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nalyses of Surrealism-Inspired Fashion Designs by Applying the SCAMPER Creativity T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5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SCAMPER creativity tools to analyze surrealism-inspired fashion designs and to evaluate the creative value of surrealist fashion while providing a systematic source for creative design ideation. Thirty-two sur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SCAMPER creativity tools to analyze surrealism-inspired fashion designs and to evaluate the creative value of surrealist fashion while providing a systematic source for creative design ideation. Thirty-two surrealism-inspired collections, introduced from 2000 S/S to 2016 F/W and highlighted by articles in Vogue and Elle,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sub-questions of SCAMPER.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surrealism-inspired fashion designs are valuable for creative design ideation because all 10 SCAMPER components—Substitute, Combine, Adapt, Modify, Magnify, Minify, Put to other use, Eliminate, Rearrange and Reverse—are utilized in the analyzed designs. Specifically, the following expression techniques are found: 3-D substitution of 2-D and vice versa; combination of two items as well as 2-D and 3-D; adaptation of surrealist artists’ works, techniques for the decoration, and morphologically similar objects; size and morphological modification of items, objects, and decorations; items and objects put to other use; partial elimination of garments including leaving holes and cuts in garments; and rearranging of garment parts including reversal of front/back and in- side/outside. In the future, more surrealism-inspired collections should be analyzed to accumulate a greater variety of creative design exampl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주희, "호안 미로 회화를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 핸드 니들 펀칭 기법을 중심으로 -" 한국니트디자인학회 9 (9): 37-47, 2011

      2 이민선, "해외 패션교육기관에서의 창의성 개발 교육사례 분석" 한국의류학회 35 (35): 748-760, 2011

      3 윤수인, "포스트모던 패션의 창의적 표현을 위한 발상과 디자인 프로세스 - 남성 니트웨어 디자인 개발 중심으로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2 (12): 203-218, 2013

      4 김은실,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 및 조형성 분석 -2005 S/S컬렉션~2014-15 F/W컬렉션-"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123-137, 2015

      5 유영선,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스캠퍼(SCAMPER)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표현" 한국패션디자인학회 8 (8): 59-73, 2008

      6 김수경,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6 (6): 370-385, 2004

      7 허승연,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에 나타난 데페이즈망(Depaysement) - 미국, 프랑스, 일본 백화점을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 64 (64): 1-12, 2014

      8 문희강, "패션디자인 교육에서 과제에 대한 예상된 평가와 과제 난이도가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개인의 창의적 동기성향과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4) : 429-446, 2012

      9 서승희, "패션디자인 개발을 위한 스캠퍼 기법의 적용 연구 -스캠퍼 문항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3 (23): 1-9, 2019

      10 이민선,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 분석 모형 개발 - 칙센트미하이와 가드너의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 65 (65): 137-153, 2015

      1 정주희, "호안 미로 회화를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 핸드 니들 펀칭 기법을 중심으로 -" 한국니트디자인학회 9 (9): 37-47, 2011

      2 이민선, "해외 패션교육기관에서의 창의성 개발 교육사례 분석" 한국의류학회 35 (35): 748-760, 2011

      3 윤수인, "포스트모던 패션의 창의적 표현을 위한 발상과 디자인 프로세스 - 남성 니트웨어 디자인 개발 중심으로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2 (12): 203-218, 2013

      4 김은실,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 및 조형성 분석 -2005 S/S컬렉션~2014-15 F/W컬렉션-"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123-137, 2015

      5 유영선,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스캠퍼(SCAMPER)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표현" 한국패션디자인학회 8 (8): 59-73, 2008

      6 김수경,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6 (6): 370-385, 2004

      7 허승연, "패션윈도우 디스플레이에 나타난 데페이즈망(Depaysement) - 미국, 프랑스, 일본 백화점을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 64 (64): 1-12, 2014

      8 문희강, "패션디자인 교육에서 과제에 대한 예상된 평가와 과제 난이도가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개인의 창의적 동기성향과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4) : 429-446, 2012

      9 서승희, "패션디자인 개발을 위한 스캠퍼 기법의 적용 연구 -스캠퍼 문항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3 (23): 1-9, 2019

      10 이민선,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 분석 모형 개발 - 칙센트미하이와 가드너의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 65 (65): 137-153, 2015

      11 김정아,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 실내공간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75-86, 2013

      12 이진윤, "초현실주의를 활용한 드레스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5 (15): 21-40, 2015

      13 홍수진,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코트 디자인 개발"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2 (22): 20-40, 2018

      14 윤경희, "초현실주의 작품을 통한 패션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8) : 367-376, 2015

      15 은숙, "초현실주의 오브제를 모티프로 한 다목적 패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15 (15): 68-80, 2007

      16 권정숙, "창조적 사고 방법의 패션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루트번스타인의 생각도구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3 (23): 35-46, 2017

      17 김칠순, "창의성 패션디자인 교육모델 개발을 위한 독일의 교육 시스템 및 포르츠하임조형대학과 베를린 예술디자인대학 교과과정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 16 (16): 745-755, 2014

