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정주의 초기 기행시와 ‘신라-질마재’의 발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269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정주의 초기 기행시를 주목한 이 글의 목적은 두 가지다. 첫째, 1930년대 경주 기행시를 통해 서정주가 어떻게 ‘신라’를 처음 발견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경주 여행에서 발견된 ...

      서정주의 초기 기행시를 주목한 이 글의 목적은 두 가지다. 첫째, 1930년대 경주 기행시를 통해 서정주가 어떻게 ‘신라’를 처음 발견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경주 여행에서 발견된 ‘신라’가 이후 서정주의 만주 체험을 거치면서 어떻게 ‘질마재’라는 장소성과 만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서정주는 시 창작 초기부터 기행시라는 형식과 경주로 상징되는 ‘신라적 공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초기 기행시 「경주시」는 신라정신의 기원에 대한 서정주의 모색이 신라 천 년의 고도 경주에 대한 장소정체성과 함께 뚜렷하게 드러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무엇보다 「경주시」의 존재론적 가치와 위상은 서정주의 신라정신 탐구의 기원을 1930년대 후반으로까지 앞당기게 하는 결정적 증거로 작용한다는 데 있다.
      경주 여행 이후 1940년 9월부터 1941년 2월까지 이어진 만주 체류는 서정주에게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신라-질마재’를 구상하게 한 계기로 작용했다. 이른바 ‘만주 드림’으로 이상화된 당대의 만주담론과 달리 서정주에게 만주는 ‘무간지옥’이자 ‘외국인의 외국인’이라는 주변인의 실존적 위치를 실감케하는 세계상실의 공간이었다. 이렇듯 절망적인 현실인식은 서정주에게 모든 장소의 바깥에 있는 또 다른 장소이자 대안적 공간인 헤테로토피아를 상상하게 했다. 실질적인 장소이면서 일종의 반(反)배치이자 실제로 현실화된 유토피아적 장소인 ‘신라-질마재’를 구상하게 한 것이다. 이처럼 경주와 만주 체험은 서정주 시세계의 중요한 변곡점으로 작용했다. 서정주는 경주 체험을 통해 ‘신라’에 대한 정신적 지향성을 모색하고, 이후 만주 체험을 통해 자신의 고향 ‘질마재’를 새롭게 발견했다. 그리고 이 둘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신라-질마재’를 이후 자신의 시세계를 지탱할 상상력과 시학의 내핵으로 자리매김시켰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hich may be the initial step to a study on Seo Joeng-ju’s travel poetry, has two purposes. First it attempts to identify how Seo Jeong-ju discovered ‘Silla’ through his poems about Gyeongju travel in 1930s. Second, it explores how t...

      This paper, which may be the initial step to a study on Seo Joeng-ju’s travel poetry, has two purposes. First it attempts to identify how Seo Jeong-ju discovered ‘Silla’ through his poems about Gyeongju travel in 1930s. Second, it explores how this ‘Silla’ that was discovered through travelling Gyeonju, meets the placeness of ‘Gilmajae’ through Seo Jeong-ju’s Manju experiences. Since his early stage of poetry writing, Seo Jeong-ju has had a deep interest in the poetic form of travel poetry and the ‘Silla-ic space’ which can be represented by Gyeongju. Gyeongjusi (Gyeongju poem), the early travel poetry is an important work revealing Seo Jeong-ju’s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the Silla spirit and the place identity of Gyeongju as the ancient capital of the thousand year Silla. Most of all, the existential value and status of Gyeongjusi acts as a critical evidence transferring the origin of Seo Jeong-ju’s exploration of Silla spirit to late 1930s.
      His stay in Manju from September 1940 to February 1941 after his Gyeonju travel acted as the opportunity for Seo Jeong-ju to conceptualize ‘Silla-Gilmajae’ as the heterotopia. Unlike the Manju discourse of the time, which was idealized as the so-called ‘Manju Dream’, Manju was a ‘Naraka (hell)’ and the space of world loss making him to experience the existential status of a marginal man as a ‘foreigner of foreigners’ for him. As such, the hopeless perception about the reality made Seo Jeong-ju to imagine heterotopia, an alternative space and the other place outside of all the places. This let him to conceive ‘Silla-Gilmajae’, an actual place and a sort of anti-placement as well as the actual realistic utopian place. The experiences of Gyeongju and Manju acted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Seo Jeong-ju’s poetic world. Through experiences of Gyeongju, Seo Jeong-ju explored spiritual directions of ‘Silla’ and through experiences of Manju, he newly discovered his hometown, ‘Gilmajae’. As a concept embracing the two worlds, he positioned ‘Silla-Gilmajae’ as the inner core of his poetics and imaginations supporting his poetic worl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기행시의 출발지이자 신라정신의 시원인 경주
      • 2. 만주 체험과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신라-질마재’
      • 3. 산문과 시, 만주를 기억하는 두 가지 방식
      • 4. 결론
      • 〈국문초록〉
      • 1. 기행시의 출발지이자 신라정신의 시원인 경주
      • 2. 만주 체험과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신라-질마재’
      • 3. 산문과 시, 만주를 기억하는 두 가지 방식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세룡, "헤테로토피아: (탈)근대 공간 이해를 위한 시론" 대구사학회 95 : 285-317, 2009

