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장르영화를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Critical Writing Using Genre Film in University Writing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6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critical writing education program that started from the consciousness that there is a need to set appropriate criterion for critical text. Using genre films in critical writing education, students can utilize their experience knowledge. Also can maximize the efficacy of critical writing. besides it is possible to use easy criticism language.
      The ‘Genre film criticism model’ is a educational method of critical writing that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entertainment of standardized individual genre film after learning genre film production model as background knowledge.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analyze text objectively while grasping the entertainment included in the individual genre film based on the ‘Hero's Journey’ storytelling production model. And As for the genre film's entertainment that is not understood by objective analysis, Students try to subjective interpretation by paying attention to factors such as trend, locality and individual aesthetic taste based on individual acceptance experience.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critical writing education program that started from the consciousness that there is a need to set appropriate criterion for critical text. Using genre films in critical writing education, students can utilize their experience knowledg...

      This study is a critical writing education program that started from the consciousness that there is a need to set appropriate criterion for critical text. Using genre films in critical writing education, students can utilize their experience knowledge. Also can maximize the efficacy of critical writing. besides it is possible to use easy criticism language.
      The ‘Genre film criticism model’ is a educational method of critical writing that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entertainment of standardized individual genre film after learning genre film production model as background knowledge.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analyze text objectively while grasping the entertainment included in the individual genre film based on the ‘Hero's Journey’ storytelling production model. And As for the genre film's entertainment that is not understood by objective analysis, Students try to subjective interpretation by paying attention to factors such as trend, locality and individual aesthetic taste based on individual acceptance experi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本 硏究는 비평적 대상에 따라 적절한 비평의 준거가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비평적 글쓰기 교육 방안이다. 비평문 쓰기 교육에서 장르영화를 활용하면 학생들의 先지식 활용, 비평 행위에 대한 效能感 극대화, 쉬운 비평 언어의 활용이라는 利點이 있다.
      ‘장르영화 비평 모형’은 規範化 된 장르영화 창작 모델을 배경지식으로 학습한 후 개별 장르영화의 娛樂性에 대해 분석․평가해보는 비평 틀이다. 학습자는 ‘영웅의 여행’ 스토리텔링 창작 모델을 基盤으로 텍스트에 內包된 대중적 오락성을 파악해보면서 객관적인 텍스트 분석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이후 객관적인 분석으로 이해되지 않는 오락성에 대해서는 개별적인 受容 經驗을 준거로 트렌드나 로컬리티, 개인의 미적 취향 등의 요인에 주목한 주관적인 해석을 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創意的 思考力과 表現力을 伸張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本 硏究는 비평적 대상에 따라 적절한 비평의 준거가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비평적 글쓰기 교육 방안이다. 비평문 쓰기 교육에서 장르영화를 활용하면 학생들의 先지...

      本 硏究는 비평적 대상에 따라 적절한 비평의 준거가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비평적 글쓰기 교육 방안이다. 비평문 쓰기 교육에서 장르영화를 활용하면 학생들의 先지식 활용, 비평 행위에 대한 效能感 극대화, 쉬운 비평 언어의 활용이라는 利點이 있다.
      ‘장르영화 비평 모형’은 規範化 된 장르영화 창작 모델을 배경지식으로 학습한 후 개별 장르영화의 娛樂性에 대해 분석․평가해보는 비평 틀이다. 학습자는 ‘영웅의 여행’ 스토리텔링 창작 모델을 基盤으로 텍스트에 內包된 대중적 오락성을 파악해보면서 객관적인 텍스트 분석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이후 객관적인 분석으로 이해되지 않는 오락성에 대해서는 개별적인 受容 經驗을 준거로 트렌드나 로컬리티, 개인의 미적 취향 등의 요인에 주목한 주관적인 해석을 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創意的 思考力과 表現力을 伸張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민성, "통합적 시나리오 창작 모델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38) : 367-391, 2009