      18 이예영, "재활용품을 이용한 창의적 패션소품 제작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307-320, 2012

      19 이윤정,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패션디자인 독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6 (16): 117-132, 2016

      20 백정현, "엘자 스키아빠렐리의 衣裳에 나타난 裝飾要素의 象徵體系"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9 (9): 127-144, 2005

      21 김윤경, "아이디어 발상 유형화를 통한 창의적 패션 디자인 전개 프로세스 연구" 한국복식학회 60 (60): 95-105, 2010

      22 이윤경, "아동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DIY 패션디자인 놀이학습 모형- 평면적, 입체적 디자인 매체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3 (23): 99-108, 2018

      23 박찬국, "시각디자인 과정에서 스캠퍼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7 (17): 221-230, 2004

      24 김민정, "스캠퍼를 활용한 패션 디자인 발상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137-151, 2014

      25 이윤경, "서도호와 Hussein Chalayan 작품에 나타난 창의성"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1) : 69-78, 2013

      26 권정숙, "루트번스타인(R. Root-Bernstein)의 생각도구를 활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창의적 표현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9 (19): 143-158, 2017

      27 허승연, "데페이즈망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6 (16): 15-25, 2014

      28 김명진, "공공교통환경에서 대합실 내 벤치의 기능적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5 (5): 145-156, 2004

      29 "Vogue US"

      30 Hirshlag, J., "Trend alert: 20 out-of-this-world fashion moments inspired by surrealism"

      31 Ornella, K. P., "The heritage-creativity interplay. How fashion designers are reinventing heritage as modern design: The French Case" 8 (8): 77-95, 2018

      32 MacDonald, N. M., "Teaching for creativity through fashion design" 102 (102): 48-53, 2010

      33 Hyunzin Ko, "Surrealistic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Fashion Ads" 한국복식학회 5 (5): 68-77, 2005

      34 Hannah Crawforth, "Surrealism and the Fashion Magazine" Project Muse 14 (14): 212-246, 2004

      35 Waldberg, P., "Surrealism" Thames & Hudson 1965

      36 Bradley, F., "Surrealism" Tate 1997

      37 Min-Ji Kim, "Study on the Surrealistic Distortion of Body Images in Fashion" 한국복식학회 11 (11): 37-52, 2011

      38 Robyn Gibson, "Schiaparelli, Surrealism and the Desk Suit" Informa UK Limited 30 (30): 48-58, 2013

      39 최선영, "SCAMPER에 의한 한국적 이미지의 복식디자인 분석 및 창의적 발상" 한국복식학회 64 (64): 1-17, 2014

      40 Eberle, B., "SCAMPER: Creative games and activities for imagination development" Prufrock Press 2008

      41 Stefano Cirella, "Organizational Learning Mechanisms and Creative Climate: Insights from an Italian Fashion Design Company" Wiley 25 (25): 211-222, 2016

      42 Angela BURNS, "Moda Tasarımı Eğitiminde Yaratıcı Tasarım ve Kalıp Geliştirme için Origami Kullanımı" UCTEA Chamber of Textile Engineers 26 (26): 86-96, 2019

      43 Gablik, S., "Magritte" Thames & Hudson 1985

      44 Tarek Ben Hassen, "Local rooting and creativity within the fashion industry in Beirut" Emerald 14 (14): 92-109, 2019

      45 Sabina Stent, "Fetishizing the Feminine: the Surreal Fashion of Elsa Schiaparelli" Edinburgh University Press 50 (50): 78-87, 2011

      46 Martin, R., "Fashion and surrealism" Thames & Hudson 1988

      47 Baudot, F., "Fashion & surrealism" Assouline 2001

      48 Nejad, E. S., "Evaluation of creativity pragmatics in the design of gowns of The 2nd International Fashion and Clothing Festival of Iran based on the SCAMPER technical pattern [Special issue]" 6 : 1-29, 2019

      49 Joyce R. Robinson, "Creativity and tolerance of ambiguity in fashion design students" Informa UK Limited 12 (12): 96-104, 2018

      50 Cox, D., "Creative thinking for dummies" John Wiley & Sons 2013

      51 Cirella, S., "Collective creativity by design : Learning from an Italian fashion design company" 32 (32): 53-75, 2012

      52 Marylaura Papalas, "Avant-garde Cuts: Schiaparelli and the Construction of a Surrealist Femininity" Informa UK Limited 20 (20): 503-522, 2016

      53 Osborn, A. F.,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thinking" Charles Scribner’s Sons 1957

      54 Ryoko, U., "Analyzing visual metaphor and metonymy to understand creativity in fashion" 9 : 2019

      55 Bang, J. H, "Analyses of surrealist fashion design based on object utilization categories" Korea University 2012

      56 Vuruskan, A., "An approach to develop creativity by understanding structure in fashion design education" 27 (27): 74-82, 2017

      57 Mary Ruppert-Stroescu, "A Typology of Creativity in Fashion Design and Development" Informa UK Limited 6 (6): 9-35, 2015

      58 Anderson, K., "20 Surreal fashions to fall hard for, from Dali to Magritt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4 0.04 0.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2 0.02 0.3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