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원기, "현대 연극에 나타난 바리데기 설화의 변용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1
2 한국연극협회, "한국현대연극 100년" 한국연극협회 2008
3 이상일, "한국 연극의 문화형성력" 눈빛 2000
4 하루오 시라네,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2002
5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전" 역락 2010
6 조현설,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 2006
7 송 무, "영문학에 대한 반성" 민음사 1997
8 김영숙, "여성중심 시각에서 본 <바리공주>" 국어문학회 31 : 73-91, 1996
9 김혜순,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문학동네 2002
10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 홍원기, "현대 연극에 나타난 바리데기 설화의 변용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1
2 한국연극협회, "한국현대연극 100년" 한국연극협회 2008
3 이상일, "한국 연극의 문화형성력" 눈빛 2000
4 하루오 시라네,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2002
5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전" 역락 2010
6 조현설,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 2006
7 송 무, "영문학에 대한 반성" 민음사 1997
8 김영숙, "여성중심 시각에서 본 <바리공주>" 국어문학회 31 : 73-91, 1996
9 김혜순,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문학동네 2002
10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1 신종락, "어린이책 출판동향에 관한 연구-출판 유통과 마케팅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35 (35): 215-235, 2009
12 이경하, "서사무가 채록의 문제점과 번역의 가능성 - <바리공주>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6) : 97-115, 2011
13 김윤희,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현대극 수용 양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14 마성은, "서사무가 <바리공주>를 동화화 할 때 버려야 할 것과 살려야 할 것"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5 : 175-197, 2009
15 신동흔, "살아 있는 우리 신화" 한겨레 2004
16 강은해, "바리데기 형성의 신화․심리학적 두 원리" 계명어문학회 1 : 53-73, 1984
17 김환희, "바리공주 이야기 속의 전통과 현대: 무속신화의 동화화가 지닌 여러 문제점에 관한 고찰" 건국대 동화와번역연구소 2 : 33-76, 2001
18 서동원, "문화콘텐츠 OSMU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 연구 : 원천콘텐츠 '바리공주'의 영상매체전환 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0
19 김현숙, "매체를 활용한 고전문학 재창조 교육 방법 연구 : 무속신화 『바리공주』를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천경록, "국어과 교육과정 정책 연구의 방향" 국어교육학회 (36) : 41-69, 2009
21 이성영, "국어 교과서 정책" 국어교육학회 (36) : 71-98, 2009
22 조희정, "교과서 수록 고전 제재 변천 연구 -건국 과도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중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17) : 281-330, 2005
23 李景河, "「바리공주」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특징에 관한 비교 고찰"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24 신동흔, "21세기 사회문화적 상황과 고전문학 연구의 과제-자본과 욕망의 시대, 존재와 가치의 근원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2) : 117-146,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