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의 담론에는 공동체의 파괴와 수난을 전통적인 정서와 논리로 치유하고자 하는 염원이 투영되어 있다. 이때 화해와 치유의 염원은 인도주의(humanitarianism)의 면모를 보여주기 때문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주의 담론에는 공동체의 파괴와 수난을 전통적인 정서와 논리로 치유하고자 하는 염원이 투영되어 있다. 이때 화해와 치유의 염원은 인도주의(humanitarianism)의 면모를 보여주기 때문에, ...
전통주의 담론에는 공동체의 파괴와 수난을 전통적인 정서와 논리로 치유하고자 하는 염원이 투영되어 있다. 이때 화해와 치유의 염원은 인도주의(humanitarianism)의 면모를 보여주기 때문에, 기존의 논의에서는 전통주의 담론을 휴머니즘 담론에 포괄하여 설명하려 한다. 하지만 표면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감상적 인도주의는 휴머니즘과는 다른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성질의 것일 뿐 아니라, 전통주의 담론은 서사양식의 측면에 있어서도 휴머니즘 담론과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그동안 휴머니즘 담론으로 분류되던 〈수난이대〉를 새롭게 '전통주의 담론'으로 분류하여 그 서사적 구현양상을 고찰했다. 그 결과 〈수난이대〉가 민중의 수난과 전통적인 한의 정조를 짙게 풍기면서 전흔의 극복의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전통주의 담론양식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난이대〉는 '맺힘과 풀림의 서사구조' 속에 민중이 역사적 상처와 고통을 딛고 일어나 현실세계와 화해하는 양상을 잘 담아내고 있다. 이때 여타의 전통주의 담론과 마찬가지로 가능한 한 서사 내부에서 역사적 현실을 배제한 채 인간과 자연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향토적 공간을 배경으로 주체의 화해를 모색한다. 이 주관적 소망이 투사된 낭만적 화해의 서사는 역사적 현실이 남긴 상처와 고통을 치유하고 고단한 주체를 위로하는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미래지향적 전망을 모색하지 못하고 복고적 퇴행성을 드러내거나, 현실 순응적 태도로 일관하면서 현실에 안주하는 무력성을 보여주는 것은 그 한계로 지적될 만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이성선의 산문시집 『꿈꾸는 아이』를 통해 본 시인의 시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