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제소재척도의 응답형식별 비교 = A Comparison of Locus of Control Scales depending Two Response Scale Form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61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locus of control scales depending on two response scale formats(ipsative and normative) and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Locus of Control scale items from qualitative study and several Locus of Control scales in Korea and abroad were reconstructed into ipsative items of fifty two pairs and one hundred four normative items and administered to two hundred fifty seven elementary students (male 140, female 117) with a creativity test and I/E motivation test. Through the process of the item analysis, internal and external items of 35 pairs were selected. As the result of the item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e reliability of normative scale and its correlation with total was higher than those of internal-external ipsative scale.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internal-external control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respectively.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had moderat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but they had moderately low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literature, mathematics, sociology, science), in normative scale internal control scor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jects while external control scal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ll subjects without math. As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was -.42. In summary, on the occasion of interpersonal comparison using the locus of control sc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scale should be constructed in normative measure and interpreted internal-external score in separate dimensions. Directions of further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locus of control scales depending on two response scale formats(ipsative and normative) and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intrinsic-extrinsic motivati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locus of control scales depending on two response scale formats(ipsative and normative) and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Locus of Control scale items from qualitative study and several Locus of Control scales in Korea and abroad were reconstructed into ipsative items of fifty two pairs and one hundred four normative items and administered to two hundred fifty seven elementary students (male 140, female 117) with a creativity test and I/E motivation test. Through the process of the item analysis, internal and external items of 35 pairs were selected. As the result of the item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e reliability of normative scale and its correlation with total was higher than those of internal-external ipsative scale.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internal-external control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respectively.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had moderat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but they had moderately low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literature, mathematics, sociology, science), in normative scale internal control scor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jects while external control scal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ll subjects without math. As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was -.42. In summary, on the occasion of interpersonal comparison using the locus of control sc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scale should be constructed in normative measure and interpreted internal-external score in separate dimensions. Directions of further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통제소재 척도의 구성방식별(강제선택형, 평정형) 신뢰도와 내외 통제소재와 내외동기, 창의성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통제소재 척도들과 질적 연구를 통해 수집한 문항들로 내-외 강제선택형 52문항 쌍과 104개의 평정형 문항으로 통제소재 척도를 재구성하여 초등학교 6학년 257명(남 140, 여 117)에게 실시하였다. 문항분석 과정을 통하여 내-외 통제소재 35쌍의 문항(70문항)을 선정하였다. 문항분석 및 척도의 내적 일관성 분석 결과, 평정형 척도의 신뢰도와 문항 변별도가 선택형 척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외통제소재와 내외 동기간의 상관분석 결과, 내적 통제는 내적동기, 외적 통제는 외적 동기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창의성의 하위 요인들은 평정형 척도의 내적 통제소재 점수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외적 통제 점수와는 비교적 낮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내외통제와 학업성취(국어, 수학, 사회, 과학 시험성적)간의 상관분석 결과, 평정형 척도에서 내적 통제 점수는 모든 시험성적과 정적 상관을, 외적 통제점수는 수학을 제외한 모든 과목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내외 통제 간 상관은 -.42로 내외 통제를 양극단의 일차원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내적 통제와 다른 심리적 구성개념 간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점과 외적 통제는 비교적 낮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는 점, 그리고 내외 통제 점수를 통합할 경우 내적 통제 점수보다 상관이 낮아지는 점을 감안한다면 별개의 차원으로 간주하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한다면 통제소재 점수를 개인 간 비교에 이용할 경우 평정형으로 구성하되 내외통제를 각각 별개의 차원으로 해석하는 것이 권고된다. 추후 연구방향과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통제소재 척도의 구성방식별(강제선택형, 평정형) 신뢰도와 내외 통제소재와 내외동기, 창의성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통제소재 척도들과 질적 ...

      본 연구에서는 통제소재 척도의 구성방식별(강제선택형, 평정형) 신뢰도와 내외 통제소재와 내외동기, 창의성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통제소재 척도들과 질적 연구를 통해 수집한 문항들로 내-외 강제선택형 52문항 쌍과 104개의 평정형 문항으로 통제소재 척도를 재구성하여 초등학교 6학년 257명(남 140, 여 117)에게 실시하였다. 문항분석 과정을 통하여 내-외 통제소재 35쌍의 문항(70문항)을 선정하였다. 문항분석 및 척도의 내적 일관성 분석 결과, 평정형 척도의 신뢰도와 문항 변별도가 선택형 척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외통제소재와 내외 동기간의 상관분석 결과, 내적 통제는 내적동기, 외적 통제는 외적 동기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창의성의 하위 요인들은 평정형 척도의 내적 통제소재 점수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외적 통제 점수와는 비교적 낮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내외통제와 학업성취(국어, 수학, 사회, 과학 시험성적)간의 상관분석 결과, 평정형 척도에서 내적 통제 점수는 모든 시험성적과 정적 상관을, 외적 통제점수는 수학을 제외한 모든 과목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내외 통제 간 상관은 -.42로 내외 통제를 양극단의 일차원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내적 통제와 다른 심리적 구성개념 간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점과 외적 통제는 비교적 낮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는 점, 그리고 내외 통제 점수를 통합할 경우 내적 통제 점수보다 상관이 낮아지는 점을 감안한다면 별개의 차원으로 간주하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한다면 통제소재 점수를 개인 간 비교에 이용할 경우 평정형으로 구성하되 내외통제를 각각 별개의 차원으로 해석하는 것이 권고된다. 추후 연구방향과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아영, "한국형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32 (32): 59-75, 1994

