림구일식의에서 구식 장소, 복식, 담당 관원, 국왕에게 아뢰는 내용 등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1785년(정조 9) 정조는 일식과 월식을 구식하는 규정을 논의한 후에 󰡔대전통편󰡕에 반영하였고, 월식을 구식하는 의식을 새롭게 마련하였다.
      일식과 월식 이후에 문서 행정은 구식을 거행한 지방 수령이 관찰사에게 첩정과 서목을 올려 일식과 월식의 상황을 보고하였다. 지방 수령의 보고를 받은 관찰사와 통제사는 국왕에게 계본(啓本)을 올려 일식과 월식을 보고하였다. 관찰사와 통제사의 계본을 받은 국왕이 최종적으로 예조에 계하하면 일식과 월식이 일어난 후에 문서 행정이 완료되었다.
      본고는 조선시대 일식과 월식을 구식하는 의식을 통해 일식과 월식을 대응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일식과 월식이라는 중요한 사건에 대해 중앙 아문에서 국왕에게 보고하는 문서 행정, 중앙 아문에서 지방 아문으로 전달하는 문서 행정, 지방 아문에서 국왕에게 보고하는 문서 행정을 규명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경석현, "조선후기 當食不食 논의와 그 의미" 국학연구원 (189) : 173-205, 2019

      2 송지원, "조선시대 일식 월식을 구(救)하는 의례" 40 : 120-134, 2007

      3 노인환, "조선시대 濟州牧使의 문서 행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4) : 10-37, 2015

      4 김병구, "조선 후기 漕運船 致敗의 보고와 처리 - 1867년 公忠道水軍節度使 李志鼎 啓本을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58 : 1-28, 2021

      5 노인환, "조선 후기 水原府留守의 문서 행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9) : 236-271, 2018

      6 이국진, "일식과 월식을 소재로 한 한국 한시의 양상과 의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 : 63-108, 2016

      7 이면우, "서운관지" 소명출판 2003

      8 "黃海監營狀啓謄錄(장서각 K2‒3676)"

      9 "高麗史"

      10 "關西啓錄(장서각 K2‒3632)"

      1 경석현, "조선후기 當食不食 논의와 그 의미" 국학연구원 (189) : 173-205, 2019

      2 송지원, "조선시대 일식 월식을 구(救)하는 의례" 40 : 120-134, 2007

      3 노인환, "조선시대 濟州牧使의 문서 행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4) : 10-37, 2015

      4 김병구, "조선 후기 漕運船 致敗의 보고와 처리 - 1867년 公忠道水軍節度使 李志鼎 啓本을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58 : 1-28, 2021

      5 노인환, "조선 후기 水原府留守의 문서 행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9) : 236-271, 2018

      6 이국진, "일식과 월식을 소재로 한 한국 한시의 양상과 의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 : 63-108, 2016

      7 이면우, "서운관지" 소명출판 2003

      8 "黃海監營狀啓謄錄(장서각 K2‒3676)"

      9 "高麗史"

      10 "關西啓錄(장서각 K2‒3632)"

      11 "關東啓錄(규장각 古4255.511)"

      12 "經國大典・經國大典註解・大典會通・六典條例・銀臺條例・銀臺便攷"

      13 "統制營啓錄(규장각 奎15101)"

      14 "禮房謄錄(규장각 奎21462)"

      15 "湖南啓錄(장서각 K2‒3675)"

      16 "江華留營啓錄(장서각 K2‒3623)"

      17 "江原監營啓錄(규장각 奎15106)"

      18 "東營狀啓謄錄(장서각 K23309)"

      19 "朝鮮王朝實錄"

      20 조미은, "朝鮮時代 王世子 代理聽政期 文書 硏究" 한국고문서학회 36 : 55-96, 2010

      21 구만옥, "朝鮮後期 日月蝕論의 變化" 한국사상사학회 19 : 2002

      22 "春官通考(규장각 奎12272)"

      23 "承政院日記"

      24 "慶尙監營啓錄(규장각 奎15100)"

      25 "忠淸監營啓錄(규장각 奎15092)"

      2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完營日錄 一~三" 대동문화연구원 2002

      27 "國朝續五禮儀(장서각 K2‒2101)"

      28 "國朝五禮儀(장서각 K2‒2113)"

      29 "咸鏡監營啓錄(장서각 K2‒3674)"

      30 "各祭享祭物謄錄(규장각 奎12527)"

      31 국립중앙박물관, "古文書(국왕・왕실문서, 관청문서)" 통천문화사 2004

      32 서울대학교 도서관, "古文書 5(官府文書)" 서울대학교 도서관 1988

      33 서울대학교 도서관, "古文書 2(官府文書)" 서울대학교 도서관 1987

      34 "判付規式(규장각 가람古349.102‒P192)"

      35 김슬기, "18세기 중반 조선 일월식 계산의 새로운 기준으로서 청나라 일월식 자문" 한국과학사학회 42 (42): 65-95,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 -> 한국학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3-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7-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
      외국어명 : Korean Studies Quarterl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1.26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