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說文解字翼徵』 筆寫本과 石印本의 비교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61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기증된 필사본(筆寫本) 『설문해자익징(說文解字翼徵)』(1-5책까지 남아 있음)은 1912년에 석인본(石印本)으로 간행된 『설문해자익징』(1-6책)의 원고로 추정된다. 필사본에 적힌 수정사항이 석인본에 그대로 반영된 것이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필사본과 석인본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존재한다. 첫째, 수록한 한자의 분량이 서로 다르다. 1-5책까지 필사본에는 1,072개의 한자가 수록되었는데, 석인본에는 1,144개의 한자가 수록되었다. 둘째, 각 글자 아래 제시한 종정문의 개수가 서로 다르다. 필사본에서는 1,725개의 종정문을 제시했지만, 석인본에서는 2,286개의 종정문을 제시하였다. 석인본으로 출판되면서 수록한 한자와 종정문의 개수가 다수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내용상의 차이도 적지 않다. 한자 분석의 내용이 서로 다른 경우도 많고, 분석할 때 사용한 용어나 예시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넷째, 본문의 위쪽에 있는 頭註도 서로 다른 부분이 많다. 필사본에서는 모두 225개의 글자 위에 두주가 있는데, 석인본에는 모두 320개의 글자에 두주가 있으며, 내용과 분량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설문해자익징』은 필사본을 수정 보완하며 오랜 시간에 걸쳐 완성되었다고 보아야 하며, 그 과정에서 저술에 참여한 인물들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번역하기

      최근 기증된 필사본(筆寫本) 『설문해자익징(說文解字翼徵)』(1-5책까지 남아 있음)은 1912년에 석인본(石印本)으로 간행된 『설문해자익징』(1-6책)의 원고로 추정된다. 필사본에 적힌 수정사...

      최근 기증된 필사본(筆寫本) 『설문해자익징(說文解字翼徵)』(1-5책까지 남아 있음)은 1912년에 석인본(石印本)으로 간행된 『설문해자익징』(1-6책)의 원고로 추정된다. 필사본에 적힌 수정사항이 석인본에 그대로 반영된 것이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필사본과 석인본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존재한다. 첫째, 수록한 한자의 분량이 서로 다르다. 1-5책까지 필사본에는 1,072개의 한자가 수록되었는데, 석인본에는 1,144개의 한자가 수록되었다. 둘째, 각 글자 아래 제시한 종정문의 개수가 서로 다르다. 필사본에서는 1,725개의 종정문을 제시했지만, 석인본에서는 2,286개의 종정문을 제시하였다. 석인본으로 출판되면서 수록한 한자와 종정문의 개수가 다수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내용상의 차이도 적지 않다. 한자 분석의 내용이 서로 다른 경우도 많고, 분석할 때 사용한 용어나 예시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넷째, 본문의 위쪽에 있는 頭註도 서로 다른 부분이 많다. 필사본에서는 모두 225개의 글자 위에 두주가 있는데, 석인본에는 모두 320개의 글자에 두주가 있으며, 내용과 분량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설문해자익징』은 필사본을 수정 보완하며 오랜 시간에 걸쳐 완성되었다고 보아야 하며, 그 과정에서 저술에 참여한 인물들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cently donated manuscript, Shuowen Jiezi Yizheng (1-5 books remain) is presumed to be the original for the lithograph of Shuowen Jiezi Yizheng (1-6 books) which was published in 1912. This presumption is supported by the same correction marks in stone lithograph and the hand-written manuscript. Despite the resemblance and the identical structure as well as composition, the details (up to 1-5) at a closer look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o begin with, 1,072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in the manuscript whereas 1,144 in the lithograph. The manuscript presented 1,725 bronze script while 2,286 in the lithograph. There are 225 headnotes in manuscript and 320 in lithography, moreover, the terms and the contents to describe Chinese characters are not the same. Based on the findings above,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Shuowen Jiezi Yizheng took fair amount of time to be completed with constant revision and improvement. For these reasons further studies on the participants in the writing including the author are needed.
      번역하기

      The Recently donated manuscript, Shuowen Jiezi Yizheng (1-5 books remain) is presumed to be the original for the lithograph of Shuowen Jiezi Yizheng (1-6 books) which was published in 1912. This presumption is supported by the same correction marks in...

      The Recently donated manuscript, Shuowen Jiezi Yizheng (1-5 books remain) is presumed to be the original for the lithograph of Shuowen Jiezi Yizheng (1-6 books) which was published in 1912. This presumption is supported by the same correction marks in stone lithograph and the hand-written manuscript. Despite the resemblance and the identical structure as well as composition, the details (up to 1-5) at a closer look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o begin with, 1,072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in the manuscript whereas 1,144 in the lithograph. The manuscript presented 1,725 bronze script while 2,286 in the lithograph. There are 225 headnotes in manuscript and 320 in lithography, moreover, the terms and the contents to describe Chinese characters are not the same. Based on the findings above,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Shuowen Jiezi Yizheng took fair amount of time to be completed with constant revision and improvement. For these reasons further studies on the participants in the writing including the author are nee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설문해자익징』필사본과 석인본의 차이
      • 1. 형식상의 차이
      • 2. 종정문의 차이
      • <논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설문해자익징』필사본과 석인본의 차이
      • 1. 형식상의 차이
      • 2. 종정문의 차이
      • 3. 내용상의 차이
      • 4. 頭註의 차이
      • Ⅲ.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