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용철, "한국어의 후치 요소와 명사 확장 범주" 한국생성문법학회 18 (18): 743-768, 2008
2 홍용철, "한국어의 명사 확장범주" 한국언어학회 31 (31): 657-684, 2006
3 홍용철, "한국어의 격조사 탈락과 격조사 부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18) : 295-314, 2004
4 홍용철, "한국어에서의 예외격(ECM) 구문과 자동 주격 분석" 한국생성문법학회 24 (24): 659-686, 2014
5 홍용철, "한국어 명사 외곽 수식어들의 어순과 명사구 구조" 한국생성문법학회 20 (20): 27-50, 2010
6 남기심,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7 안덕호, "최소주의적 관점에서의 소유격: 한국어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37 (37): 607-621, 2012
8 홍용철, "지시사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35) : 229-257, 2010
9 임홍빈, "존재전제와 속격 표지 ‘의’" 태학사 2 : 283-306, 1998
10 홍용철, "융합이론과 격조사 분포" 4 : 1-43, 1994
1 홍용철, "한국어의 후치 요소와 명사 확장 범주" 한국생성문법학회 18 (18): 743-768, 2008
2 홍용철, "한국어의 명사 확장범주" 한국언어학회 31 (31): 657-684, 2006
3 홍용철, "한국어의 격조사 탈락과 격조사 부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18) : 295-314, 2004
4 홍용철, "한국어에서의 예외격(ECM) 구문과 자동 주격 분석" 한국생성문법학회 24 (24): 659-686, 2014
5 홍용철, "한국어 명사 외곽 수식어들의 어순과 명사구 구조" 한국생성문법학회 20 (20): 27-50, 2010
6 남기심,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7 안덕호, "최소주의적 관점에서의 소유격: 한국어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37 (37): 607-621, 2012
8 홍용철, "지시사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35) : 229-257, 2010
9 임홍빈, "존재전제와 속격 표지 ‘의’" 태학사 2 : 283-306, 1998
10 홍용철, "융합이론과 격조사 분포" 4 : 1-43, 1994
11 박정섭, "속격 표지 ‘의’의 수의성에 대하여" 한국생성문법학회 16 (16): 3-18, 2006
12 홍용철, "소유격 표지 “의”의 분포와 본질" 한국생성문법학회 23 (23): 321-345, 2013
13 박정섭, "명사구에서의 논항 실현에 관한 고찰 - 불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16 : 223-248, 2003
14 고희정, "On the Typology of Small Clauses: Null Subject and Mode of Merge in Resultatives" 한국생성문법학회 25 (25): 347-375, 2015
15 Ahn, H. -D., "Morphosyntax in Generative Grammar" Hankuk Publishing Co 1-21, 1996
16 Ahn, H. -D., "Linguistic Investigation: In honor of In-Seok Yang" Hankuk Publishing Co 1-16, 1999
17 Di Sciullo,A. M., "Linguistic Inquiry Monograph 14" 1987
18 Dikken, Marcel Den, "Linguisitc Monograph 47" MIT Press 2006
19 Chomsky, N.,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Foris 1981
20 Chomsky, N., "Knowledge of Language: Its Nature, Origin, and Use" Praeger 1986
21 Baker, M., "Incorporation: A Theory of Grammatical Function Chang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22 Grimshaw, J., "Argument Structure" MIT Press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