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민성, "통합적 시나리오 창작 모델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38) : 367-391, 2009
2 황성근, "텍스트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연구 ― 영화 ‘워낭소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39-69, 2013
3 배상준, "장르영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4 Stuart Voytilla, "영화와 신화" 을유문화사 19-46, 2005
5 나은미, "영화를 활용한 성찰 글쓰기 탐색 - 대학생을 대상으로, <더 헌트>를 활용하여 -" 한국작문학회 (31) : 63-92, 2016
6 김성수, "영화를 활용한 글쓰기교육의 기초" 철학문화연구소 (90) : 2011
7 한귀은, "영화를 보기를 통한 윤리적 주체로서의 글쓰기 교육-<경주>(2014)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26) : 167-191, 2014
8 함종호, "영화 형식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 ‘프레임’을 활용한 묘사문 쓰기를 중심으로" 동남어문학회 1 (1): 303-327, 2013
9 한래희, "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육 연구" 대학작문학회 (6) : 219-220, 2013
10 김상남, "영화 “베테랑”에서 나타나는 소시민적 영웅 캐릭터 연구"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0 (0): 81-97, 2016
1 최민성, "통합적 시나리오 창작 모델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38) : 367-391, 2009
2 황성근, "텍스트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연구 ― 영화 ‘워낭소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39-69, 2013
3 배상준, "장르영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4 Stuart Voytilla, "영화와 신화" 을유문화사 19-46, 2005
5 나은미, "영화를 활용한 성찰 글쓰기 탐색 - 대학생을 대상으로, <더 헌트>를 활용하여 -" 한국작문학회 (31) : 63-92, 2016
6 김성수, "영화를 활용한 글쓰기교육의 기초" 철학문화연구소 (90) : 2011
7 한귀은, "영화를 보기를 통한 윤리적 주체로서의 글쓰기 교육-<경주>(2014)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26) : 167-191, 2014
8 함종호, "영화 형식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 ‘프레임’을 활용한 묘사문 쓰기를 중심으로" 동남어문학회 1 (1): 303-327, 2013
9 한래희, "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육 연구" 대학작문학회 (6) : 219-220, 2013
10 김상남, "영화 “베테랑”에서 나타나는 소시민적 영웅 캐릭터 연구"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0 (0): 81-97, 2016
11 이경희, "영화 <그녀 Her>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모형 연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9 (9): 255-292, 2016
12 한영현, "영상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의 전략과 전망 : 영화 비평문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19) : 237-273, 2013
13 이상금, "언어학습에서 창의적 글쓰기와 영화매체의 효용성"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48 (48): 80-, 2009
14 Christopher Vogler, "신화, 영웅 그리고 시나리오 쓰기" 비즈앤비즈 13-287, 2013
15 이채영, "시드 필드의 영화 3막 구성론을 활용한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중앙어문학회 62 : 645-684, 2015
16 임정식, "스포츠영화의 영웅 신화 서사구조 수용과 의미- ‘영웅의 여행’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34) : 165-188, 2014
17 류은영, "비평에서 리터러시로 - 영화 스토리텔링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학회 (38) : 345-384, 2012
18 황혜진, "비판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드라마 비평문 쓰기교육 방법 연구" 한국독서학회 (20) : 139-168, 2008
19 안숭범, "멜로영화 스토리텔링의 신화 구조 분석에 관한 시론 - <건축학개론>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27) : 89-103, 2012
20 배상훈, "대학생의 글쓰기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이 글쓰기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7 (7): 1-19, 2012
21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동연출판사 323-378, 1995
22 조혜정, "<판의 미로>(2006)와 <전우치>(2009)에 대한 신화분석 ‘영웅의 여정’ 모델을 중심으로" 국제언어인문학회 12 (12): 113-139, 2010
23 박종덕, "<박하사탕>을 활용한 비평적 글쓰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5 (45): 159-188, 2013
24 영화진흥위원회, "2016 온라인 영화 소비자 조사" 71-83,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