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각 부분에서는 산업혁명 시기 산업재해가 개념적, 현실적으로 중요한 주요로 부상하는 과정, 산업재해의 인구학적 및 경제적 영향, 그리고 사례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1473
201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각 부분에서는 산업혁명 시기 산업재해가 개념적, 현실적으로 중요한 주요로 부상하는 과정, 산업재해의 인구학적 및 경제적 영향, 그리고 사례연구...
이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각 부분에서는 산업혁명 시기 산업재해가 개념적, 현실적으로 중요한 주요로 부상하는 과정, 산업재해의 인구학적 및 경제적 영향, 그리고 사례연구를 다룬다.
제 I부는 ‘근대화, 산업혁명, 산업재해’라는 제목을 달고 있으며, 총 3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I부의 주제는 근대화와 산업혁명과의 관계, 산업재해 문제의 대두배경, 산업재해에 대한 사회의 대응 등을 다룬다. 우선 근대화와 산업혁명 간의 관계를 면밀히 검토한다. 근대화의 개념규정을 둘러싼 논쟁을 고찰하고, 산업혁명이 근대화와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가에 대해 논의한다. 다음으로 농업이 가장 중요한 산업이고 광업과 서비스업이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전통사회에서 업종에 따른 재해는 어떤 양상을 띠었는가를 고찰한다. 다음으로 산업재해 문제에 대한 사회적 대응을 분석한다. 19세기 중반을 거치면서 산업재해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그에 따라 여러 사회집단들이 어떻게 이 문제를 인식하게 되었는가를 고찰한다. 당시의 다양한 의회보고서(parliamentary papers)를 통해 그 과정을 추적한다. 그리고 의회에서의 토론과 입법과정을 거쳐 구체적으로 어떤 법제적 조치들이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고, 이것이 당대의 여러 사회입법들 - 빈민구호, 공중보건, 대중교육 등에 관한 - 과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가를 검토한다.
제 II부는 산업재해의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할애된다. 산업재해가 끼치는 인구학적 영향에 대해 논의한 후, 산업재해의 경제적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인구의 결정요인으로서 사망률에 대해 살펴보고, 사망률의 결정요인으로서 질병과 사고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각종 사고와 질병에 대해서 전국적인 지리적 분포도를 작성한다. 이 작업은 19세기 전반에 대해서는 인구센서스를 이용하여, 그리고 19세기 후반에 대해서는 인구센서스와 더불어 직업센서스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제 III부에서는 직접적인 사례연구를 실시한다. 첫째로 당시의 의회보고서와 인구센서스 및 직종센서스의 분석을 통해 산업재해로서의 시각장애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로는 감염성 질환의 사례를 분석한다. 도시환경, 특히 급속히 팽창하는 공업부문을 수용하기 위해 폭발적인 팽창을 거듭한 잉글랜드 북부의 공업도시는 공장의 노동환경이 열악했을 뿐만 아니라 노동자와 가족들이 거주하는 환경도 매우 나빴다. 당대인들에게 특히 충격적이었던 감염성 질환의 사례인 ‘공장열’(Factory fever)과 대표적인 수인성 전염병인 콜레라의 사례를 조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