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리신화 ‘古典化’ 과정의 사회적 맥락 = The Social Context of the Canonization of the Princess Bari Ep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98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Princess Bari epic came to be regarded as a canonical epic text representative of Korea. The way in which this shamanistic epic was reexamined to become one of the representative myths of Korea aptly illustrates how a text is established as a canonical work within society. This process involves the rediscovery and re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certain elements of the text within the give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canonization process of the Princess Bari myth can be divided into four phases. The first phase, dating to the 1960~70s, witnessed the intensive study of oral literature and shamanistic epics amidst the widening social interest in traditional folk culture. In the second phase, dating to the 1980~90s, active attempts to reinterpret the Princess Bari myth took place within both the academic and arts communities, particularly amidst a heated interest in feminism. The fact that the heroine is an oppressed being within a patriarchical society, the fact that it is a worthless and abandoned daughter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only being that can heal an unwell society, and the fact that gut rituals and shamanistic epics are female gendered cultural forms all came to be actively reconsidered and imbued with meaning as a result of the feminist influence.
      In the third phase, the Princess Bari myth came to be included in Korean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tandard. This was due to the spread of feminism within society, as well as the result of the academic community's continued research into the literary traditions of Korea. The inclusion of the Princess Bari myth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was an acknowledgement of the importance of the myth as a canonical text, as well as an event which acted to reproduce its importance as such a classic. Finally,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 Princess Bari myth has come to be widely consumed by the public following its active representation in various forms, such as publishing, theatre and film, following the flourishing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Princess Bari epic came to be regarded as a canonical epic text representative of Korea. The way in which this shamanistic epic was reexamined to become one of the representative myths of K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Princess Bari epic came to be regarded as a canonical epic text representative of Korea. The way in which this shamanistic epic was reexamined to become one of the representative myths of Korea aptly illustrates how a text is established as a canonical work within society. This process involves the rediscovery and re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certain elements of the text within the give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canonization process of the Princess Bari myth can be divided into four phases. The first phase, dating to the 1960~70s, witnessed the intensive study of oral literature and shamanistic epics amidst the widening social interest in traditional folk culture. In the second phase, dating to the 1980~90s, active attempts to reinterpret the Princess Bari myth took place within both the academic and arts communities, particularly amidst a heated interest in feminism. The fact that the heroine is an oppressed being within a patriarchical society, the fact that it is a worthless and abandoned daughter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only being that can heal an unwell society, and the fact that gut rituals and shamanistic epics are female gendered cultural forms all came to be actively reconsidered and imbued with meaning as a result of the feminist influence.
      In the third phase, the Princess Bari myth came to be included in Korean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tandard. This was due to the spread of feminism within society, as well as the result of the academic community's continued research into the literary traditions of Korea. The inclusion of the Princess Bari myth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was an acknowledgement of the importance of the myth as a canonical text, as well as an event which acted to reproduce its importance as such a classic. Finally,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 Princess Bari myth has come to be widely consumed by the public following its active representation in various forms, such as publishing, theatre and film, following the flourishing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바리신화가 한국의 대표적인 고전으로 자리매김 되어가는 사회적 맥락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사무가 <바리공주/바리데기>가 20세기 후반에 대표적인 한국의 신화로 재평가된 현상은 하나의 텍스트가 한 사회의 가치 있는 고전으로 구성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그것은 바리신화에 내재한 어떠한 요소가 특정한 사회적․문화적 배경 속에서 가치 있는 것으로 재발견되고 재해석되는 과정이었다.
      바리신화의 고전화 과정은 크게 네 단계로 요약된다. 첫째, 1960~70년대에 전통과 민중문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 속에서 무가와 같은 구비문학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둘째, 1980~90년대에 강하게 불었던 페미니즘의 열기 속에서, 바리신화를 재해석하는 시도가 학계와 예술계에서 동시에 활발히 이루어졌다. 여주인공이 가부장적 사회의 억압된 존재를 상징한다는 점, 무가치하다고 버려진 딸이 병든 사회를 치유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로 그려진다는 점, 그리고 굿과 무가라는 여성 젠더화된 문화형식. 이러한 바리신화의 내적 요소들이 페미니즘과 만나면서 적극적으로 재독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바리신화가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었는데, 이는 바리신화의 고전적 가치에 대한 인정인 동시에 고전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바리신화가 출판물, 공연물, 영상물 등으로 활발하게 재창작되고 있는 배경으로서 21세기 문화콘텐츠 산업의 흥기를 지적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바리신화가 한국의 대표적인 고전으로 자리매김 되어가는 사회적 맥락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사무가 <바리공주/바리데기>가 20세기 후반에 대표적인 한국의 신화로 ...

