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94년 영남의 동학농민군과 동남부 일대의 상황 = The Donghak Peasant Army of Gyeongsangdo and the peasants' uprising of South-East of Gyeongsangdo, 1894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85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1894, North-West, South-West of Gyeongsangdo occupied by the Donghak Peasant Army who against Joseon Dynasty. The Donghak Peasant Army of Gyeongsangdo had a firm grip on the northwest area near Chungcheongdo and Jeonrado. At the end of October, the principal cities like Sangju(尙州) and Seonsan(善山 ) was occupied by Donghak Peasant Army. It was threatened the supply base of Japanese army at Nakdong(洛東) and hapyeong(海平). Japan began military intervention. Japanese army set up the quartermaster corps in 11 districts of Gyeongsangdo.
      Even though the Donghak Peasant Army awarded of the Japanese martial power, they targeted on the blocking Japanese military telegraph which was the only way to attack. The Japanese army counterattacked the Donghak Peasant Army. Minbogun(民堡軍) which organized by Joseon Dynasty organized and Namyoungbyeong(南營兵) which detached under Japanese coercion were also attacked the Donghak Peasant Army. The battle resulted in the defeat of the Donghak peasant army.
      On the other hand, Younghae(寧海) where is on the southeast area of Gyeongsangdo, faced a different situation by the peasants' uprising. It was not intervened by the Donghak. Since 1871 when Shin-Mi trouble occured, the Donghak couldn’t rebuild. The reason of the peasants’ uprising was same as the Donghak peasant army, misgovernment.
      번역하기

      In 1894, North-West, South-West of Gyeongsangdo occupied by the Donghak Peasant Army who against Joseon Dynasty. The Donghak Peasant Army of Gyeongsangdo had a firm grip on the northwest area near Chungcheongdo and Jeonrado. At the end of October, the...

      In 1894, North-West, South-West of Gyeongsangdo occupied by the Donghak Peasant Army who against Joseon Dynasty. The Donghak Peasant Army of Gyeongsangdo had a firm grip on the northwest area near Chungcheongdo and Jeonrado. At the end of October, the principal cities like Sangju(尙州) and Seonsan(善山 ) was occupied by Donghak Peasant Army. It was threatened the supply base of Japanese army at Nakdong(洛東) and hapyeong(海平). Japan began military intervention. Japanese army set up the quartermaster corps in 11 districts of Gyeongsangdo.
      Even though the Donghak Peasant Army awarded of the Japanese martial power, they targeted on the blocking Japanese military telegraph which was the only way to attack. The Japanese army counterattacked the Donghak Peasant Army. Minbogun(民堡軍) which organized by Joseon Dynasty organized and Namyoungbyeong(南營兵) which detached under Japanese coercion were also attacked the Donghak Peasant Army. The battle resulted in the defeat of the Donghak peasant army.
      On the other hand, Younghae(寧海) where is on the southeast area of Gyeongsangdo, faced a different situation by the peasants' uprising. It was not intervened by the Donghak. Since 1871 when Shin-Mi trouble occured, the Donghak couldn’t rebuild. The reason of the peasants’ uprising was same as the Donghak peasant army, misgovern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894년 충청도와 전라도에 접경한 경상도 북서부와 남서부의 상주 선산 용궁 성주 하동 등에서는 읍내가 점거되었다. 10월 하순 동학농민군이 상주 선산을 점거하자 일본군이 즉각 개입하였다. 군사상의 필요 때문이었다.
      일본군은 부산 삼랑진 물금 밀양 대구 청도 다부원 해평 낙동 태봉 문경의 11개 지역에 병참부를 설치하고 군용전선을 깔았다. 경상도의 동학농민군은 병참로를 따라 행군해간 일본군의 위력을 직접 보았으면서도 대일전쟁을 준비하였다. 처음에는 전선을 단절하거나 전신주를 쓰러뜨려 전신망 차단이 목표였다. 일본군 후방에서 효과적으로 공격하는 유일한 공격 방법이었다. 일본군은 이런 공세에 반응해서 동학 조직의 견제를 시작했는데 동학농민군의 무장봉기 이후에는 직접 반격을 가하거나, 조선정부에 강요해서 남영병을 파견하도록 하였다. 일본군 공격으로 동학농민군은 번번이 패배하고, 여러 군현에서 민보군을 결성하여 근거지를 수색하자 경상도 일대의 동학농민군은 곧 세력이 무너지게 되었다. 그래서 일본군의 전신망과 병참망은 11월 초 이후에는 더 이상 위협을 받지 않았다.
      경상도의 동남부 군현에서는 이와 달리 동학농민군이 봉기한 기록이 나오지 않는다. 동학의 포접 조직과 인맥으로 구성된 동학농민군은 동학 세력이 미약하거나 존재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나타날 수 없었다. 영해를 비롯한 인근 군현은 1871년 신미년의 병란 이후 동학 조직이 재건되지 못했을 수 있다. 동학농민군의 봉기 원인인 폐정은 1894년에 여러 군현에서 일어난 농민항쟁의 요인이었다. 동학농민군이 봉기하지 않은 군현에서도 농민항쟁이 일어나 10월 초에 60여 군현이 소란했다고 한다. 1894년은 연이은 흉작으로 농민생활이 매우 어려웠다. 경상도 71개 군현 중 37개 군현이 혹심한 흉년으로 고통을 받았다.
      영해와 영천 등지의 농민항쟁은 경상도 북서부와 남서부에서 동학농민군이 봉기를 하던 시기에 일어났다. 정부에서 파견한 안핵사 이중하는 주도자는 원악도로 정배를 보낸 동시에 불법을 자행한 지방관과 향리도 엄벌을 내려 수습하였다. 농민항쟁은 부산의 일본영사관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조사하고 있었다.
      농민항쟁은 관치질서 유지를 위해 수습되어야 했다. 일본군이 내정을 간섭하던 시기에도 정부로서는 동학농민군과 마찬가지로 지방관의 폐정에 항거하던 농민항쟁도 용납할 수 없었다. 동학농민군의 봉기나 농민항쟁의 원인을 제거하는 책임은 감사에게 있었다. 경상감사는 지방관들의 착복과 공금 유용 사실을 조사해서 정부에 보고하였다. 민씨정권의 문란한 국정 운영이 지방 군현에서 나타난 사례가 지방관의 불법행위였고, 그것이 항쟁의 주요한 원인이었다.
      번역하기

