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민족사상의 내용분석과 그 계승에 관한 연구 =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Korean National Thought a Study on its Succ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42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n article that reveals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Korean national thought and analyzes the strategy of inheriting Korean national thought. There is a tendency to use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in combination. However, strictly speaking,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In other words, Korean national thought is an idea based on pure and pure thoughts of the Korean people before foreign thought was introduced. On the other hand, Korean thought refers to the absorption and acceptance of foreign thought based on Korean national thought.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from the time of its occurrence.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classified into many contents and explained, but if you introduce only important contents, you can first point out anthropology. Human love is a comprehensive love. It is humanity that loves the entire human race, not just between me and you. Second,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defined as harmony theory. The theory of a win-win relationship between me and you is the theory of harmony. Finally,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summed up as a theory of Gyeongcheon. He defined the sky as a personality god and always acted while looking up to the sky. We should do our best to inherit Korean national thought with pride.
      번역하기

      This paper is an article that reveals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Korean national thought and analyzes the strategy of inheriting Korean national thought. There is a tendency to use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in combination. However, ...

      This paper is an article that reveals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Korean national thought and analyzes the strategy of inheriting Korean national thought. There is a tendency to use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in combination. However, strictly speaking,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In other words, Korean national thought is an idea based on pure and pure thoughts of the Korean people before foreign thought was introduced. On the other hand, Korean thought refers to the absorption and acceptance of foreign thought based on Korean national thought.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from the time of its occurrence.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classified into many contents and explained, but if you introduce only important contents, you can first point out anthropology. Human love is a comprehensive love. It is humanity that loves the entire human race, not just between me and you. Second,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defined as harmony theory. The theory of a win-win relationship between me and you is the theory of harmony. Finally,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summed up as a theory of Gyeongcheon. He defined the sky as a personality god and always acted while looking up to the sky. We should do our best to inherit Korean national thought with pri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민족사상의 내용과 성격을 밝히고 한국민족사상을 계승하는 전략을 분석한 글이다.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차이가 있다. 즉 한국민족사상은 외래사조가 유입되기 전 한국민족의 순백하고 순수한 사유에 의한 사상이다. 반면 한국사상은 한국민족사상을 기초로 하여 외래사조가 흡수되어 수용된 것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보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발생시기부터 차이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국민족사상은 많은 내용으로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지만 개략적으로 중요한 내용만 소개하면 우선 인류애론을 지적할 수 있다. 인류애는 포괄적인 사랑이다. 나와 너 간의 사랑에 국한하지 않고 인류전체를 사랑하는 것이 바로 인류애이다. 둘째, 한국민족사상은 조화론으로 규정할 수 있다. 나와 너 간의 상생적 관계론이 바로 조화론이다. 마지막으로 한국민족사상은 경천론으로 귀결지어 말할 수 있다. 하늘을 하나의 인격신으로 규정하고 늘 하늘을 우러러 보면서 행동을 하였다. 한국민족사상에 자부심을 가지고 계승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민족사상의 내용과 성격을 밝히고 한국민족사상을 계승하는 전략을 분석한 글이다.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한국...

      본 논문은 한국민족사상의 내용과 성격을 밝히고 한국민족사상을 계승하는 전략을 분석한 글이다.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차이가 있다. 즉 한국민족사상은 외래사조가 유입되기 전 한국민족의 순백하고 순수한 사유에 의한 사상이다. 반면 한국사상은 한국민족사상을 기초로 하여 외래사조가 흡수되어 수용된 것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보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발생시기부터 차이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국민족사상은 많은 내용으로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지만 개략적으로 중요한 내용만 소개하면 우선 인류애론을 지적할 수 있다. 인류애는 포괄적인 사랑이다. 나와 너 간의 사랑에 국한하지 않고 인류전체를 사랑하는 것이 바로 인류애이다. 둘째, 한국민족사상은 조화론으로 규정할 수 있다. 나와 너 간의 상생적 관계론이 바로 조화론이다. 마지막으로 한국민족사상은 경천론으로 귀결지어 말할 수 있다. 하늘을 하나의 인격신으로 규정하고 늘 하늘을 우러러 보면서 행동을 하였다. 한국민족사상에 자부심을 가지고 계승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식, "한국통사(상)" 박영사 1996

      2 黃光旭,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3

      3 정경환, "한국정치사상사 : 고대부터 현대까지" 도서출판 이경 2014

      4 박종홍, "한국사상사" 서문당 1999

      5 엘리자베스 클레망, "철학사전 : 인물들과 개념들" 동녘 2006

      6 최민자, "천부경(삼일신고 참전계경)" 모시는 사람들 2006

      7 오일환 ; 정경환, "참전계경의 애론(愛論)에 관한 연구(2)" 한국민족사상학회 16 (16): 31-54, 2022

      8 조하선, "증보판 베일벗은 천부경" 창천사 2005

      9 정경환, "울산대학교사회교육원 최고정책지도자과정 강연자료집" 2006

      10 宋鎬洙, "韓民族의 뿌리思想" 기린원 1989

      1 박은식, "한국통사(상)" 박영사 1996

      2 黃光旭,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3

      3 정경환, "한국정치사상사 : 고대부터 현대까지" 도서출판 이경 2014

      4 박종홍, "한국사상사" 서문당 1999

      5 엘리자베스 클레망, "철학사전 : 인물들과 개념들" 동녘 2006

      6 최민자, "천부경(삼일신고 참전계경)" 모시는 사람들 2006

      7 오일환 ; 정경환, "참전계경의 애론(愛論)에 관한 연구(2)" 한국민족사상학회 16 (16): 31-54, 2022

      8 조하선, "증보판 베일벗은 천부경" 창천사 2005

      9 정경환, "울산대학교사회교육원 최고정책지도자과정 강연자료집" 2006

      10 宋鎬洙, "韓民族의 뿌리思想" 기린원 1989

      11 "參佺戒經"

      12 "三國遺事"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