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홍산문화기 우하량 ‘3층-원·방-환호’형 적석 단총제의 등장 배경과 백두산 서편 맥족의 요서 진출 = The formation and background of the 'three layer-circle·square-moat' typed stone-mound altar·tomb in Uaryang牛河梁 relic during Hungshan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94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one-mound tomb tradition of Liaoxi遼西 area, which was started in the area of Xilanmulun River西拉木倫河 during Xinglongwa興隆窪 Culture, was revived around the area of Daling River大凌河 during the middle of Hungshan culture. The period classification of Uaryang stone-mound tomb, which is a typical stone-mound tomb in the area of Daling River, is as follows. ① Lowest relics period: the early of Hungshan Culture(B.C.4500~B.C.4000) ② Lower-layer of stone-mound tomb period: the middle of Hungshan culture(B.C.4000~B.C.3500) ③ Upper-layer of stone-mound tomb period: the late of Hungshan culture(B.C.3500~B.C.3000). ③ period can divide into early and late period again.
      The tomb form of ① period was ‘pit burial’ and the case of ② period was 'stone-mound tomb with flagstone and surrounding non-bottom tubular potteries無底筒形器', succeeded ‘stone-mound tomb with surrounding stone walls' since Xinglongwa Culture. By ③ period, the size of stone-mound tomb was enlarged suddenly and a whole new form, ‘three layer-circle·square-moat' typed altar·tomb was emerged.
      Particularly noteworthy here is the branching process of 'circle altar · square tomb'. Originally the tomb began in a circular shape and served as an altar. Next, by ③ period, the square altar appeared as a subsidiary altar of a huge circular tomb(altar). As the circle altar for pure altar use was newly introduced, the tomb was separated from the pure altar and became square shape. Through these process, the altar became circle shape and the tomb became circle shape(since Xinglongwa Culture) or square shape(since the late of Hungshan culture).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tomb with attached square altar' type, which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③ period, was first started in the western part of Mt. Baektu白頭. Also the ancient altars in the western part of Mt. Baektu featured the hilly location,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and moat. These features was the same as ‘three layer-circle·square-moat' typed altar·tomb of ③ period in Uaryang area. These showed that ‘three layer-circle·square-moat' typed altar·tomb of ③ period started from the western part of Mt. Baekdu and spreaded to Uaryang area. As the elements of 'circle · square' and 'three-layer' reflected 'Circle· Square·Triangle (Chun天·Ji地·In人) thoughts' of Sundo仙道, we can find out that ‘three layer-circle·square-moat' typed altar·tomb was the result of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the Sundo Heaven Ritual祭天 Culture.
      During ③ period, the combination of the top of 'the stone-mound tomb with surrounding stone walls since Xinglongwa Culture' and the overlay of 'three layer-circle·square-moat' appeared.
      As 'the stone-mound tomb with surrounding stone walls since Xinglongwa Culture' was old type and 'three layer-circle·square-moat', which was started in the western part of Mt. Baektu was new type, the combination of the two shows that the old Sundo Heaven Ritual Culture in Liaoxi area and the new Sundo Heaven Ritual Culture in Liaodong遼東 area were combined into one.

      Key words: Hungshan Culture, Xinglongwa Culture, stone mound altar·tomb, Uaryang牛河梁 relic, Wanfabozi萬發撥子 relic, ‘three layer-circle·square-moat' typed stone-mound altar·tomb, Korean Sundo仙道, Sundo Heaven Ritual, Circle·Square·Triangle(Chun天·Ji地·In人) thoughts.
      번역하기

      The stone-mound tomb tradition of Liaoxi遼西 area, which was started in the area of Xilanmulun River西拉木倫河 during Xinglongwa興隆窪 Culture, was revived around the area of Daling River大凌河 during the middle of Hungshan culture. The p...

