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추구는 모든 인간의 끊임없는 목적이 아닐 수 없다. 각기 추구하고자 하는 행복의 형태와 방법은 무척 다양하다고 하겠으나 그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남녀 상호간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9000871
1984
German
390
KCI등재
학술저널
55-6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행복의 추구는 모든 인간의 끊임없는 목적이 아닐 수 없다. 각기 추구하고자 하는 행복의 형태와 방법은 무척 다양하다고 하겠으나 그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남녀 상호간의 ...
행복의 추구는 모든 인간의 끊임없는 목적이 아닐 수 없다. 각기 추구하고자 하는 행복의 형태와 방법은 무척 다양하다고 하겠으나 그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는 남녀 상호간의 사랑을 통한 행복의 추구일 것이다. 작가인 Theodor Fontane는 그의 장편 'Irrungen Wirrungen(얼킴과 설킴)'에서 두 남녀주인공 Botho와 Lene의 사랑을 통해 행복의 문제를 제시한다. 사랑하는 마음의 결정만으로 행복의 진정한 추구가 가능한가? 주위 상황과 여건은 무시되어진채 마음만으로 행복해질 수 있는가? 여기에서 작가는 당시 지배적이던 '마음으로부터 가능한 행복'이란 견해와는 달리 행복은 마음만의 결정으로서가 아니라 사회규범과 처한 현실적 상황에 지배받지 않을 수 없음을 신분이 서로 다른 두 주인공의 사랑을 통해 제시한다. 서로 진정한 마음으로부터의 사랑을 하고 행복을 느끼지만 현실에 순응하고 서로의 길을 찾아가는 두 주인공 Botho와 Lene를 통해서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두 주인공이 이루어가는 사랑 가운데 느끼는 행복의 관점을 작품 전체의 흐름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인간의 진정한 행복의 추구는, 특히 남녀간에 이루어지는 사랑을 통한 마음과 현실의 어느것에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Lessing의 ""Minna von Barnhelm""에 나타난 Tellheimthfud의 성격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