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로컬푸드에 나타난 음식의 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thical Meaning of Food in Local Fo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375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음식에 대한 윤리적 접근으로서 로컬푸드에 나타난 음식의 윤리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제는 먹거리 선택이 단순히 개인의 취향이나 식성에 따른 선택이 아니라 윤리적 선택이어야 함을 밝히고, 로컬푸드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논의들을 중심으로 세계식량체계와 지역식량체계라는 분석 틀을 통해 글로벌푸드와 로컬푸드의 장단점을 살펴보았고, 구체적인 로컬푸드운동으로는 농민시장과 공동체지원농업, 그리고 학교급식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음식과 인간, 자연의 관계에서 생명부정과 생명긍정의 관계를 통해 규정되는 음식을 먹어야 하며, 생명을 살리는 음식과 그렇지 못한 음식의 구분은 인간의 기본적인 먹을 권리에 대한 존중에 근거하고 있다는 로컬푸드의 윤리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그래서 먹거리의 자연화와 맥락화, 먹거리 생산자와 소비자의 인식전환을 통해 새로운 먹거리공동체 형성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음식에 대한 윤리적 접근으로서 로컬푸드에 나타난 음식의 윤리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제는 먹거리 선택이 단순히 개인의 취향이나 식성에 따른 선택이 아니라 윤리적 선...

      이 연구는 음식에 대한 윤리적 접근으로서 로컬푸드에 나타난 음식의 윤리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제는 먹거리 선택이 단순히 개인의 취향이나 식성에 따른 선택이 아니라 윤리적 선택이어야 함을 밝히고, 로컬푸드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논의들을 중심으로 세계식량체계와 지역식량체계라는 분석 틀을 통해 글로벌푸드와 로컬푸드의 장단점을 살펴보았고, 구체적인 로컬푸드운동으로는 농민시장과 공동체지원농업, 그리고 학교급식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음식과 인간, 자연의 관계에서 생명부정과 생명긍정의 관계를 통해 규정되는 음식을 먹어야 하며, 생명을 살리는 음식과 그렇지 못한 음식의 구분은 인간의 기본적인 먹을 권리에 대한 존중에 근거하고 있다는 로컬푸드의 윤리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그래서 먹거리의 자연화와 맥락화, 먹거리 생산자와 소비자의 인식전환을 통해 새로운 먹거리공동체 형성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tried to analyse the ethical meaning of food in local food as an ethical approach to food. The choice of what we should eat has not only the dimension of personal tastes and appetites, but also the ethical and social dimension. In this study the global food system compared to the local food system with the analysis of versatile discussions about local food movements, i.e. farmers’ market,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CSA), and school food. In the triad relation among food, human, and nature man should choose and eat food in according to life-affirmation and life-negation. Man should divi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od which encourage the life phenomenon and which negate the life phenomenon. The ethical meaning of local food lies in that this division is based on the human right of eating.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making new food community with the naturalization of food and the change of recognition of producers and consumers of food.
      번역하기

      This study has tried to analyse the ethical meaning of food in local food as an ethical approach to food. The choice of what we should eat has not only the dimension of personal tastes and appetites, but also the ethical and social dimension. In this ...

      This study has tried to analyse the ethical meaning of food in local food as an ethical approach to food. The choice of what we should eat has not only the dimension of personal tastes and appetites, but also the ethical and social dimension. In this study the global food system compared to the local food system with the analysis of versatile discussions about local food movements, i.e. farmers’ market,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CSA), and school food. In the triad relation among food, human, and nature man should choose and eat food in according to life-affirmation and life-negation. Man should divi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od which encourage the life phenomenon and which negate the life phenomenon. The ethical meaning of local food lies in that this division is based on the human right of eating.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making new food community with the naturalization of food and the change of recognition of producers and consumers of fo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은정, "한국의 CSA와 전여농 우리 텃밭 사업" 2010

      2 김철규, "한국 로컬푸드 운동의 현황과 과제: 농민장터와 CSA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2 (12): 111-133, 2011

      3 김흥주, "학교급식과 로컬 푸드 : 한일 비교연구" 한국농촌사회학회 23 (23): 87-139, 2013

      4 Singer, P., "죽음의 밥상" 산책자 2008

      5 Pollan, M., "잡식동물의 딜레마" 다른세상 2007

      6 김석신, "잃어버린 밥상, 잊어버린 윤리" 북마루지 2011

      7 Lang, T., "식품전쟁" 아리 2006

      8 김흥주, "슬로우푸드 운동과 대안식품체제의 모색" 한국농촌사회학회 14 (14): 85-118, 2004

      9 이해진, "소비자에서 먹거리 시민으로" 비판사회학회 (96) : 43-76, 2012

      10 송원규, "세계농식품체계의 역사적 전개와 먹거리위기 ― 대안의 모색 : 식량안보에서 식량주권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22 (22): 265-310, 2012

      1 정은정, "한국의 CSA와 전여농 우리 텃밭 사업" 2010

      2 김철규, "한국 로컬푸드 운동의 현황과 과제: 농민장터와 CSA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2 (12): 111-133, 2011

      3 김흥주, "학교급식과 로컬 푸드 : 한일 비교연구" 한국농촌사회학회 23 (23): 87-139, 2013

      4 Singer, P., "죽음의 밥상" 산책자 2008

      5 Pollan, M., "잡식동물의 딜레마" 다른세상 2007

      6 김석신, "잃어버린 밥상, 잊어버린 윤리" 북마루지 2011

      7 Lang, T., "식품전쟁" 아리 2006

      8 김흥주, "슬로우푸드 운동과 대안식품체제의 모색" 한국농촌사회학회 14 (14): 85-118, 2004

      9 이해진, "소비자에서 먹거리 시민으로" 비판사회학회 (96) : 43-76, 2012

      10 송원규, "세계농식품체계의 역사적 전개와 먹거리위기 ― 대안의 모색 : 식량안보에서 식량주권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22 (22): 265-310, 2012

      11 전우용, "서울은 깊다" 돌베개 2008

      12 변순용, "생명의 생태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 니체와 쉬바이처를 중심으로" 범한철학회 56 (56): 235-255, 2010

      13 변순용, "먹을거리의 인간학적, 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범한철학회 53 (53): 339-361, 2009

      14 김종덕, "먹거리 위기와 로컬푸드" 이후 2009

      15 홍경완, "로컬푸드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4742-4751, 2010

      16 Beardsworth, A., "Sociology on the Menu" Routledge 1997

      17 Gottlieb, R., "Food Justic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0

      18 Pojman, Paul, "Food Ethics" Wadsworth 2012

      19 Simon, M, "Appetite for Profit: How the Food Industry Undermines our Health and How to Fight Back" National Books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2-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KCI등재
      2014-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 Journal of Ethic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12-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국민윤리학회 -> 한국윤리학회 KCI등재
      2006-12-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민윤리연구 -> 윤리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578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