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데스크톱 3D 홀로그램 피라미드에서 피라미드 단면 사이 사용자 이동에 따른 끊김 없는(seamless viewing control) 뷰 생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92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홀로그램 피라미드는 플로팅 홀로그램의 응용으로, 착용형 장비 없이 다각도에서 3D 홀로그램을 감상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저렴하고 제작이 간단하다는 장점으로 교육, 프로토타이핑, 쇼케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데스크톱형 홀로그램은 기존의 홀로그램 피라미드의 크기를 키워 더욱 선명하고 크게 홀로그램을 감상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다각도에서 홀로그램 피라미드를 감상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라미드의 각각의 면이 이어지는 곳에서 홀로그램을 감상할 경우, 홀로그램이 끊기거나 왜곡되는 현상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홀로그램 피라미드에 투사되는 영상은 단순히 각각의 면에 홀로그램을 90도씩 회전시킨 4개의 뷰를 투사하도록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에서 홀로그램을 감상하더라도 4개의 각도에서 바라본 뷰 밖에 보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시선 각도에 해당하는 홀로그램 영상을 생성 후, 역으로 왜곡하여 투영된 홀로그램이 왜곡되지 않는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홀로그램 피라미드 영상을 사용한 결과와 새롭게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 하였다.
      번역하기

      홀로그램 피라미드는 플로팅 홀로그램의 응용으로, 착용형 장비 없이 다각도에서 3D 홀로그램을 감상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저렴하고 제작이 간단하다는 장점으로 교육, 프로토타이핑, ...

      홀로그램 피라미드는 플로팅 홀로그램의 응용으로, 착용형 장비 없이 다각도에서 3D 홀로그램을 감상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저렴하고 제작이 간단하다는 장점으로 교육, 프로토타이핑, 쇼케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데스크톱형 홀로그램은 기존의 홀로그램 피라미드의 크기를 키워 더욱 선명하고 크게 홀로그램을 감상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다각도에서 홀로그램 피라미드를 감상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라미드의 각각의 면이 이어지는 곳에서 홀로그램을 감상할 경우, 홀로그램이 끊기거나 왜곡되는 현상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홀로그램 피라미드에 투사되는 영상은 단순히 각각의 면에 홀로그램을 90도씩 회전시킨 4개의 뷰를 투사하도록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에서 홀로그램을 감상하더라도 4개의 각도에서 바라본 뷰 밖에 보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시선 각도에 해당하는 홀로그램 영상을 생성 후, 역으로 왜곡하여 투영된 홀로그램이 왜곡되지 않는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홀로그램 피라미드 영상을 사용한 결과와 새롭게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ologram pyramid is an application of floating holograms, allowing the observer to see three-dimensional holograms from various angles without wearing wearable devices. Due to the low cost and ease of manufacturing, it has been used in a wide variety of fields as diverse as education, prototyping, showcase, and etc. But, when the observer looks at the hologram from the place where each side of the hologram pyramid is connected, the hologram looks cut and distorted. Also, the observer can see the only hologram of angles viewed head-on from each sid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generating a hologram image corresponding to the observer’s gaze angle by tracking the observers position and conducting reverse distortion. It provide a hologram of the angle viewed by the observer without cutting and distortion. In addition, the existing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 were applied and compared in the hologram pyramid.
      번역하기

      The hologram pyramid is an application of floating holograms, allowing the observer to see three-dimensional holograms from various angles without wearing wearable devices. Due to the low cost and ease of manufacturing, it has been used in a wide vari...

      The hologram pyramid is an application of floating holograms, allowing the observer to see three-dimensional holograms from various angles without wearing wearable devices. Due to the low cost and ease of manufacturing, it has been used in a wide variety of fields as diverse as education, prototyping, showcase, and etc. But, when the observer looks at the hologram from the place where each side of the hologram pyramid is connected, the hologram looks cut and distorted. Also, the observer can see the only hologram of angles viewed head-on from each sid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generating a hologram image corresponding to the observer’s gaze angle by tracking the observers position and conducting reverse distortion. It provide a hologram of the angle viewed by the observer without cutting and distortion. In addition, the existing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 were applied and compared in the hologram pyrami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관련 연구
      • III.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생성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관련 연구
      • III.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생성
      • IV. 실험 및 결과
      • V. 결론 및 추후 연구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현,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의 인터랙티브 홀로그램 콘텐츠"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0-47, 2012

      2 류재호, "유사 홀로그램 기술과 인터랙션을 이용한 3D 디지털 콘텐츠의 전시방법에 관한 연구 - 유사 홀로그램의 피라미드형 반사방식을 중심으로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7 (17): 19-36, 2018

      3 임수연, "관객접근에 의해 행동하는 3D 홀로그래픽 콘텐츠 저작 및 프로젝션"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97-604, 2012

      4 Dragi Tiro, "The possibility of the hologram pyramid applying in the rapid prototyping" 25-30, 2015

      5 A. Jones, "Rendering for an Interactive 360° Light Field Display" 26 (26): 2007

      6 Abu Bakar Abdullah Muhammad, "Reflective Prism Display Using Pepper’s Ghost Technique Software Toolkit Plugin for Unity 3D" 78 (78): 189-196, 2016

      7 Xuan Luo, "Pepper's Cone: An Inexpensive Do-It-Yourself 3D" 623-633, 2017

      8 I. A. Gafur, "Mixed Reality Application as a Learning System of Motion Systems using Pyramid Hologram Technology" 1351 (1351): 2019

      9 R. Roslan, "3D Spatial Visualisation Skills Training Application for School Students Using Hologram Pyramid" 1 (1): 170-174, 2017

      10 Tomoharu Nakamura, "360-degree transparent holographic screen display" 1-2, 2019

      1 김동현,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의 인터랙티브 홀로그램 콘텐츠"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0-47, 2012

      2 류재호, "유사 홀로그램 기술과 인터랙션을 이용한 3D 디지털 콘텐츠의 전시방법에 관한 연구 - 유사 홀로그램의 피라미드형 반사방식을 중심으로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7 (17): 19-36, 2018

      3 임수연, "관객접근에 의해 행동하는 3D 홀로그래픽 콘텐츠 저작 및 프로젝션"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97-604, 2012

      4 Dragi Tiro, "The possibility of the hologram pyramid applying in the rapid prototyping" 25-30, 2015

      5 A. Jones, "Rendering for an Interactive 360° Light Field Display" 26 (26): 2007

      6 Abu Bakar Abdullah Muhammad, "Reflective Prism Display Using Pepper’s Ghost Technique Software Toolkit Plugin for Unity 3D" 78 (78): 189-196, 2016

      7 Xuan Luo, "Pepper's Cone: An Inexpensive Do-It-Yourself 3D" 623-633, 2017

      8 I. A. Gafur, "Mixed Reality Application as a Learning System of Motion Systems using Pyramid Hologram Technology" 1351 (1351): 2019

      9 R. Roslan, "3D Spatial Visualisation Skills Training Application for School Students Using Hologram Pyramid" 1 (1): 170-174, 2017

      10 Tomoharu Nakamura, "360-degree transparent holographic screen display" 1-2,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