      The stone-mound tomb tradition of Liaoxi遼西 area, which was started in the area of Xilanmulun River西拉木倫河 during Xinglongwa興隆窪 Culture, was revived around the area of Daling River大凌河 during the middle of Hungshan culture. The period classification of Uaryang stone-mound tomb, which is a typical stone-mound tomb in the area of Daling River, is as follows. ① Lowest relics period: the early of Hungshan Culture(B.C.4500~B.C.4000) ② Lower-layer of stone-mound tomb period: the middle of Hungshan culture(B.C.4000~B.C.3500) ③ Upper-layer of stone-mound tomb period: the late of Hungshan culture(B.C.3500~B.C.3000). ③ period can divide into early and late period again.
      The tomb form of ① period was ‘pit burial’ and the case of ② period was 'stone-mound tomb with flagstone and surrounding non-bottom tubular potteries無底筒形器', succeeded ‘stone-mound tomb with surrounding stone walls' since Xinglongwa Culture. By ③ period, the size of stone-mound tomb was enlarged suddenly and a whole new form, ‘three layer-circle·square-moat' typed altar·tomb was emerged.
      Particularly noteworthy here is the branching process of 'circle altar · square tomb'. Originally the tomb began in a circular shape and served as an altar. Next, by ③ period, the square altar appeared as a subsidiary altar of a huge circular tomb(altar). As the circle altar for pure altar use was newly introduced, the tomb was separated from the pure altar and became square shape. Through these process, the altar became circle shape and the tomb became circle shape(since Xinglongwa Culture) or square shape(since the late of Hungshan culture).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tomb with attached square altar' type, which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③ period, was first started in the western part of Mt. Baektu白頭. Also the ancient altars in the western part of Mt. Baektu featured the hilly location,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and moat. These features was the same as ‘three layer-circle·square-moat' typed altar·tomb of ③ period in Uaryang area. These showed that ‘three layer-circle·square-moat' typed altar·tomb of ③ period started from the western part of Mt. Baekdu and spreaded to Uaryang area. As the elements of 'circle · square' and 'three-layer' reflected 'Circle· Square·Triangle (Chun天·Ji地·In人) thoughts' of Sundo仙道, we can find out that ‘three layer-circle·square-moat' typed altar·tomb was the result of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the Sundo Heaven Ritual祭天 Culture.
      During ③ period, the combination of the top of 'the stone-mound tomb with surrounding stone walls since Xinglongwa Culture' and the overlay of 'three layer-circle·square-moat' appeared.
      As 'the stone-mound tomb with surrounding stone walls since Xinglongwa Culture' was old type and 'three layer-circle·square-moat', which was started in the western part of Mt. Baektu was new type, the combination of the two shows that the old Sundo Heaven Ritual Culture in Liaoxi area and the new Sundo Heaven Ritual Culture in Liaodong遼東 area were combined into one.

      Key words: Hungshan Culture, Xinglongwa Culture, stone mound altar·tomb, Uaryang牛河梁 relic, Wanfabozi萬發撥子 relic, ‘three layer-circle·square-moat' typed stone-mound altar·tomb, Korean Sundo仙道, Sundo Heaven Ritual, Circle·Square·Triangle(Chun天·Ji地·In人) though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요서지역 흥륭와문화기 서랍목륜하 일에서 시작된 적석묘 제도는 긴 잠복기 를 지나 홍산문화 중기 무렵 대릉하 일대를 중심으로 다시 부활하게 된다. 홍산문화기 대릉하 일대의 대표 적석 단총인 우하량 유적은 3층위를 이루고 있어 홍산문화기 적석 단총제의 성립 및 변천 과정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먼저 ① 1기 하층유존 수혈토광묘 단계(홍산문화 전기, B.C.4500년∼B.C.4000년)를 지나, ② 2기 하층적석총 단계(홍산문화 중기, B.C.4000년∼B.C.3500년)가 되자 흥륭와문화기의 ‘석권’ 방식을 계승한 ‘부석-통형기권’ 방식의 적석묘 전통이 부활 하였다. 다시 ③ 3기 상층적석총 단계(홍산문화 후기, B.C.3500년∼B.C.3000년)가 되자 급작스럽게 적석총의 규모가 커지고 외형적으로도 전혀 새로운 ‘3층-원·방-환 호’ 방식이 등장하였다. 흥륭와문화기의 ‘석권’ 방식에서 알 수 있듯이 총의 시작은 원형이었고 단을 겸하였다. 그러다가 상층적석총 조기에 이르러 거대한 원형 단총의 보조 제단으로 ‘방대’형태가 등장하였다. 상층적석총 만기에 순수 제단 용도의 ‘원단’이 새롭게 등장하면서 총은 순수 제단과 구분, ‘원단’·‘방총’의 분리가 생겨났다.
      B.C.4000년∼B.C.3500년경 요동 백두산 서편의 고제단군은 구릉성 입지, 3층 원단, 환호를 특징으로 하는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로서 B.C.3500년∼B.C.3000년 요서 우하량 상층적석총 단계 ‘3층-원·방-환호’ 방식의 원류이다. 이즈음 백두산 서편(배달국 천평지역)에서 전형적인 선도사상에 입각한 새로운 형태의 적석 단총제가 생겨나 수백년의 시차를 가지고서 요서 우하량 지역(배달국 청구지역)으로 전파되었던 것이다.
      상층적석총 단계에서는 ‘석권’위로‘3층-원·방-환호’가 덧씌워진 방식도 나타났다. ‘석권’ 방식이 흥륭와문화기 이래 요서지역의 전통적인 구식, ‘3층-원·방-환호’ 방식이 요동 백두산지역에서 새롭게 생겨난 신식이므로, 양자의 결합은 요서지역 구래의 선도제천문화와 요동지역의 새로운 선도제천문화의 결합을 보여준다. 물론 그 정치·사회적 의미는 요서 토착세력과 요동 백두산 맥족간의 종족적 결합, 또는 요동 백두산 맥족으로의 지배세력 교체이다.
      번역하기

      요서지역 흥륭와문화기 서랍목륜하 일에서 시작된 적석묘 제도는 긴 잠복기 를 지나 홍산문화 중기 무렵 대릉하 일대를 중심으로 다시 부활하게 된다. 홍산문화기 대릉하 일대의 대표 적석 ...

