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택적 주의와 억제가 아동의 낯선 얼굴에 대한 사회-정서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ective attention and Inhibition on Social-emotional Evaluation toward Unfamiliar Fa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61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ective attention and inhibition on social-emotional evaluation toward unfamiliar face. The subjects were total 90 of each 30 from elementary school second-grade, fifth-grade, and university students. A pair of unfamiliar face were shown to the subjects and then asked to remember one of them. After that, they were asked to refrain from pressing any button and then rated one face chosen at random on social-emotional scale ranged from 1 to 5. Data was analyzed with 3(age) × 2(selective attention) × 2(inhibition) mixed ANOVA in terms of success or failure on face-recognition task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in the cases of success on face-recognition task, both (b) the faces of receiving selective attention and simultaneously requiring non-inhibition and (c) the faces of not receiving selective attention and simultaneously requiring inhibition were rated more positively than other conditional faces. The result suggests that if children can remain attention and inhibition in working memory, these factors can positively affect social-emotional evaluation toward unfamiliar-fac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ective attention and inhibition on social-emotional evaluation toward unfamiliar face. The subjects were total 90 of each 30 from elementary school second-grade, fifth-grade, and univers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ective attention and inhibition on social-emotional evaluation toward unfamiliar face. The subjects were total 90 of each 30 from elementary school second-grade, fifth-grade, and university students. A pair of unfamiliar face were shown to the subjects and then asked to remember one of them. After that, they were asked to refrain from pressing any button and then rated one face chosen at random on social-emotional scale ranged from 1 to 5. Data was analyzed with 3(age) × 2(selective attention) × 2(inhibition) mixed ANOVA in terms of success or failure on face-recognition task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in the cases of success on face-recognition task, both (b) the faces of receiving selective attention and simultaneously requiring non-inhibition and (c) the faces of not receiving selective attention and simultaneously requiring inhibition were rated more positively than other conditional faces. The result suggests that if children can remain attention and inhibition in working memory, these factors can positively affect social-emotional evaluation toward unfamiliar-fa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선택적 주의와 억제가 낯선 얼굴에 대한 사회-정서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을 포함함으로써 작업기억 내의 주의와 억제의 부호화가 이후 정서적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Raymond(2005)의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2학년, 초등학교 5학년, 그리고 대학생 각각 30명에게 한 쌍의 얼굴 중 하나의 얼굴을 기억하도록 지시함으로써 피험자의 선택적 주의를 유도하였고, 이후 억제 신호에 따라 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요구하여 피험자의 행동적 억제 반응을 유도하였다. 그 후 무선적으로 제시된 얼굴 자극에 대해 5점 척도로 사회-정서적 평가를 실시하였고, 얼굴 재인에 성공한 시행과 실패한 시행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3(연령) × 2(선택적 주의) × 2(억제)의 혼합설계에 의한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얼굴 재인에 성공한 시행에서는 (b)기억하도록 선택되고 억제단서를 받지 않은 얼굴과 (c)기억하도록 선택되지 않고 억제단서를 받은 얼굴에 대하여 긍정적인 사회-정서적 평가가 나타났다. 이는 작업기억 내에 정보가 유지만 된다면 아동들에게도 선택적 주의와 억제가 사회-정서적 평가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선택적 주의와 억제가 낯선 얼굴에 대한 사회-정서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을 포함함으로써 작업기억 내의 주의와 억제의 부호화가 이후 정서적 평...

      본 연구는 선택적 주의와 억제가 낯선 얼굴에 대한 사회-정서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을 포함함으로써 작업기억 내의 주의와 억제의 부호화가 이후 정서적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Raymond(2005)의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2학년, 초등학교 5학년, 그리고 대학생 각각 30명에게 한 쌍의 얼굴 중 하나의 얼굴을 기억하도록 지시함으로써 피험자의 선택적 주의를 유도하였고, 이후 억제 신호에 따라 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요구하여 피험자의 행동적 억제 반응을 유도하였다. 그 후 무선적으로 제시된 얼굴 자극에 대해 5점 척도로 사회-정서적 평가를 실시하였고, 얼굴 재인에 성공한 시행과 실패한 시행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3(연령) × 2(선택적 주의) × 2(억제)의 혼합설계에 의한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얼굴 재인에 성공한 시행에서는 (b)기억하도록 선택되고 억제단서를 받지 않은 얼굴과 (c)기억하도록 선택되지 않고 억제단서를 받은 얼굴에 대하여 긍정적인 사회-정서적 평가가 나타났다. 이는 작업기억 내에 정보가 유지만 된다면 아동들에게도 선택적 주의와 억제가 사회-정서적 평가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명숙, "얼굴재인기억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9 (9): 167-182, 1996

