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벌침 시술 후 발생한 광범위한 요천추 경막하 농양 - 증례 보고 - = Widespread Lumbosacral Subdural Abscess after Bee Venom Therapy - A Case Repor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360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We report a case of widespread lumbosacral subdural abscess in a patient who underwent bee venom therap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ubdural abscess is rare, but has a poor prognosis. Therefore, prompt recognition and appropriate treatment are paramount.
      Materials and Methods: A 54-year-old woman was hospitalized due to severe back pain. Two days previously, she had undergone bee venom therapy. The patient then visited the emergency room because of severe back pain. However, a paraspinal infection was not detected on 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ix days after admission, the patient showed signs of meningeal irritation and an emergency cerebrospinal fluid analysis showed typical findings of bacterial meningitis. Although adequate antibiotic treatment was administered, 20 days after admission, the patient’s symptoms became aggravated. Pachymeningeal enhancement, myelomeningitis, and subdural abscess compressing the cauda equina were found on enhanced MRI. Thus, laminectomy between L3-L4 and L5-S1 was performed, as well as subdural abscess drainage. Antibiotic agents were applied for 6 weeks after the operation, and resolution of the subdural abscess was identified on follow-up MRI.
      Results: In this patient, lumbosacral subdural abscess occurred due to bee venom therapy. It was cured by adequate surgical and antibiotic treatment.
      Conclusions: Bee venom therapy can cause subdural abscess of the spinal cord. Even if it is a rare case, this possibility is worth consideration in the Korean medical context.
      번역하기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We report a case of widespread lumbosacral subdural abscess in a patient who underwent bee venom therap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ubdural abscess is rare, but has a poor prognosis. Therefore, prompt recogn...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We report a case of widespread lumbosacral subdural abscess in a patient who underwent bee venom therap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ubdural abscess is rare, but has a poor prognosis. Therefore, prompt recognition and appropriate treatment are paramount.
      Materials and Methods: A 54-year-old woman was hospitalized due to severe back pain. Two days previously, she had undergone bee venom therapy. The patient then visited the emergency room because of severe back pain. However, a paraspinal infection was not detected on 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ix days after admission, the patient showed signs of meningeal irritation and an emergency cerebrospinal fluid analysis showed typical findings of bacterial meningitis. Although adequate antibiotic treatment was administered, 20 days after admission, the patient’s symptoms became aggravated. Pachymeningeal enhancement, myelomeningitis, and subdural abscess compressing the cauda equina were found on enhanced MRI. Thus, laminectomy between L3-L4 and L5-S1 was performed, as well as subdural abscess drainage. Antibiotic agents were applied for 6 weeks after the operation, and resolution of the subdural abscess was identified on follow-up MRI.
      Results: In this patient, lumbosacral subdural abscess occurred due to bee venom therapy. It was cured by adequate surgical and antibiotic treatment.
      Conclusions: Bee venom therapy can cause subdural abscess of the spinal cord. Even if it is a rare case, this possibility is worth consideration in the Korean medical contex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계획: 증례보고목적: 요추부 벌침 시술 시행 후 척추주위 감염을 동반한 광범위한 요천추부 경막하 농양에 대한 증례를 보고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척추 경막하 농양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발생률이 낮지만 나쁜 예후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적극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54세 여자환자가 심한 요통으로 내원하였다. 내원 2일전 벌침 시술을 받았으며, 이후 심한 요통으로 응급실로 내원하였으나 내원 당시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척추주위 감염은 발견되지 않았다. 입원 6일째 환자는 수막자극증상을 보였고 뇌척수액 검사상 세균성 수막염의 전형적인 소견을 보였다. 적절한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입원 20일째 환자의 증상은 악화되었다.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에서 수막비후, 척수수막염, 척수를 압박하는 경막하 농양이 발견되었다. 이에 제 3 요추 - 제 4 요추간 및 제 5 요추 - 제 1 천추간 후궁절제술을 시행하고 경막하 농양 절개술을 시행했다. 수술 후6주간 항생제를 투여하였고, 추시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경막하 농양의 완전소실을 확인하였다.
      결과: 본 증례에서 벌침 시술로 인해 요천추 경막하 농양이 발생하였고, 적절한 수술 및 항생제 치료로 치유되었다.
      결론: 벌침 시술로 인해 요천추 경막하 농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비록 드문 경우이지만 우리의 의료환경에서 고려할 가치가 있는 원인이다.