      2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14

      3 곽은희, "틈새의 헤테로토피아, 만주" 인문과학연구소 (70) : 83-114, 2014

      4 슈테판 귄첼, "토폴로지: 문화학과 매체학에서 공간 연구" 에코리브르 2010

      5 박수연, "참담과 숭고 ― 서정주의 만주 체험" 국제비교한국학회 21 (21): 11-42, 2013

      6 김진희, "제국과 식민지 경계의 텍스트 - 1930년대 후반 문인의 만주행" 한국문학연구소 (48) : 257-286, 2015

      7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8 조은주, "일제말기 만주체험 시인들과 ‘기억’의 계보학적 탐색" 한국시학회 (23) : 35-65, 2008

      9 서영인, "일제말기 만주담론과 만주기행" 한민족문화학회 (23) : 209-238, 2007

      10 전월매, "일제강점기 재만조선시인 범주와 거류형 시인의 만주 인식" 만주학회 9 : 37-65, 2009

      1 장세룡, "헤테로토피아: (탈)근대 공간 이해를 위한 시론" 대구사학회 95 : 285-317, 2009

      2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14

      3 곽은희, "틈새의 헤테로토피아, 만주" 인문과학연구소 (70) : 83-114, 2014

      4 슈테판 귄첼, "토폴로지: 문화학과 매체학에서 공간 연구" 에코리브르 2010

      5 박수연, "참담과 숭고 ― 서정주의 만주 체험" 국제비교한국학회 21 (21): 11-42, 2013

      6 김진희, "제국과 식민지 경계의 텍스트 - 1930년대 후반 문인의 만주행" 한국문학연구소 (48) : 257-286, 2015

      7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8 조은주, "일제말기 만주체험 시인들과 ‘기억’의 계보학적 탐색" 한국시학회 (23) : 35-65, 2008

      9 서영인, "일제말기 만주담론과 만주기행" 한민족문화학회 (23) : 209-238, 2007

      10 전월매, "일제강점기 재만조선시인 범주와 거류형 시인의 만주 인식" 만주학회 9 : 37-65, 2009

      11 조미숙, "일제 말 지식인의 만주행과 글쓰기 - 『삼천리』의 담론과 최남선의 만주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3) : 741-766, 2009

      12 황종연, "아이덴티티의 장소로서의 경주" 한국문학연구소 (39) : 59-94, 2010

      13 황종연, "신라의 발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8

      14 오양호, "시인부락파의 북방행과 그 시의식" 문학사상사 1994

      15 폴 리쾨르, "시간과 이야기 3" 문학과지성사 2015

      16 미르치아 엘리아데, "성과 속" 한길사 1998

      17 최현식, "서정주의『만주일기(滿洲日記)』를 읽는 한 방법" 민족문학사학회 (54) : 369-402, 2014

      18 최옥선, "서정주의 신라정신 수용과 소통의 미학" 신라문화연구소 45 : 381-404, 2015

      19 김익균, "서정주의 50년대 시세계와 신라정신의 구체성 ― 『신라초』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한국시학회 (33) : 149-182, 2012

      20 박현수, "서정주와 미학적 기획으로서의 신라정신-사소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4) : 89-119, 2006

      21 서정주, "서정주문학전집" 일지사 1972

      22 최현식, "서정주 시의 근대와 반근대" 소명출판 2003

      23 문태준, "서정주 시의 ‘신라’ 표상과 불교적 상상력 - 시집『신라초』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28) : 5-40, 2011

      24 김미경, "상상계와 현상계의 사이 : 헤테로토피아로서의 하얼빈" 인문과학연구소 (70) : 161-206, 2014

      25 김부식, "삼국사기"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2

      26 테오도르 아도르노, "미학 이론" 문학과지성사 2004

      27 김우창, "미당연구" 민음사 1994

      28 이광호, "미당연구" 민음사 361-381, 1994

      29 서정주, "미당 서정주 전집: 시" 은행나무 2015

      30 서정주, "미당 서정주 전집 7: 문학적 자서전" 은행나무 2016

      31 미셸 푸코, "말과 사물" 민음사 2014

      32 시와시학사, "대담 「시와 시인을 찾아서 1: 미당 서정주편」" (봄) : 1992

      33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1995

      34 윤재웅, "『질마재신화』에 나타나는 ‘액션’ 미학" 동악어문학회 (61) : 367-396, 2013

      35 최현식, "‘질마재’의 역사성과 장소성 - 산문과 자전(自傳)의 낙차" 한국시학회 (43) : 139-175, 2015

      36 남기혁, "‘신라정신’의 번안으로서의 『질마재 신화』와 그 윤리적 의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101-132, 2014

      37 김진희, "1940년 전후 서정주의 시적 도정: 랭보, 릴케의 호명(呼名)과 그 의미" 한국시학회 (43) : 41-76,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