      1894년 충청도와 전라도에 접경한 경상도 북서부와 남서부의 상주 선산 용궁 성주 하동 등에서는 읍내가 점거되었다. 10월 하순 동학농민군이 상주 선산을 점거하자 일본군이 즉각 개입하였...

      1894년 충청도와 전라도에 접경한 경상도 북서부와 남서부의 상주 선산 용궁 성주 하동 등에서는 읍내가 점거되었다. 10월 하순 동학농민군이 상주 선산을 점거하자 일본군이 즉각 개입하였다. 군사상의 필요 때문이었다.
      일본군은 부산 삼랑진 물금 밀양 대구 청도 다부원 해평 낙동 태봉 문경의 11개 지역에 병참부를 설치하고 군용전선을 깔았다. 경상도의 동학농민군은 병참로를 따라 행군해간 일본군의 위력을 직접 보았으면서도 대일전쟁을 준비하였다. 처음에는 전선을 단절하거나 전신주를 쓰러뜨려 전신망 차단이 목표였다. 일본군 후방에서 효과적으로 공격하는 유일한 공격 방법이었다. 일본군은 이런 공세에 반응해서 동학 조직의 견제를 시작했는데 동학농민군의 무장봉기 이후에는 직접 반격을 가하거나, 조선정부에 강요해서 남영병을 파견하도록 하였다. 일본군 공격으로 동학농민군은 번번이 패배하고, 여러 군현에서 민보군을 결성하여 근거지를 수색하자 경상도 일대의 동학농민군은 곧 세력이 무너지게 되었다. 그래서 일본군의 전신망과 병참망은 11월 초 이후에는 더 이상 위협을 받지 않았다.
      경상도의 동남부 군현에서는 이와 달리 동학농민군이 봉기한 기록이 나오지 않는다. 동학의 포접 조직과 인맥으로 구성된 동학농민군은 동학 세력이 미약하거나 존재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나타날 수 없었다. 영해를 비롯한 인근 군현은 1871년 신미년의 병란 이후 동학 조직이 재건되지 못했을 수 있다. 동학농민군의 봉기 원인인 폐정은 1894년에 여러 군현에서 일어난 농민항쟁의 요인이었다. 동학농민군이 봉기하지 않은 군현에서도 농민항쟁이 일어나 10월 초에 60여 군현이 소란했다고 한다. 1894년은 연이은 흉작으로 농민생활이 매우 어려웠다. 경상도 71개 군현 중 37개 군현이 혹심한 흉년으로 고통을 받았다.
      영해와 영천 등지의 농민항쟁은 경상도 북서부와 남서부에서 동학농민군이 봉기를 하던 시기에 일어났다. 정부에서 파견한 안핵사 이중하는 주도자는 원악도로 정배를 보낸 동시에 불법을 자행한 지방관과 향리도 엄벌을 내려 수습하였다. 농민항쟁은 부산의 일본영사관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조사하고 있었다.
      농민항쟁은 관치질서 유지를 위해 수습되어야 했다. 일본군이 내정을 간섭하던 시기에도 정부로서는 동학농민군과 마찬가지로 지방관의 폐정에 항거하던 농민항쟁도 용납할 수 없었다. 동학농민군의 봉기나 농민항쟁의 원인을 제거하는 책임은 감사에게 있었다. 경상감사는 지방관들의 착복과 공금 유용 사실을 조사해서 정부에 보고하였다. 민씨정권의 문란한 국정 운영이 지방 군현에서 나타난 사례가 지방관의 불법행위였고, 그것이 항쟁의 주요한 원인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기,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9권"

