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장공포증 유무에 따른 공황장애 환자의 치료결과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553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광장공포증 유무에 따른 공황장애 환자의 치료결과를 비교하고, 광장공포증 유무가 약물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DSM-IV 진단기준에 따라 광장공포증이 동반된 공황장애 환자 57명, 광장공포증이 동반되지 않은 공황장애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12주 인지행동치료와 약물병합치료 시작 전, 후에 공황장애 심각도 평가 척도(PDSS), CGI를 평가하였고, pielberger 상태-특성 불안척도(STAI), Beck 우울 척도(BDI), 개정판 불안 민감도 지표(ASI-R), 광장공포에 대한 인지 질문지(ACQ), 신체민감도에 대한 질문지(BSQ), 부정적 자동적 사고 질문지(ATQ-N), 긍정적 자동적 사고 질문지(ATQ-P)를 작성토록 하였다. 치료 후 두 군 간의 증상 심각도 및 임상 특징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고, 치료 전, 후로 증상 심각도 및 임상 특징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paired t-test 및 반복측정이원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시행하였다. 또한 두 군에서 치료 전 약물 사용 상태, 약물 처방1주후 약물 사용 상태, 12주후 약물 사용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chi square-test를 시행하였다. 치료 후 증상 심각도 및 임상 특징의 정도에서 두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DSS에서는 광장공포증군에서 치료 후 더욱 유의미한 정도의 변화를 보였다. 이는 비광장공포증군에 비하여 변화의 폭이 컸던 불안에 대한 민감성, 광장공포에 대한 인지, 긍정적 자동적 사고의 변화와 연관이 있었다. 광장공포증군과 비광장공포증군에서 치료 전과 치료 1주후 약물 사용 상태 및 치료 12주후 약물 변화의 상태에 있어 두 군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광장공포증 유무에 따른 공황장애 환자의 치료결과를 비교하고, 광장공포증 유무가 약물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DSM-IV 진단기준에 따라 광...

      본 연구는 광장공포증 유무에 따른 공황장애 환자의 치료결과를 비교하고, 광장공포증 유무가 약물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DSM-IV 진단기준에 따라 광장공포증이 동반된 공황장애 환자 57명, 광장공포증이 동반되지 않은 공황장애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12주 인지행동치료와 약물병합치료 시작 전, 후에 공황장애 심각도 평가 척도(PDSS), CGI를 평가하였고, pielberger 상태-특성 불안척도(STAI), Beck 우울 척도(BDI), 개정판 불안 민감도 지표(ASI-R), 광장공포에 대한 인지 질문지(ACQ), 신체민감도에 대한 질문지(BSQ), 부정적 자동적 사고 질문지(ATQ-N), 긍정적 자동적 사고 질문지(ATQ-P)를 작성토록 하였다. 치료 후 두 군 간의 증상 심각도 및 임상 특징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고, 치료 전, 후로 증상 심각도 및 임상 특징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paired t-test 및 반복측정이원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시행하였다. 또한 두 군에서 치료 전 약물 사용 상태, 약물 처방1주후 약물 사용 상태, 12주후 약물 사용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chi square-test를 시행하였다. 치료 후 증상 심각도 및 임상 특징의 정도에서 두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DSS에서는 광장공포증군에서 치료 후 더욱 유의미한 정도의 변화를 보였다. 이는 비광장공포증군에 비하여 변화의 폭이 컸던 불안에 대한 민감성, 광장공포에 대한 인지, 긍정적 자동적 사고의 변화와 연관이 있었다. 광장공포증군과 비광장공포증군에서 치료 전과 치료 1주후 약물 사용 상태 및 치료 12주후 약물 변화의 상태에 있어 두 군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treatment outcome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goraphobia and the use of medication. The subjects were 57 patients who met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and 18 patients who had panic disorder without agoraphobia. We assessed symptom severity and some cognitive behavioral indexes typically found in panic patients using Panic Disorder Severity Scale (PDSS), 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Revised Anxiety Sensitivity Index (ASI-R), Agoraphobic Cognition Questionnaire (ACQ), Body Sensation Questionnaire (BSQ),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ire-Negative (ATQ-N),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ire-Positive (ATQ-P). For statistical analysis, we performed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test to compare the scores of scales between pre and post treatment in both groups.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scores at post treatment state. Also chi square-test was used to compare the use of medication between patients with agoraphobia and without agoraphobia during some specific phase of treatm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cores of scales between both groups at post treatment.
      Improvement of panic symptom severity was more prominent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treated with CBT and pharmacotherapy and improvement was correlated with changes of anxiety sensitivity, agoraphobic cognition and positive automatic thoughts. The use of medication at pre treatment, at 1st week and 12th week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treatment outcome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goraphobia and the use of medication. The subjects were 57 patients who met DSM-IV crit...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treatment outcome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goraphobia and the use of medication. The subjects were 57 patients who met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and 18 patients who had panic disorder without agoraphobia. We assessed symptom severity and some cognitive behavioral indexes typically found in panic patients using Panic Disorder Severity Scale (PDSS), 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Revised Anxiety Sensitivity Index (ASI-R), Agoraphobic Cognition Questionnaire (ACQ), Body Sensation Questionnaire (BSQ),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ire-Negative (ATQ-N),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ire-Positive (ATQ-P). For statistical analysis, we performed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test to compare the scores of scales between pre and post treatment in both groups.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scores at post treatment state. Also chi square-test was used to compare the use of medication between patients with agoraphobia and without agoraphobia during some specific phase of treatm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cores of scales between both groups at post treatment.
      Improvement of panic symptom severity was more prominent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treated with CBT and pharmacotherapy and improvement was correlated with changes of anxiety sensitivity, agoraphobic cognition and positive automatic thoughts. The use of medication at pre treatment, at 1st week and 12th week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방법
      • 연구 대상
      • 치료 방법
      • 측정도구
      • 초록
      • 방법
      • 연구 대상
      • 치료 방법
      • 측정도구
      • 결과
      • 광장공포증군과 비광장공포증군의 치료 전 증상 심각도 및 주요 임상 특징 비교
      • 광장공포증군과 비광장공포증군의 치료 전-후증상 심각도 및 주요 임상 척도 변화 비교
      • 광장공포증 유무와 공황장애 치료 결과와의관련성
      • 광장공포증 유무와 약물 사용과의 관련성
      •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