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곡물가격 변동성의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 = Price Volatility and Spillovers between the Korean and International Grain Mark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932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 주요 곡물인 쌀, 옥수수, 밀, 대두를 대상으로 국제곡물가격의 변동성이 국내수입곡물가격의 변동성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이때, 국내수입곡물가격의 불확실성 존...

      본 연구는 국제 주요 곡물인 쌀, 옥수수, 밀, 대두를 대상으로 국제곡물가격의 변동성이 국내수입곡물가격의 변동성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이때, 국내수입곡물가격의 불확실성 존재 여부에 따라 GARCH 모형과 고전적인 OLS 모형으로 구분하여 추정하였다. 불확실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쌀과 옥수수는 OLS 모형을 적용했고, 불확실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밀과 대두는 EGARCH 모형을 통해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쌀은 다른 국제곡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화유예로 인해 쿼터로만 수입되고 있는 우리나라 쌀 수입의 특수한 상황에 기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옥수수는 국제 옥수수에만 미미하게 영향을 받고 다른 곡물가격으로부터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입 옥수수의 대부분이 사료곡물로 쓰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대두와 밀의 경우에는 국제 가격의 변동성이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두와 밀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국내수입곡물가격은 국제곡물시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곡물시장의 안정성을 위해 국제곡물에 대한 정치한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spillover effect that volatility of international grain price has on that of domestic import grain price using 4 major international grain price data, such as rice, corn, wheat, and soybean over the period 2000-2013...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spillover effect that volatility of international grain price has on that of domestic import grain price using 4 major international grain price data, such as rice, corn, wheat, and soybean over the period 2000-2013. In particular, we estimate the (E)GARCH model and the classic OLS model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uncertainty of domestic import grain price. The empirical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of all, the volatility of rice import price is not influenced by the volatility of other international grain prices. The case of corn is only influenced by international corn price volatility, but is not influenced by volatilities of other grain pric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pillover effects related to the role of import policy, tax and so on. On the other hand, soybean and wheat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volatility of international grain price. Because it is that soybean and wheat in Korea depends on imports entirely. Based on the findings, we can infer that a delicate analysis on the volatility of international grains is very important for stability of the grain market of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국제곡물시장의 특징 및 가격의 동태적 변화
      • Ⅳ. 모형 및 실증분석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국제곡물시장의 특징 및 가격의 동태적 변화
      • Ⅳ. 모형 및 실증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승룡, "축산물 가격의 인과성 검정 : 사료곡물에서 소매단계까지" 한국농업경제학회 44 (44): 91-110, 2003

      2 윤성호, "주요 농산물 현물가격변동의 통계적 분석" 7 (7): 313-326, 1994

      3 김정식, "원/달러 환율 변동성의 원인에 관한 연구" 7 (7): 92-117, 2001

      4 윤병삼,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와 동경곡물거래소(TGE) 옥수수 선물가격간의 동태적 인과관계 분석" 한국농업경제학회 44 (44): 79-100, 2003

      5 이종하, "불확실성 전이에 따른 환율 변동성 원인분석 : 정보전이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4 (24): 1479-1501, 2011

      6 서병선, "국제상품시장의 가격 동조화와 변동성 전이효과" 한국농업경제학회 52 (52): 1-26, 2011

      7 Giot P., "The Information Content of Implied Volatility in Agricultural Commodity Markets" 23 (23): 441-454, 2003

      8 Amyaz A.M., "Measuring commodity price volatility and the welfare consequences of eliminating volatility" USDA/ERS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Center, University of Minnesota 2004

      9 Fung, Hung-Gay, "Information Flows between the U.S. and China Commodity Futures Trading" 21 : 267-285, 2003

      10 Swaray, R., "How did the Demise of International Commodity Agreements affect Volatility of Primary Commodity Prices?" 39 : 2253-2260, 2007

      1 양승룡, "축산물 가격의 인과성 검정 : 사료곡물에서 소매단계까지" 한국농업경제학회 44 (44): 91-110, 2003

      2 윤성호, "주요 농산물 현물가격변동의 통계적 분석" 7 (7): 313-326, 1994

      3 김정식, "원/달러 환율 변동성의 원인에 관한 연구" 7 (7): 92-117, 2001

      4 윤병삼,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와 동경곡물거래소(TGE) 옥수수 선물가격간의 동태적 인과관계 분석" 한국농업경제학회 44 (44): 79-100, 2003

      5 이종하, "불확실성 전이에 따른 환율 변동성 원인분석 : 정보전이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4 (24): 1479-1501, 2011

      6 서병선, "국제상품시장의 가격 동조화와 변동성 전이효과" 한국농업경제학회 52 (52): 1-26, 2011

      7 Giot P., "The Information Content of Implied Volatility in Agricultural Commodity Markets" 23 (23): 441-454, 2003

      8 Amyaz A.M., "Measuring commodity price volatility and the welfare consequences of eliminating volatility" USDA/ERS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Center, University of Minnesota 2004

      9 Fung, Hung-Gay, "Information Flows between the U.S. and China Commodity Futures Trading" 21 : 267-285, 2003

      10 Swaray, R., "How did the Demise of International Commodity Agreements affect Volatility of Primary Commodity Prices?" 39 : 2253-2260, 2007

      11 Haigh M.S., "Hedging Multiple Price Uncertainty in International Grain Trade" 82 (82): 881-896, 2000

      12 Gilbert C.L, "Has Food Price Volatility Risen?" University of Trento 2010

      13 Bollerslev, T., "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cedasticity" 31 : 307-327, 1986

      14 Engle, R.F., "Estimating Time Varying Risk Premia in the Term Structure : The ARCH-M Model" 55 : 391-407, 1987

      15 Nelson, D. B., "Conditional Heteroscedasticity in Asset Returns : A New Approach" 59 : 347-370, 1991

      16 Engle, R. F.,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cedasticity with Estimates of the Variance of United Kingdom Inflation" 50 : 987-1007, 1982

      17 Gonzalez O.C., "Are Commodity Prices More Volatile Now?- A Long-Run Perspective" World Bank 2010

      18 Apergis, N., "Agricultural Price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 The Case of Greece" 30 : 389-406, 2003

      19 Yang, J, "Agricultural Liberalization Policy and Commodity Price Volatility: A GARCH Application" 10 : 593-598, 2001

      20 Bollerslev, T., "A Conditionally Heteroskedastic Time Series Model for Speculative Prices and Rates of Return" 69 : 542-547,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Review of Business & Economics ->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KCI등재
      2006-06-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7 1.23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