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관련 경험과 개선 방안 탐색 = Investigation of Experience on Infringe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ights and Improvement Meas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18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oth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infringe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ights,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This study uses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at were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ach interview took approximately one hour and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As a result, 46 sub-themes, 10 themes, and 3 categories were classified. 1) the type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2) the causes and effects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3) the improvement measure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an improvement measure for preventing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s well as respecting teachers’ right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improvement measure includes the expansion of training opportunities, improving awareness of special and inclusive education;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stablishing a one-stop support system for post-treatmen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egal organization, in order to mediat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the operation and promotion of programs to recover from infringements on teachers’ rights; teacher evaluation and promotion structure improvement among oth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oth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infringe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ights,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This study uses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d individ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oth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infringe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ights,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This study uses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at were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ach interview took approximately one hour and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As a result, 46 sub-themes, 10 themes, and 3 categories were classified. 1) the type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2) the causes and effects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nd 3) the improvement measure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an improvement measure for preventing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as well as respecting teachers’ right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improvement measure includes the expansion of training opportunities, improving awareness of special and inclusive education;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stablishing a one-stop support system for post-treatmen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egal organization, in order to mediat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the operation and promotion of programs to recover from infringements on teachers’ rights; teacher evaluation and promotion structure improvement among ot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관련 경험과 인식을 밝히고, 이에 근거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질적연구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인 10명의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각 면담은 약 1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면담 후 전사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6개의 하위 주제, 10개의 주제,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1) 주체별 교권침해 유형, (2) 교권침해 원인 및 영향, (3) 교권침해 개선 방안.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교권침해 주체 대상의 연수 기회 확대, 유아교사 대상의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유아특수교사의 역량 강화, 원스톱 교권침해 사후처리 지원체계 구축, 교권침해의 중재를 위한 법정기구 설치 및 운영, 교권침해 피해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및 홍보, 교원평가와 승진 구조 개선 등 유아특수교사의 교권침해 예방 및 교권존중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관련 경험과 인식을 밝히고, 이에 근거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질적연구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인 10명의 유...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교권침해 관련 경험과 인식을 밝히고, 이에 근거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질적연구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인 10명의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각 면담은 약 1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면담 후 전사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6개의 하위 주제, 10개의 주제,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1) 주체별 교권침해 유형, (2) 교권침해 원인 및 영향, (3) 교권침해 개선 방안.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교권침해 주체 대상의 연수 기회 확대, 유아교사 대상의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유아특수교사의 역량 강화, 원스톱 교권침해 사후처리 지원체계 구축, 교권침해의 중재를 위한 법정기구 설치 및 운영, 교권침해 피해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및 홍보, 교원평가와 승진 구조 개선 등 유아특수교사의 교권침해 예방 및 교권존중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소현,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 실태 및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2 강병일, "특수학교 학생 및 교사의 학교안전사고 실태 조사 연구 - 대구지역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277-304, 2010

      3 김우현, "특수학교 안전사고로 인한 특수교사의 상해 실태 조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243-266, 2013

      4 김우현, "특수학교 교사의 상해경험 조사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양창훈, "특수학교 교사의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과 극복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399-423, 2020

      6 김민제, "특수학교 교권의 교권침해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장애학생의 공격행동에 의한 교권침해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7 양경숙,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갈등 수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8 김호연,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교원교육학회 167-195, 2016

      9 도경만, "특수교사의 교권상실 경험 유형과 실태" 국립특수교육원 23 (23): 62-82, 2016

      10 박지은, "중등학교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 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 김소현,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 실태 및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2 강병일, "특수학교 학생 및 교사의 학교안전사고 실태 조사 연구 - 대구지역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277-304, 2010

      3 김우현, "특수학교 안전사고로 인한 특수교사의 상해 실태 조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243-266, 2013

      4 김우현, "특수학교 교사의 상해경험 조사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양창훈, "특수학교 교사의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과 극복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399-423, 2020

      6 김민제, "특수학교 교권의 교권침해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장애학생의 공격행동에 의한 교권침해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7 양경숙,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갈등 수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8 김호연,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교원교육학회 167-195, 2016

      9 도경만, "특수교사의 교권상실 경험 유형과 실태" 국립특수교육원 23 (23): 62-82, 2016

      10 박지은, "중등학교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 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1 이진영, "정신지체학교의 학교안전사고실태와 교사의 교육활동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김영일, "정신지체학교의 학교안전사고 실태, 사고처리 및 예방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25-147, 2007

      13 김부기, "정서장애 특수학교 교원의 학교안전사고와 학교안전공제회에 대한 실태 및 인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4 김동일, "정서·행동장애학생의 폭력적 문제행동에 노출된 특수교사의 리질리언스 과정: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97-119, 2012

      15 양윤희, "유치원 특수교육 보조인력 역할수행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16 양다경,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755-776, 2016

      17 정영아,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공립유치원 완전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협력 경험과 지원요구" 특수교육연구소 37 (37): 145-183, 2021

      18 김미현, "유아교사의 근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6 (26): 73-96, 2019

      19 정선아, "어린이집 아동학대사례 심층분석" 보건복지부 2017

      20 이소정, "서울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상해경험 양상과 영향 분석에 근거한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지원 방안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1 이화영,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의 실태와 교권보호 지원 방안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22 고현, "사립유치원 교원의 행정업무 부담과 개선방안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111-136, 2016

      23 정덕희,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이야기"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77-99, 2015

      24 김재철, "발달장애학생의 폭력ㆍ공격성 행동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대처방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25 최경실, "교권침해 실태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교육발전연구소 25 (25): 75-95, 2015

      26 윤상원, "‘특수교사의 교권침해 실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토론문" 한국교원교육학회 205-211, 2016

      27 Wilson, C. M., "Violence against teachers: Prevalence and consequence" 26 (26): 2353-2371, 2011

      28 De Wet, C., "Victims of educator-targeted bullying : a qualitative study" 30 : 189-201, 2010

      29 Newman, K. S., "Rampage: The social roots of school shootings" Basic books 2004

      30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hn Wiley & Sons 2009

      31 서울특별시교육청, "2020학년도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 기본 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2020

      32 교육부, "2020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20

      33 전라남도교육청, "2020 교육활동보호 매뉴얼" 전라남도교육청 2021

      34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19년 교권보호 및 교직상담 활동보고서"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20

      35 전기영, "10년 새 3배 이상 껑충, 학부모가 절반"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