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리빙오브제의 개념을 이해하고 3D 모델링 및 프린팅 방식을 파악하며, 3D 프린팅으로 구현된 50여 가지의 리빙오브제 작품들을 수집하여 디자인 방식 및 조형성을 기준으로 유형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리빙오브제의 개념을 이해하고 3D 모델링 및 프린팅 방식을 파악하며, 3D 프린팅으로 구현된 50여 가지의 리빙오브제 작품들을 수집하여 디자인 방식 및 조형성을 기준으로 유형을 ...
본 연구는 리빙오브제의 개념을 이해하고 3D 모델링 및 프린팅 방식을 파악하며, 3D 프린팅으로 구현된 50여 가지의 리빙오브제 작품들을 수집하여 디자인 방식 및 조형성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분석한 것이다. 사례를 통해 3D 프린팅 리빙오브제의 조형적 표현을 정리하고 디지털 기술을 살펴봄으로써 창의적인 리빙오브제 디자인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오브제 사례들을 수집하고 3D 모델링 및 3D 프린팅 제작 방식과 연계하여 조형 유형을 다공형, 기둥형, 유닛의 반복형, 3D 스캔에 의한 재현형, 왜곡된 변형, 알고리즘에 의한 맞춤형, 찰흙형으로 총 일곱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리빙오브제의 가장 많은 조형 유형은 다공형과 기둥형에서 분류된 회전에 의한 대칭형이며 용도로는 대부분 조명, 의자, 테이블, 식기, 화병, 장식용 리빙오브제로 제작되었고, 화병과 조명이 가장 많았다. 방식 및 소재에서는 섬세한 표현이 가능한 SLS 방식의 나일론 소재가 다수를 이루었으며 프린팅 이후에는 캐스팅 및 주조로 전통적인 내구성 있는 소재들로도 대체되었다. 셋째, 디자이너 및 작가들의 의도에 따라 디지털 기술과 수작업의 혼용,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 툴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창의적인 작품들이 창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3D 프린팅 리빙오브제의 조형 표현에 대한 이해를 도와 창의적인 3D 프린팅 리빙오브제를 디자인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길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understands the concept of living objects, identifies 3D modeling and printing methods, and collects about 50 living object works realized through 3D printing to classify and analyze types based on design method and formativeness. The purpo...
This study understands the concept of living objects, identifies 3D modeling and printing methods, and collects about 50 living object works realized through 3D printing to classify and analyze types based on design method and formativenes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ve living object design by organizing the formative expressions of 3D printed living objects through examples and examining digital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collecting examples of living objects and linking them with 3D modeling and 3D printing production methods, the formative types were divided into porous, columnar, repeating units, reproduction by 3D scanning, distorted deformation, customized by algorithm, and clay. A total of seven typ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Second, the most common form of living objects is the symmetrical type by rotation, classified into porous and columnar types. Most of them were produced as lighting, chairs, tables, tableware, vases, and decorative living objects, with vases and lighting being the most common. . In terms of methods and materials, the majority were SLS-type nylon materials that allowed for delicate expressions, and after printing, casting and casting were used to replace traditional durable material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creative works are being created through a mixture of digital technology and manual work, and the complex application of software and digital tools,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f designers and writer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you understand the formative expression of 3D printed living objects and serve as basic data for designing creative 3D printed living objec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대순, "현대디자인용어사전" 디자인오피스 1996
2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한국의 전통공예: 18세기 조선의 일상과 격조=Traditional Korean crafts" 수류산방 2007
3 정령재, "테셀레이션 방식을 응용한 3D 프린팅 의자 연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4 손정희, "조선시대 ‘완물’(玩物)의 논리 구조 - ‘유어예’(游於藝)와 ‘완물’의 층위를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84 (84): 1-40, 2018
5 국립국어원, "오브제"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오브제"
7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8 케네시 베이커, "미니멀리즘" 열화당 1993
9 "류종대"
1 박대순, "현대디자인용어사전" 디자인오피스 1996
2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한국의 전통공예: 18세기 조선의 일상과 격조=Traditional Korean crafts" 수류산방 2007
3 정령재, "테셀레이션 방식을 응용한 3D 프린팅 의자 연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4 손정희, "조선시대 ‘완물’(玩物)의 논리 구조 - ‘유어예’(游於藝)와 ‘완물’의 층위를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84 (84): 1-40, 2018
5 국립국어원, "오브제"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오브제"
7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8 케네시 베이커, "미니멀리즘" 열화당 1993
9 "류종대"
10 정희승, "다의적 개념으로서의 오브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11 윤재란, "꽃술의 유닛요소 반복배열을 이미지화한 도자 리빙오브제 연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12 PlanL,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이건희 회장 소장품 3D 프린팅 복제품"
13 Kieron Marchese, "patrick jouin unveils foldable 3D printed TAMU chair at milan design week"
14 "Stylepark"
15 김도엽, "Rhino 3D 5+ 정리노트" 혜지원 2018
16 "Plummerfernandez"
17 "Olivier van Herpt"
18 네이버 동아출판 프라임 불한사전, "Objet"
19 "Nervous System"
20 "Moooi"
21 "Michael Eden"
22 "Louispratt"
23 조영미, "Living Objet 전문 리오갤러리 개관" 64 : 52-53, 2007
24 최공호, "Living Objet - 같은 듯 다른 생각 세 가지-리오갤러리 개관전" 64 : 22-22, 2007
25 네이버 옥스퍼드 영어사전, "Living"
26 "LPjacques Studio"
27 Sophie Kahn, "Journal of the New Media Caucus"
28 최은화, "Interview 꾸준히 성장하는 매듭에 대하여"
29 "Great Things to People"
30 "Geoffrey Mann Studio"
31 Marcus Fairs, "Fractal Table by Platform Wertel Oberfell"
32 Assastudio, "Femur Stool"
33 Designboom, "Designboom"
34 "Bathsheba Sculpture"
35 "Atelier ANF"
36 "Argot Studio"
37 한국도자재단, "2010 여주세계생활도자관 기획전 나를 사로잡는 리빙 오브제(Attractive Living Objects)"
3D 프린팅 활용을 통한 현대 아트주얼리의 매체 확장성 연구
신라(新羅) 고배(高杯)의 상징성을 활용한 도자 표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