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디지털 콘텐츠의 의미생성 전략 분석 = A exploratory study for strategy of meaning generation in digital contents —especially in consideration of ‘Anystar’ adverti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472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의는 광고 미디어의 환경변화에 의해서 새롭게 나타나는 디지털 콘텐츠 중심의 광고를 살펴보고, 그것이 기존 광고의 의미 생성의 지평 확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그 장르적 변화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광고의 메시지 구조와 생성의 특성을 살펴보고, 광고의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가능해진 광고의 장르를 살펴보았다. 뉴미디어의 발전, 특히 디지털화는 광고의 텍스트적 구조를 변화시키고, 텍스트가 디지털화 되면서 이야기의 중심에 스토리텔링, 즉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들어서면서, 광고가 텍스트에서 콘텐츠로 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콘텐츠로서 광고는 탈 중심적이고 위계적이기 보다는 자유롭게 성장하는 네트워크 조직으로 구성되며, 그 의미는 결정론적이기보다는 상호작용적이며 창발적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광고 원형 혹은 소스는 다양한 이야기의 소스가 되고 이 콘텐츠들은 역으로 하나의 이야기의 소스가 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연구는 애니콜의 애니스타 광고를 사례로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가 광고 메시지의 구조와 의미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게 된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광고가 콘텐츠 광고라는 새로운 광고 장르로 그 지평을 확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이 논의는 광고 미디어의 환경변화에 의해서 새롭게 나타나는 디지털 콘텐츠 중심의 광고를 살펴보고, 그것이 기존 광고의 의미 생성의 지평 확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살펴봄...

      이 논의는 광고 미디어의 환경변화에 의해서 새롭게 나타나는 디지털 콘텐츠 중심의 광고를 살펴보고, 그것이 기존 광고의 의미 생성의 지평 확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그 장르적 변화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광고의 메시지 구조와 생성의 특성을 살펴보고, 광고의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가능해진 광고의 장르를 살펴보았다. 뉴미디어의 발전, 특히 디지털화는 광고의 텍스트적 구조를 변화시키고, 텍스트가 디지털화 되면서 이야기의 중심에 스토리텔링, 즉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들어서면서, 광고가 텍스트에서 콘텐츠로 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콘텐츠로서 광고는 탈 중심적이고 위계적이기 보다는 자유롭게 성장하는 네트워크 조직으로 구성되며, 그 의미는 결정론적이기보다는 상호작용적이며 창발적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광고 원형 혹은 소스는 다양한 이야기의 소스가 되고 이 콘텐츠들은 역으로 하나의 이야기의 소스가 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연구는 애니콜의 애니스타 광고를 사례로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가 광고 메시지의 구조와 의미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게 된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광고가 콘텐츠 광고라는 새로운 광고 장르로 그 지평을 확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ome possibilities of changing ad genre. For this purpose we look into the structural characters of digital contents that is newly noticed in the environmental change of Advertising Media, and to analyse his influence upon the horizontal extension of ad meaning generation. Furthermore we take into consideration characters of generating ad message and possible change in ad genre. The development, especially digitalization of new media change the structure of ad text, and advertising is able to be developed from text to contents, the text being digitalized and storytelling coming into shape. Ad as sort of contents is charactered as neither non-centered nor phased, rather sort of free developing network organization, where ad meaning is generated not deterministic, but interactive and emergent. From these results a ad source or prototype get to be source for various different story and vice versa. In the study is chosen anystar ad campaigns for an example to understand how digital contents take influences on ad message form and ad meaning generation. These study results will contribute to broaden the horizontal level from ad to new ad genre as contents advertis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ome possibilities of changing ad genre. For this purpose we look into the structural characters of digital contents that is newly noticed in the environmental change of Advertising Media, and to analyse his inf...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ome possibilities of changing ad genre. For this purpose we look into the structural characters of digital contents that is newly noticed in the environmental change of Advertising Media, and to analyse his influence upon the horizontal extension of ad meaning generation. Furthermore we take into consideration characters of generating ad message and possible change in ad genre. The development, especially digitalization of new media change the structure of ad text, and advertising is able to be developed from text to contents, the text being digitalized and storytelling coming into shape. Ad as sort of contents is charactered as neither non-centered nor phased, rather sort of free developing network organization, where ad meaning is generated not deterministic, but interactive and emergent. From these results a ad source or prototype get to be source for various different story and vice versa. In the study is chosen anystar ad campaigns for an example to understand how digital contents take influences on ad message form and ad meaning generation. These study results will contribute to broaden the horizontal level from ad to new ad genre as contents advertis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기
      • Ⅱ. 디지털 콘텐츠
      • Ⅲ. 콘텐츠 광고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들어가기
      • Ⅱ. 디지털 콘텐츠
      • Ⅲ. 콘텐츠 광고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arthes, "현대의 신화"