      2 표영삼, "경상 남서부 동학혁명" (6) : 2000

      3 "高宗實錄"

      4 "駐韓日本公使館記錄 1권, 2권, 3권, 4권"

      5 李金, "錦藩集略"

      6 "記聞錄"

      7 朴周大, "羅巖隨錄"

      8 "甲午軍功錄"

      9 潘在元, "甲午斥邪錄"

      10 崔鳳吉, "歲藏年錄"

      1 김상기,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제9권"

      2 표영삼, "경상 남서부 동학혁명" (6) : 2000

      3 "高宗實錄"

      4 "駐韓日本公使館記錄 1권, 2권, 3권, 4권"

      5 李金, "錦藩集略"

      6 "記聞錄"

      7 朴周大, "羅巖隨錄"

      8 "甲午軍功錄"

      9 潘在元, "甲午斥邪錄"

      10 崔鳳吉, "歲藏年錄"

      11 黃玹, "梧下記聞"

      12 韓若愚, "柏谷誌"

      13 都漢基, "東擾日記"

      14 "東學黨征討人錄"

      15 朴鳳陽, "朴鳳陽經歷書"

      16 參謀本部, "明治二十七八年日淸戰史 1" 東京印刷株式會社 1965

      17 "日省錄"

      18 姜孝淑, "日淸戰爭と第二次東學農民戰爭" 千葉大學大學院 2000

      19 "承政院日記"

      20 "慶尙道觀察使狀啓"

      21 全羅監營, "嶠南隨錄"

      22 吳宖黙, "固城府叢瑣錄"

      23 "啓草存案"

      24 "公文編案"

      25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13110302500、命令訓令 自明治27年6月 至明治28年6月"

      26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13110302500、命令訓令 自明治27年6月 至明治28年6月"

      27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13110302500、命令訓令 自明治27年6月 至明治28年6月"

      28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11080803600、陸軍報告 第3冊"

      29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11080788600、陸軍報告 第1冊"

      3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6062205400、明治27年9月 「中路兵站監督部 陣中日誌 第2号"

      31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6060795300、明治27年7月~8月 「着電綴(三)"

      32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6060166500、明治27年 「秘密 日清朝事件 第5師団混成旅団報告綴"

      33 신영우, "19세기 嶺南 金山의 兩班地主層과 鄕內 事情" 70 : 1991

      34 신영우, "1894年 嶺南 醴泉의 農民軍과 保守執綱所" 44 : 1984

      35 신영우, "1894年 嶺南 金山의 農民軍과 兩班地主層" 74 : 1991

      36 신영우, "1894年 嶺南 尙州의 農民軍과 召募營" 51~52 :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Donghak Studies -> The Korea Journal of Donghak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0.7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