      2 정명숙, "얼굴재인기억: 피험자 연령과 자극 얼굴 연령의 효과" 10 (10): 167-176, 1997

      3 정명숙, "얼굴재인 능력의 발달에 대한 이론들의 타당성 검증" 11 (11): 134-153, 1998

      4 민수정, "얼굴 자극에 대한 작업기억 유지와 선택이 사회-정서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9 (19): 171-185, 2007

      5 John Stirling, "신경심리학입문" 시그마프레스 2006

      6 김현철, "반복측정 자료의 분석" 교육과학사 2005

      7 최경숙, "기억연구: 아동의 구성기억"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2

      8 Cowan, N., "The role of attention in the development of short-term memory: Age differences in the verbal span of apprehension" 70 (70): 1082-1097, 1999

      9 Nelson, C. A., "The development and neural bases of face recognition" 10 : 3-18, 2001

      10 Bornstein, R. F., "The attribution and discounting of perceptual fluency: Preliminary tests of a perceptual fluency/attributional model of the mere exposure effect" 12 : 103-128, 1994

      1 정명숙, "얼굴재인기억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9 (9): 167-182, 1996

      2 정명숙, "얼굴재인기억: 피험자 연령과 자극 얼굴 연령의 효과" 10 (10): 167-176, 1997

      3 정명숙, "얼굴재인 능력의 발달에 대한 이론들의 타당성 검증" 11 (11): 134-153, 1998

      4 민수정, "얼굴 자극에 대한 작업기억 유지와 선택이 사회-정서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9 (19): 171-185, 2007

      5 John Stirling, "신경심리학입문" 시그마프레스 2006

      6 김현철, "반복측정 자료의 분석" 교육과학사 2005

      7 최경숙, "기억연구: 아동의 구성기억"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2

      8 Cowan, N., "The role of attention in the development of short-term memory: Age differences in the verbal span of apprehension" 70 (70): 1082-1097, 1999

      9 Nelson, C. A., "The development and neural bases of face recognition" 10 : 3-18, 2001

      10 Bornstein, R. F., "The attribution and discounting of perceptual fluency: Preliminary tests of a perceptual fluency/attributional model of the mere exposure effect" 12 : 103-128, 1994

      11 Fenske, M. J., "The affective consequences of visual attention in preview search" 11 (11): 1055-1061, 2004

      12 민수정, "The Effect of Working Memory on Attention and Emotion"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13 Luck, S. J., "Spatial filtering during visual search: Evidence from human electrophysiology" 20 : 1000-1014, 1994

      14 Gotlib, L. H., "Selective Attention in Dysphoric Individuals: The Role of Affetive Interference and Inhibition" 29 (29): 417-432, 2005

      15 Raymond, J. E., "Selective Attention Determines Emotional Responses to Novel Visual Stimuli" 14 (14): 537-542, 2003

      16 Hwang, M. E., "Predicting reaction time from temporal performance indicators on a Go/No-Go task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University of Cincinnati 2008

      17 Greenhouse, S. W., "On methods in the analysis of profile data" 24 : 95-112, 1959

      18 Armony, J. L., "Modulation of spatial attention by fear-conditioned stimuli: An event-related fMRI study" 40 : 817-826, 2002

      19 Simmonds, D. J., "Meta-analysis of Go/No-go tasks demonstrating that fMRI activation associated with response inhibition is task-dependent" 46 (46): 224-232, 2008

      20 Bugental, D. B., "Influences of witnessed affect on information processing in children" 63 : 774-786, 1992

      21 Kenntner-Mabiala, R., "Independent effects of emotion and attention on sensory and affective pain perception" 21 (21): 1615-1629, 2007

      22 Itier, R. J., "Face Recognition Memory and Configural Processing: A Developmental ERP Study using Upright, Inverted, and contrast-Reversed Faces" 16 (16): 487-502, 2004

      23 Raymond, J. E., "Emotional Devaluation of Distracting Patterns and Faces: A Consequence of Attentional Inhibition During Visual Search" 31 (31): 1404-1415, 2005

      24 Kiss, M., "Efficient Attentional Selection Predicts Distractor Devaluation: Event-related Potential Evidence for a Direct Link between Attention and Emotion" 19 (19): 1316-1322, 2007

      25 Vuilleumier, P., "Effects of attention and emotion on face processing in the human brain: An event-related fMRI study" 30 : 829-841, 2001

      26 Chua, H. F., "Cultural Variation in eye movement during scene perception" 102 (102): 12629-12633, 2005

      27 Bush, G., "Cognitive and emotional influences in anterior cingulate cortex" 4 : 215-222, 2000

      28 Zajonc, R. B., "Attitudinal effects of mere exposure" 9 : 1-27, 1968

      29 Fenske, M. J., "Attentional Inhibition Has Social-Emotional Consequences for Unfamiliar Faces" 16 (16): 753-758, 2006

      30 Masuda, T., "Attending holistically vs. analytically: Comparing the context sensitivity of Japanese and Americans" 81 : 922-934,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5 2.085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