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교육 인식 및 참여 실태 = The Perception of and the State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and the state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on the part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eeking ways to increase those parents` future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examination and analysis. For this study, 310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rveyed, and the questionnaires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with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degree about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level of acquaintance with the term of lifelong learning, or lifelong education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low. Those indicators (the understanding degree and the level of acquainta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gender of the parents, the highest level of schooling of the parents, total family income,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of the children. On the contrary, the level of interest in lifelong education was very high and the will to participate in it was shown to be very strong. Secondly, the participation rates in lifelong education both in the past and in the future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hown to be very low. In the case of the parents who had ever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the answer that they took part in it voluntarily, the answer that the duration of the participation was less than 6 months, and the answer that the institutions they attended were social welfare centers and rehabilitation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unted for about half of the total answers, respectively. Also, as for the main purposes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in order to get some help with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the most frequent answers. Based on the results above mentioned, we discussed some ways to vitalize lifelong education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and the state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on the part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eeking ways to increase those parents` future participation ...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and the state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on the part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eeking ways to increase those parents` future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examination and analysis. For this study, 310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rveyed, and the questionnaires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with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degree about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level of acquaintance with the term of lifelong learning, or lifelong education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low. Those indicators (the understanding degree and the level of acquainta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gender of the parents, the highest level of schooling of the parents, total family income,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of the children. On the contrary, the level of interest in lifelong education was very high and the will to participate in it was shown to be very strong. Secondly, the participation rates in lifelong education both in the past and in the future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hown to be very low. In the case of the parents who had ever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the answer that they took part in it voluntarily, the answer that the duration of the participation was less than 6 months, and the answer that the institutions they attended were social welfare centers and rehabilitation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unted for about half of the total answers, respectively. Also, as for the main purposes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in order to get some help with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the most frequent answers. Based on the results above mentioned, we discussed some ways to vitalize lifelong education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기영, "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평생교육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6

      2 권미정,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에 재학중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인식 및 참여 실태 분석"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 전주성, "학교평생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0 (10): 173-197, 2007

      4 유민하, "평생교육차원에서 본 장애인 가족지원체계 연구 : 보건복지부 산하A기관의 연구자료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6

      5 한숭희, "평생교육론" 학지사 2006

      6 최운실, "평생교육 참여 실태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7 최돈민, "평생교육 요구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1999

      8 최명옥, "초등학교 교사의 평생교육 인식과 만족도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조영희, "중·고등학교 교사의 평생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김두영, "장애인평생교육 관련 선행연구 고찰" 1 (1): 21-41, 2015

      1 홍기영, "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평생교육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6

      2 권미정,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에 재학중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인식 및 참여 실태 분석"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 전주성, "학교평생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0 (10): 173-197, 2007

      4 유민하, "평생교육차원에서 본 장애인 가족지원체계 연구 : 보건복지부 산하A기관의 연구자료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6

      5 한숭희, "평생교육론" 학지사 2006

      6 최운실, "평생교육 참여 실태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7 최돈민, "평생교육 요구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1999

      8 최명옥, "초등학교 교사의 평생교육 인식과 만족도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조영희, "중·고등학교 교사의 평생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김두영, "장애인평생교육 관련 선행연구 고찰" 1 (1): 21-41, 2015

      11 김두영, "장애인야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1-25, 2013

      12 강수정, "장애부모의 융복합 원예활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561-568, 2015

      13 김이경, "우리나라 장애아동부모 연구 동향 : 2000년∼2011년 학술지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14 이기언, "소외계층의 평생학습 성과 결정 요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15 배상미, "성인학습자의 지역사회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6 윤점룡, "성인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모형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0

      17 김두영, "서울특별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운영에관한 부모의 요구" 2 (2): 37-64, 2016

      18 강명희, "부모의 장애자녀 평생계획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19 장혜경, "돌봄노동 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6

      20 이진경, "도시와 농촌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인식 및 요구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1 김승현, "대학생들의 평생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2 최연숙, "당진시민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 및 요구 분석"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3 이경희, "노인학습자들의 교육 참여 실태조사 분석" 10 (10): 49-77, 2004

      24 유은주, "고등학교 학부모의 평생교육에 관한 인식과 요구 분석"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5 Blacher, J., "Severely handicapp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cademic Press 1984

      26 교육부, "2015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한국교육개발원 2015

      27 평생교육진흥원, "2011년도 소외계층 평생교육프로그램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평생교육진흥원 2012

      28 교육부, "2011ᆞ2012 평생교육백서 [14ᆞ15호 합본]" 2013

      29 교육과학기술부, "2008 평생교육백서 [제11호]"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