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부정적 경험이 우울증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dolescent's Negative Experience Based on Ecosystem Theory on Depression and Suicide Though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42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ain variables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theory in order to effect of adverse experiences on adolescent 's mental health. The survey subjects were 7,962 youth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on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in 2016, 3,741 middle school students and 4,221 high school stud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irst,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friendship,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static correlation with family function and residence safety. Second, the greater the number of negative experiences experienced in the ecological system, the greater the impact on adolescents' mental health. Third, the ecological system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depression of adolescents was school factor (friendship) among micro system variables, and suicide thought was family factor (abuse) among micro system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necessity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ain variables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theory in order to effect of adverse experiences on adolescent 's mental health. The survey subjects were 7,962 youth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on human rights of c...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ain variables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theory in order to effect of adverse experiences on adolescent 's mental health. The survey subjects were 7,962 youth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on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in 2016, 3,741 middle school students and 4,221 high school stud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irst,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friendship,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static correlation with family function and residence safety. Second, the greater the number of negative experiences experienced in the ecological system, the greater the impact on adolescents' mental health. Third, the ecological system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depression of adolescents was school factor (friendship) among micro system variables, and suicide thought was family factor (abuse) among micro system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necessity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하여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부정적 경험이 청소년의 우울증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주요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조사대상은 2016년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7,962명으로 중학생 3741명, 고등학생 4,221명이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생태체계 이론에 기반 하여 개인체계,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변인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우울증과 자살생각의 변량분석을 추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 자살생각은 친구관계, 차별경험과 정적상관을, 가정기능, 거주지 안전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생태체계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경험의 수가 많을수록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주변 환경에서 겪는 부정적 경험들이 많을수록 우울증, 자살생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청소년의 우울증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은 미시체계 변인 중 학교요인(친구관계)이었고 자살생각은 미시체계 변인 중 가족요인(학대)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하여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부정적 경험이 청소년의 우울증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주요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조사대상은 2016년 아동...

      본 연구에서는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하여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부정적 경험이 청소년의 우울증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주요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조사대상은 2016년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7,962명으로 중학생 3741명, 고등학생 4,221명이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생태체계 이론에 기반 하여 개인체계,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변인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우울증과 자살생각의 변량분석을 추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 자살생각은 친구관계, 차별경험과 정적상관을, 가정기능, 거주지 안전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생태체계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경험의 수가 많을수록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주변 환경에서 겪는 부정적 경험들이 많을수록 우울증, 자살생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청소년의 우울증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은 미시체계 변인 중 학교요인(친구관계)이었고 자살생각은 미시체계 변인 중 가족요인(학대)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엽,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21-149, 2010

      2 박재숙, "학교위험요인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Baumeister의 도피이론(Escape Theory)모형의 검증을 통해"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3 조주영,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유형과 유형변화 및 정서문제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301-323, 2014

      4 노자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대한 가족 영향력 분석: 자살충동 궤적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0 (10): 1-21, 2013

      5 김현숙, "지속된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121-143, 2013

      6 김평화, "아동학대가 아동의 우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권리학회 18 (18): 601-620, 2014

      7 윤상영, "아동기 학대 경험 및 부부폭력 노출 경험이 성인기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 회복 탄력성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고유나,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이 대학생의 우울 및 불안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15

      9 장희순, "아동기 신체적 학대 경험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외상후 증상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권리학회 19 (19): 163-185, 2015

      10 배화옥, "아동 발달단계별 아동학대 특성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5-29, 2016

      1 김재엽,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21-149, 2010

      2 박재숙, "학교위험요인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Baumeister의 도피이론(Escape Theory)모형의 검증을 통해"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3 조주영,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유형과 유형변화 및 정서문제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301-323, 2014

      4 노자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대한 가족 영향력 분석: 자살충동 궤적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0 (10): 1-21, 2013

      5 김현숙, "지속된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121-143, 2013

      6 김평화, "아동학대가 아동의 우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권리학회 18 (18): 601-620, 2014

      7 윤상영, "아동기 학대 경험 및 부부폭력 노출 경험이 성인기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 회복 탄력성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고유나,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이 대학생의 우울 및 불안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15

      9 장희순, "아동기 신체적 학대 경험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외상후 증상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권리학회 19 (19): 163-185, 2015

      10 배화옥, "아동 발달단계별 아동학대 특성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5-29, 2016

      11 김현진, "부모의 학대가 청소년의 공격성과 비행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3 (23): 97-122, 2016

      12 김연수, "나홀로아동의 생태체계요인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63-386, 2017

      13 김정란, "가정폭력 및 학교폭력이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310-333, 2014

      14 Felitti, V. J, "Relationshipof childhood abuse and household dysfunction to many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adults :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ACE)study" 14 (14): 24-, 1998

      15 Finkelhor, D., "Polyvictimization in development context" 4 : 291-300, 2011

      16 Finkelhor, D., "Pathways to poly-victimization" 14 : 316-329, 2009

      17 Bronfenbrener, U., "Measuring Environment Across the Life Span: Emerging Methods and Concep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ress 3-28, 1999

      18 Cukor, D., "History of child abuse and severity of adult depression the mediating role of cognitive shema" 15 : 19-34, 2006

      19 Bronfenbrener, U., "Developmental Science in the 21st Century: Emerging Questions, Theoretical Models, Research Designs and Empirical Findings" 9 (9): 115-125, 2000

      20 Ttofi, M. M., "Bullying : Short-term and long-term effects, and importance of defiance thepry in explanation and prevention" 3 : 289-312, 2008

      21 Van der kolk, "Addressing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to improve public health: expert consultation"

      22 보건복지부, "2016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4-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발달지원학회 -> 한국발달지원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