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71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공감 능력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10월 01일부터 10월 1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B 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감성지능은 7점 만점에 4.96±.68점이었고, 공감 능력은 5점 만점에 3.46±.29점이었으며, 의상소통 능력은 5점 만점에 3.24±.47점이었다. 감성지능은 공감 능력(r=.365, p<.001), 의사소통 능력(r=.546, p<.001)과 공감 능력은 의사소통 능력(r=.496, p<.001)과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감성지능(β=.387, p<.001), 공감 능력(β=.347, p<.001), 성적(β=-.144, p=.031)이 의사소통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33.977, p<.001), 이들 변수들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설명력은 41%였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대상자의 감성지능과 공감 능력이 향상되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가져오고 이는 환자 간호나 간호업무의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공감 능력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10월 01일부터 10월 1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공감 능력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10월 01일부터 10월 1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B 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감성지능은 7점 만점에 4.96±.68점이었고, 공감 능력은 5점 만점에 3.46±.29점이었으며, 의상소통 능력은 5점 만점에 3.24±.47점이었다. 감성지능은 공감 능력(r=.365, p<.001), 의사소통 능력(r=.546, p<.001)과 공감 능력은 의사소통 능력(r=.496, p<.001)과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감성지능(β=.387, p<.001), 공감 능력(β=.347, p<.001), 성적(β=-.144, p=.031)이 의사소통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33.977, p<.001), 이들 변수들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설명력은 41%였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대상자의 감성지능과 공감 능력이 향상되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가져오고 이는 환자 간호나 간호업무의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empath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 01, 2017 to Oct. 15, 2017. 145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ubjects was 4.96±.68 points out of 7, empathy was 3.46±.29 points out of 5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3.24±.47 points out of 5.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related to empathy(r=.365, p<.001), communication competence(r=.546,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motional intelligence(β=.387, p<.001), empathy(β=.347, p<.001) and the grade(β=-.144, p=.03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competence(F=33.977,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1%. The improvem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y ability of the subject will improve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It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of nursing.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empath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 01, 2017 to Oct. 15, 2017. 145 nursing students partici...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empath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 01, 2017 to Oct. 15, 2017. 145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ubjects was 4.96±.68 points out of 7, empathy was 3.46±.29 points out of 5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3.24±.47 points out of 5.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related to empathy(r=.365, p<.001), communication competence(r=.546,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motional intelligence(β=.387, p<.001), empathy(β=.347, p<.001) and the grade(β=-.144, p=.03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competence(F=33.977,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1%. The improvem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y ability of the subject will improve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It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of nurs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380-408, 2003

      2 지은주,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1685-1697, 2014

      3 최연자, "자기노출과 합리적 정서 훈련이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치는 효과 최연자·이경완·정춘화" 정신간호학회 18 (18): 186-196, 2009

      4 픽은희,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3 (43): 690-696, 2013

      5 임순임, "간호사의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1 (21): 274-282, 2012

      6 정계선,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413-422, 2013

      7 지은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571-579, 2013

      8 박정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7698-7707, 2015

      9 이순희,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40-349, 2014

      10 여현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177-184, 2017

      1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380-408, 2003

      2 지은주,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1685-1697, 2014

      3 최연자, "자기노출과 합리적 정서 훈련이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치는 효과 최연자·이경완·정춘화" 정신간호학회 18 (18): 186-196, 2009

      4 픽은희,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3 (43): 690-696, 2013

      5 임순임, "간호사의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1 (21): 274-282, 2012

      6 정계선,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413-422, 2013

      7 지은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571-579, 2013

      8 박정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7698-7707, 2015

      9 이순희,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40-349, 2014

      10 여현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177-184, 2017

      11 정혜선,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6044-6052, 2015

      12 황혜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2 (12): 1-10, 2017

      13 양선이,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183-193, 2013

      14 이광옥,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대학생활적응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355-365, 2016

      15 D. Rogers, "The role of emotion control and emotional rumination in stress management training" 2 (2): 119-132, 1995

      16 B. S. Je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altruistic behavi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2

      17 M. J. Ko,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 empathy and typ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28 : 5-30, 2006

      18 C. S. Wong,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13 (13): 243-274, 2002

      19 C. S. Wong,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20 (20): 243-274, 2002

      20 D. Mearns, "Person-centered counselling in action" SAGE 2007

      21 R. B. Rub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Scale development and test of a self-efficacy model" 1991

      22 M. H. Davis, "Empathy: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Westview Press 1996

      23 J. Williams, "Empathy and nurse education" 30 (30): 752-755, 2010

      24 P. N. Lop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interaction" 30 (30): 1018-1034, 2004

      25 M. Woloshynowych, "Communication patterns in a UK emergency department" 50 (50): 407-413, 2007

      26 T. W. Kirk, "Beyond empathy: Clinical intimacy in nursing practice" 8 (8): 233-243, 2007

      27 H. W. Jung, "An e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