      약칭 제목: 벌침 시술 후 발생한 요천추 경막하 농양
      번역하기

      연구 계획: 증례보고목적: 요추부 벌침 시술 시행 후 척추주위 감염을 동반한 광범위한 요천추부 경막하 농양에 대한 증례를 보고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척추 경막하 농양은 매우 드문 질환...

      연구 계획: 증례보고목적: 요추부 벌침 시술 시행 후 척추주위 감염을 동반한 광범위한 요천추부 경막하 농양에 대한 증례를 보고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척추 경막하 농양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발생률이 낮지만 나쁜 예후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적극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54세 여자환자가 심한 요통으로 내원하였다. 내원 2일전 벌침 시술을 받았으며, 이후 심한 요통으로 응급실로 내원하였으나 내원 당시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척추주위 감염은 발견되지 않았다. 입원 6일째 환자는 수막자극증상을 보였고 뇌척수액 검사상 세균성 수막염의 전형적인 소견을 보였다. 적절한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입원 20일째 환자의 증상은 악화되었다.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에서 수막비후, 척수수막염, 척수를 압박하는 경막하 농양이 발견되었다. 이에 제 3 요추 - 제 4 요추간 및 제 5 요추 - 제 1 천추간 후궁절제술을 시행하고 경막하 농양 절개술을 시행했다. 수술 후6주간 항생제를 투여하였고, 추시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경막하 농양의 완전소실을 확인하였다.
      결과: 본 증례에서 벌침 시술로 인해 요천추 경막하 농양이 발생하였고, 적절한 수술 및 항생제 치료로 치유되었다.
      결론: 벌침 시술로 인해 요천추 경막하 농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비록 드문 경우이지만 우리의 의료환경에서 고려할 가치가 있는 원인이다.


      약칭 제목: 벌침 시술 후 발생한 요천추 경막하 농양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evy ML, "Subdural empyema of the cervical spine: Clinicopathological correlate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port of three cases" 79 (79): 929-935, 1993

      2 Bartels RH, "Spinal subdural abscess: Case report" 76 (76): 307-311, 1992

      3 Vural M, "Spinal subdural Staphylococcus aureus abscess: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112 (112): 343-346, 2005

      4 Bluman EM, "Spinal epidural abscess in adults" 12 (12): 155-163, 2004

      5 Bluman EM, "Spinal epidural abscess in adults" 12 (12): 155-163, 2004

      6 Darouiche RO, "Spinal epidural abscess and subdural empyema" 96 : 91-99, 2000

      7 Chen CY, "Dermoid cyst with dermal sinus tract complicated with spinal subdural abscess" 20 (20): 157-160, 1999

      8 Lim HY, "Chronic spinal subdural abscess mimicking an intradural-extramedullary tumor" 22 (22): 497-500, 2013

      1 Levy ML, "Subdural empyema of the cervical spine: Clinicopathological correlate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port of three cases" 79 (79): 929-935, 1993

      2 Bartels RH, "Spinal subdural abscess: Case report" 76 (76): 307-311, 1992

      3 Vural M, "Spinal subdural Staphylococcus aureus abscess: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112 (112): 343-346, 2005

      4 Bluman EM, "Spinal epidural abscess in adults" 12 (12): 155-163, 2004

      5 Bluman EM, "Spinal epidural abscess in adults" 12 (12): 155-163, 2004

      6 Darouiche RO, "Spinal epidural abscess and subdural empyema" 96 : 91-99, 2000

      7 Chen CY, "Dermoid cyst with dermal sinus tract complicated with spinal subdural abscess" 20 (20): 157-160, 1999

      8 Lim HY, "Chronic spinal subdural abscess mimicking an intradural-extramedullary tumor" 22 (22): 497-500,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3 0.03 0.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6 0.05 0.22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