      2 정은주, "학생용 외통제척도 제작연구- Nowicki와 Strickland(1973)의 척도를 중심으로" 10 (10): 1-15, 1981

      3 이종구, "텔레마케터 선발용 역량검사의 구성형식별 신뢰도와 타당도: Ipsative와 Normative 측정간 비교"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1 (21): 411-428, 2008

      4 최인수, "창의성검사" 한국가이던스 2004

      5 한덕웅, "조직행동의 동기이론(수정보증판)" 법문사 1985

      6 민하영,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지각된 통제감과 내외통제소재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7 김명소, "성격검사의 형식이 응답왜곡(faking)에 미치는 영향: Normative 형식과 Ipsative 형식의 비교" 2006

      8 이헌주, "성격검사의 형식이 응답왜곡 (faking)에 미치는 효과: Normative 형식과 Ipsative 형식의 비교"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5

      9 차재호, "내외통제척도작성. 행동과학 연구소 연구노트"

      10 Wellborn, J. G., "The student perceptions of control questionnaire(SPOCQ)" Univ. of Rocherster 1989

      1 김아영, "한국형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32 (32): 59-75, 1994

      2 정은주, "학생용 외통제척도 제작연구- Nowicki와 Strickland(1973)의 척도를 중심으로" 10 (10): 1-15, 1981

      3 이종구, "텔레마케터 선발용 역량검사의 구성형식별 신뢰도와 타당도: Ipsative와 Normative 측정간 비교"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1 (21): 411-428, 2008

      4 최인수, "창의성검사" 한국가이던스 2004

      5 한덕웅, "조직행동의 동기이론(수정보증판)" 법문사 1985

      6 민하영,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지각된 통제감과 내외통제소재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7 김명소, "성격검사의 형식이 응답왜곡(faking)에 미치는 영향: Normative 형식과 Ipsative 형식의 비교" 2006

      8 이헌주, "성격검사의 형식이 응답왜곡 (faking)에 미치는 효과: Normative 형식과 Ipsative 형식의 비교"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5

      9 차재호, "내외통제척도작성. 행동과학 연구소 연구노트"

      10 Wellborn, J. G., "The student perceptions of control questionnaire(SPOCQ)" Univ. of Rocherster 1989

      11 Bar-Tal, 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achievement, anxiety and level of aspiration" 50 : 53-60, 1980

      12 Baron, H.,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ipsative measurement" 69 (69): 49-56, 1996

      13 Johnson, C. E., "Spuiouser and Spuiouser: The use of ipsative personality tests" 61 : 153-162, 1988

      14 Rotter, J. B., "Some problems and misconceptions related to the construct of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43 : 56-67, 1975

      15 Clifford, M. M., "Responses to failure as influenced by task attribution, outcome attribution, and failure tolerance" 57 : 19-37, 1988

      16 Printrich, P. R., "Multiple goals, multiple pathways: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learning and achievement" 92 (92): 544-555, 2000

      17 Amabile, T. M., "Motivational synergy: Toward new conceptualization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the workplace" 3 : 185-201, 1993

      18 Findley, M. J., "Locus of 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A literature review" 44 (44): 419-427, 1983

      19 Reeve, J., "Intrinsic motivation in competition: The intervening role of four individual differences following objective competence information" 21 : 148-170, 1987

      20 Amabile, T. M., "Growing up creative" Creative Education Foundation 1989

      21 Rotter, J. B.,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nal locus of control of reinforcement" 80 (80): 1-28, 1966

      22 Paulhus, D. L., "Faking job profi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Freeman 1991

      23 Robbins, S., "Decide & conquer: Make winning decisions and take control of your life" Pearson Education, Inc. 2003

      24 Crandall, V. C., "Children's perceptions of internal-external control in intellectual-academic situations and their embedded figures test performance" 33 : 1123-1134, 1972

      25 Nowicki, S., "A locus of control scale for children" 40 (40): 148-154, 197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5 2.085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