      2 황성근, "텍스트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연구 ― 영화 ‘워낭소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39-69, 2013

      3 배상준, "장르영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4 Stuart Voytilla, "영화와 신화" 을유문화사 19-46, 2005

      5 나은미, "영화를 활용한 성찰 글쓰기 탐색 - 대학생을 대상으로, <더 헌트>를 활용하여 -" 한국작문학회 (31) : 63-92, 2016

      6 김성수, "영화를 활용한 글쓰기교육의 기초" 철학문화연구소 (90) : 2011

      7 한귀은, "영화를 보기를 통한 윤리적 주체로서의 글쓰기 교육-<경주>(2014)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26) : 167-191, 2014

      8 함종호, "영화 형식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 ‘프레임’을 활용한 묘사문 쓰기를 중심으로" 동남어문학회 1 (1): 303-327, 2013

      9 한래희, "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육 연구" 대학작문학회 (6) : 219-220, 2013

      10 김상남, "영화 “베테랑”에서 나타나는 소시민적 영웅 캐릭터 연구"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0 (0): 81-97, 2016

      1 최민성, "통합적 시나리오 창작 모델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38) : 367-391, 2009

      2 황성근, "텍스트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연구 ― 영화 ‘워낭소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39-69, 2013

      3 배상준, "장르영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4 Stuart Voytilla, "영화와 신화" 을유문화사 19-46, 2005

      5 나은미, "영화를 활용한 성찰 글쓰기 탐색 - 대학생을 대상으로, <더 헌트>를 활용하여 -" 한국작문학회 (31) : 63-92, 2016

      6 김성수, "영화를 활용한 글쓰기교육의 기초" 철학문화연구소 (90) : 2011

      7 한귀은, "영화를 보기를 통한 윤리적 주체로서의 글쓰기 교육-<경주>(2014)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26) : 167-191, 2014

      8 함종호, "영화 형식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 ‘프레임’을 활용한 묘사문 쓰기를 중심으로" 동남어문학회 1 (1): 303-327, 2013

      9 한래희, "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육 연구" 대학작문학회 (6) : 219-220, 2013

      10 김상남, "영화 “베테랑”에서 나타나는 소시민적 영웅 캐릭터 연구"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0 (0): 81-97, 2016

      11 이경희, "영화 <그녀 Her>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모형 연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9 (9): 255-292, 2016

      12 한영현, "영상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의 전략과 전망 : 영화 비평문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19) : 237-273, 2013

      13 이상금, "언어학습에서 창의적 글쓰기와 영화매체의 효용성"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48 (48): 80-, 2009

      14 Christopher Vogler, "신화, 영웅 그리고 시나리오 쓰기" 비즈앤비즈 13-287, 2013

      15 이채영, "시드 필드의 영화 3막 구성론을 활용한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중앙어문학회 62 : 645-684, 2015

      16 임정식, "스포츠영화의 영웅 신화 서사구조 수용과 의미- ‘영웅의 여행’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34) : 165-188, 2014

      17 류은영, "비평에서 리터러시로 - 영화 스토리텔링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학회 (38) : 345-384, 2012

      18 황혜진, "비판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드라마 비평문 쓰기교육 방법 연구" 한국독서학회 (20) : 139-168, 2008

      19 안숭범, "멜로영화 스토리텔링의 신화 구조 분석에 관한 시론 - <건축학개론>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27) : 89-103, 2012

      20 배상훈, "대학생의 글쓰기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이 글쓰기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7 (7): 1-19, 2012

      21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동연출판사 323-378, 1995

      22 조혜정, "<판의 미로>(2006)와 <전우치>(2009)에 대한 신화분석 ‘영웅의 여정’ 모델을 중심으로" 국제언어인문학회 12 (12): 113-139, 2010

      23 박종덕, "<박하사탕>을 활용한 비평적 글쓰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5 (45): 159-188, 2013

      24 영화진흥위원회, "2016 온라인 영화 소비자 조사" 71-83,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