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시대 창의적 인간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빅데이터와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Social Perception of Creative Human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cusing on Big Data and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222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의적 인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현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간은 어떠한 특성들을 보이고 있는지 사회적 담론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4차산엽혁명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다보스포럼 (2016년 l윌 20 일) 시점부터 2021년 1윌 20일까지 총 5년 동안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핵심키워드는 “4차산업혁명 + 창의적 인간” 이며, 수집된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데이터 마이닝 과정을 거쳐 672KB데이터가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 4차산엽혁명시대의 창의적 인간’ 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분석해 본 결과, ‘혁신, 변화, 인재, 경제’ 등이 중요한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높은 빈도로 나타난 단어들을 영역별로 유목화한 결과, ‘혁신의 핵섬은 인재와 관련된 요인’ , ‘코로나로 산업전반의 변화와 관련된 요인’ , ‘정부차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정책 추진과 관련된 요인’ 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의적 인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현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간은 어떠한 특성들을 보...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의적 인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현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간은 어떠한 특성들을 보이고 있는지 사회적 담론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4차산엽혁명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다보스포럼 (2016년 l윌 20 일) 시점부터 2021년 1윌 20일까지 총 5년 동안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핵심키워드는 “4차산업혁명 + 창의적 인간” 이며, 수집된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데이터 마이닝 과정을 거쳐 672KB데이터가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 4차산엽혁명시대의 창의적 인간’ 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분석해 본 결과, ‘혁신, 변화, 인재, 경제’ 등이 중요한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높은 빈도로 나타난 단어들을 영역별로 유목화한 결과, ‘혁신의 핵섬은 인재와 관련된 요인’ , ‘코로나로 산업전반의 변화와 관련된 요인’ , ‘정부차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정책 추진과 관련된 요인’ 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ocial perception of creative human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by using big data, the social discourse was examined and analyzed to see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creative human beings demanded by the present age exhibit.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or a total of 5 years from the time of the Davos Forum (January 20, 2016) when the term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first used to January 20, 2021. The keyword used in this study is “4th industrial revolution + creative person. ” 672 KB of data was collected through data mining process centering on the collected big data from Internet portal sit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ocial perception of ‘creative peopl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Innovation’ , ‘change’ , ‘talent’ , and ‘economy’ were drawn as important keywords. And as a result of nomadizing the words that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by domain, it turned out that the core of innovation lies in a factor related to talent . a factor related to changes in the overall industry due to Corona ’ a factor related to the government level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promotion ’ etc.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have also been mad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ocial perception of creative human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by using big data, the social discourse was examined and analyzed to see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crea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ocial perception of creative human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by using big data, the social discourse was examined and analyzed to see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creative human beings demanded by the present age exhibit.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or a total of 5 years from the time of the Davos Forum (January 20, 2016) when the term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first used to January 20, 2021. The keyword used in this study is “4th industrial revolution + creative person. ” 672 KB of data was collected through data mining process centering on the collected big data from Internet portal sit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ocial perception of ‘creative peopl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Innovation’ , ‘change’ , ‘talent’ , and ‘economy’ were drawn as important keywords. And as a result of nomadizing the words that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by domain, it turned out that the core of innovation lies in a factor related to talent . a factor related to changes in the overall industry due to Corona ’ a factor related to the government level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promotion ’ etc.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have also been mad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