      2 정지영, "하이퍼 텍스트의 구조의 레토릭적 패턴-설명형 담론과 서사형 담론의 비교 분석" 연세대학교 1999

      3 하원규, "통신 방송 융합의 원리와 정책 대응 구도"

      4 Dijk, "텍스트학" 민음사 1995

      5 오장근, "텍스트와 문화 콘텐츠" 한국문화사 2006

      6 Brinker, K., "텍스트 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2

      7 Beaugrande, "텍스트 언어학 입문" 한신문화사 1995

      8 김광호, "콘텐츠 경쟁력 향상 방안-PP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9 이시훈, "웹 2.0 시대의 인터넷 광고론" 한국광고학회 2007

      10 송요셉, "원 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 use)의 개념적 모델 구성을 위한 시론적 연구" 9 : 2007

      1 Barthes, "현대의 신화"

      2 정지영, "하이퍼 텍스트의 구조의 레토릭적 패턴-설명형 담론과 서사형 담론의 비교 분석" 연세대학교 1999

      3 하원규, "통신 방송 융합의 원리와 정책 대응 구도"

      4 Dijk, "텍스트학" 민음사 1995

      5 오장근, "텍스트와 문화 콘텐츠" 한국문화사 2006

      6 Brinker, K., "텍스트 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2

      7 Beaugrande, "텍스트 언어학 입문" 한신문화사 1995

      8 김광호, "콘텐츠 경쟁력 향상 방안-PP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9 이시훈, "웹 2.0 시대의 인터넷 광고론" 한국광고학회 2007

      10 송요셉, "원 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 use)의 개념적 모델 구성을 위한 시론적 연구" 9 : 2007

      11 김성도, "상호매체성의 융합기호학 함의:하이퍼미디어에서 발현되는 텍스트와 이미지의 융합성을 중심으로" 2002 13 :

      12 한국언론학회, "방송콘텐츠의 지속적인 활용방안 모색 세미나" 한국언론학회/방송문화 진흥원 2007

      13 고수자, "방송콘텐츠의 국제적 경쟁력 제고 방안" 2002 (겨울) :

      14 구본철, "방송콘텐츠의 OSMU 실태분석을 위한 경쟁력 향상 방안"

      15 이문행, "방송콘텐츠 수익 창출 구조에 대한 연구" (여름) : 2003

      16 김대호, "방송과 통신의 융합-다중매체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 18 : 2000

      17 최혜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18 정호영,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이비컴 2002

      19 김정수, "디지털 콘텐츠" 이진출판사 2006

      20 이인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2003

      21 고욱, "디지털 스토리텔링"

      22 김영석,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 나남 2000

      23 이수범, "디지털 미디어와 광고" 한울 2007

      24 박용관, "네트워크론"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25 OECD, "The Implications of Convergence for Regulation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DSTI/ICCP』(2003)5/ FINAL"

      26 Baldwin, H., "Creating Effective TV Commercials" Crain Books 1982

      27 Arens,W., "Contemporary Advertising, Irwin: Chicago"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7 2.03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