      요서지역 흥륭와문화기 서랍목륜하 일에서 시작된 적석묘 제도는 긴 잠복기 를 지나 홍산문화 중기 무렵 대릉하 일대를 중심으로 다시 부활하게 된다. 홍산문화기 대릉하 일대의 대표 적석 단총인 우하량 유적은 3층위를 이루고 있어 홍산문화기 적석 단총제의 성립 및 변천 과정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먼저 ① 1기 하층유존 수혈토광묘 단계(홍산문화 전기, B.C.4500년∼B.C.4000년)를 지나, ② 2기 하층적석총 단계(홍산문화 중기, B.C.4000년∼B.C.3500년)가 되자 흥륭와문화기의 ‘석권’ 방식을 계승한 ‘부석-통형기권’ 방식의 적석묘 전통이 부활 하였다. 다시 ③ 3기 상층적석총 단계(홍산문화 후기, B.C.3500년∼B.C.3000년)가 되자 급작스럽게 적석총의 규모가 커지고 외형적으로도 전혀 새로운 ‘3층-원·방-환 호’ 방식이 등장하였다. 흥륭와문화기의 ‘석권’ 방식에서 알 수 있듯이 총의 시작은 원형이었고 단을 겸하였다. 그러다가 상층적석총 조기에 이르러 거대한 원형 단총의 보조 제단으로 ‘방대’형태가 등장하였다. 상층적석총 만기에 순수 제단 용도의 ‘원단’이 새롭게 등장하면서 총은 순수 제단과 구분, ‘원단’·‘방총’의 분리가 생겨났다.
      B.C.4000년∼B.C.3500년경 요동 백두산 서편의 고제단군은 구릉성 입지, 3층 원단, 환호를 특징으로 하는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로서 B.C.3500년∼B.C.3000년 요서 우하량 상층적석총 단계 ‘3층-원·방-환호’ 방식의 원류이다. 이즈음 백두산 서편(배달국 천평지역)에서 전형적인 선도사상에 입각한 새로운 형태의 적석 단총제가 생겨나 수백년의 시차를 가지고서 요서 우하량 지역(배달국 청구지역)으로 전파되었던 것이다.
      상층적석총 단계에서는 ‘석권’위로‘3층-원·방-환호’가 덧씌워진 방식도 나타났다. ‘석권’ 방식이 흥륭와문화기 이래 요서지역의 전통적인 구식, ‘3층-원·방-환호’ 방식이 요동 백두산지역에서 새롭게 생겨난 신식이므로, 양자의 결합은 요서지역 구래의 선도제천문화와 요동지역의 새로운 선도제천문화의 결합을 보여준다. 물론 그 정치·사회적 의미는 요서 토착세력과 요동 백두산 맥족간의 종족적 결합, 또는 요동 백두산 맥족으로의 지배세력 교체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홍산문화기 적석 단총의 등장 배경: 흥륭와문화기의 ‘석권 단총’
      • Ⅲ. 홍산문화기 우하량 적석 단총의 3층위
      • Ⅳ. 1기 하층유존: 수혈식토광묘 단계
      • Ⅴ. 2기 하층적석총: 석권 단총의 계승, ‘부석-통형기권묘’ 단계
      • Ⅰ. 머리말
      • Ⅱ. 홍산문화기 적석 단총의 등장 배경: 흥륭와문화기의 ‘석권 단총’
      • Ⅲ. 홍산문화기 우하량 적석 단총의 3층위
      • Ⅳ. 1기 하층유존: 수혈식토광묘 단계
      • Ⅴ. 2기 하층적석총: 석권 단총의 계승, ‘부석-통형기권묘’ 단계
      • Ⅵ. 3기 상층적석총: ‘3층-원·방-환호’ 단계
      • 1. 3층-원·방의 요소: 2지점
      • 2. 환호의 요소: 5·3지점
      • Ⅶ. 구식(석권 단총)과 신식(3층-원·방-환호)의 결합: 5지점·호두구·동산취
      • Ⅷ. 우하량 말기 중심 단총의 변화: 16·13지점
      • Ⅸ.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