      이 논문은 바리신화가 한국의 대표적인 고전으로 자리매김 되어가는 사회적 맥락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사무가 <바리공주/바리데기>가 20세기 후반에 대표적인 한국의 신화로 재평가된 현상은 하나의 텍스트가 한 사회의 가치 있는 고전으로 구성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그것은 바리신화에 내재한 어떠한 요소가 특정한 사회적․문화적 배경 속에서 가치 있는 것으로 재발견되고 재해석되는 과정이었다.
      바리신화의 고전화 과정은 크게 네 단계로 요약된다. 첫째, 1960~70년대에 전통과 민중문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 속에서 무가와 같은 구비문학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둘째, 1980~90년대에 강하게 불었던 페미니즘의 열기 속에서, 바리신화를 재해석하는 시도가 학계와 예술계에서 동시에 활발히 이루어졌다. 여주인공이 가부장적 사회의 억압된 존재를 상징한다는 점, 무가치하다고 버려진 딸이 병든 사회를 치유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로 그려진다는 점, 그리고 굿과 무가라는 여성 젠더화된 문화형식. 이러한 바리신화의 내적 요소들이 페미니즘과 만나면서 적극적으로 재독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바리신화가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었는데, 이는 바리신화의 고전적 가치에 대한 인정인 동시에 고전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바리신화가 출판물, 공연물, 영상물 등으로 활발하게 재창작되고 있는 배경으로서 21세기 문화콘텐츠 산업의 흥기를 지적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원기, "현대 연극에 나타난 바리데기 설화의 변용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1

      2 한국연극협회, "한국현대연극 100년" 한국연극협회 2008

      3 이상일, "한국 연극의 문화형성력" 눈빛 2000

      4 하루오 시라네,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2002

      5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전" 역락 2010

      6 조현설,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 2006

      7 송 무, "영문학에 대한 반성" 민음사 1997

      8 김영숙, "여성중심 시각에서 본 <바리공주>" 국어문학회 31 : 73-91, 1996

      9 김혜순,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문학동네 2002

      10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 홍원기, "현대 연극에 나타난 바리데기 설화의 변용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1

      2 한국연극협회, "한국현대연극 100년" 한국연극협회 2008

      3 이상일, "한국 연극의 문화형성력" 눈빛 2000

      4 하루오 시라네,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2002

      5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전" 역락 2010

      6 조현설,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 2006

      7 송 무, "영문학에 대한 반성" 민음사 1997

      8 김영숙, "여성중심 시각에서 본 <바리공주>" 국어문학회 31 : 73-91, 1996

      9 김혜순,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문학동네 2002

      10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1 신종락, "어린이책 출판동향에 관한 연구-출판 유통과 마케팅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35 (35): 215-235, 2009

      12 이경하, "서사무가 채록의 문제점과 번역의 가능성 - <바리공주>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6) : 97-115, 2011

      13 김윤희,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현대극 수용 양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14 마성은, "서사무가 <바리공주>를 동화화 할 때 버려야 할 것과 살려야 할 것"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5 : 175-197, 2009

      15 신동흔, "살아 있는 우리 신화" 한겨레 2004

      16 강은해, "바리데기 형성의 신화․심리학적 두 원리" 계명어문학회 1 : 53-73, 1984

      17 김환희, "바리공주 이야기 속의 전통과 현대: 무속신화의 동화화가 지닌 여러 문제점에 관한 고찰" 건국대 동화와번역연구소 2 : 33-76, 2001

      18 서동원, "문화콘텐츠 OSMU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 연구 : 원천콘텐츠 '바리공주'의 영상매체전환 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0

      19 김현숙, "매체를 활용한 고전문학 재창조 교육 방법 연구 : 무속신화 『바리공주』를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천경록, "국어과 교육과정 정책 연구의 방향" 국어교육학회 (36) : 41-69, 2009

      21 이성영, "국어 교과서 정책" 국어교육학회 (36) : 71-98, 2009

      22 조희정, "교과서 수록 고전 제재 변천 연구 -건국 과도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중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17) : 281-330, 2005

      23 李景河, "「바리공주」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특징에 관한 비교 고찰"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24 신동흔, "21세기 사회문화적 상황과 고전문학 연구의 과제-자본과 욕망의 시대, 존재와 가치의 근원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2) : 117-146,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5 1.52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