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안전한 학교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인식과 과제 = School Social Workers' Perspectives and Challenges concerning Safe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02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was an exploratory study that investigated what a safe school was and what the practice of school social work and school social workers' role was.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 on the definition of the school safety, conducted an e-mail survey for social workers and local social education experts working at schools across the country, and carried out in-depth focus-group interviews. The interviewees were 5 persons who had some experiences with school social work, and were engaged in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We-start programs, and community fund-raising activities. With them, we explored the definition of the school safety, the conditions of school safety that were recognized by school social workers, and the role of school social workers to keep school as safe environment.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y recognized the school safety as a concept which not only included physical safety but also included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afety.
      In other words, the school social workers' perception on school safety included not only the safety against crimes and accidents, but also safety networks of ecological environments including local society and homes as well as schools where cultural differences and diversities were appreciated and mutual respect were acknowledged.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 safety revealed that the safety of schools, safety education, and safety measures were not satisfactory, and the interviewe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uilding network between educators and local society. The interviewees also emphasized the roles of practitioners and educators as well as the promo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sensitivity to safety issue. Though it was an exploratory study, this work was expected to further extend the debate on school social workers' role on safe school, and ultimately to build a foundation for promoting students' quality of life for making schools that could be trusted by parents and local society.
      번역하기

      This work was an exploratory study that investigated what a safe school was and what the practice of school social work and school social workers' role was.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 on the definition of the school safety, con...

      This work was an exploratory study that investigated what a safe school was and what the practice of school social work and school social workers' role was.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 on the definition of the school safety, conducted an e-mail survey for social workers and local social education experts working at schools across the country, and carried out in-depth focus-group interviews. The interviewees were 5 persons who had some experiences with school social work, and were engaged in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We-start programs, and community fund-raising activities. With them, we explored the definition of the school safety, the conditions of school safety that were recognized by school social workers, and the role of school social workers to keep school as safe environment.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y recognized the school safety as a concept which not only included physical safety but also included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afety.
      In other words, the school social workers' perception on school safety included not only the safety against crimes and accidents, but also safety networks of ecological environments including local society and homes as well as schools where cultural differences and diversities were appreciated and mutual respect were acknowledged.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 safety revealed that the safety of schools, safety education, and safety measures were not satisfactory, and the interviewe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uilding network between educators and local society. The interviewees also emphasized the roles of practitioners and educators as well as the promo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sensitivity to safety issue. Though it was an exploratory study, this work was expected to further extend the debate on school social workers' role on safe school, and ultimately to build a foundation for promoting students' quality of life for making schools that could be trusted by parents and local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안전한 학교란 무엇이며 안전한 학교를 위한 학교사회복지실천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안전한 학교에 대한 정의와 외국의 사례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전국의 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초점집단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대상자는 3년 이상 학교사회복지 경력자로 교육복지, we-start, 공동모금회 사업을 진행하는 5인으로 안전한 학교에 대한 정의와 학교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학교의 안전 실태, 안전한 학교를 만들기 위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안전한 학교는 물리적 안전 뿐 아니라 심리·정서적 안전의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범죄나 사고로부터의 안전 뿐 아니라 문화적 차별과 다양성을 인정하고 상호 존중하는 인격적 장의 마련과 이를 위하여 학교를 넘어선 지역사회, 가정 등 학생의 생태체계적 환경의 안전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학교사회복지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대체로 학교의 안전도나 안전교육, 안전대책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실태조사에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하여 학교사회복지사의 안전에 대한 민감성 증진과 함께 개별개입과 함께 교육자, 지역사회네트워크 구축, 중재자, 교육자 등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안전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나 지금까지 안전한 학교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의 논의를 보다 더 확장시켜 나가며, 이를 실천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하여 발전시키고 궁극적으로는 학생의 삶의 질 향상과 학부모나 지역사회가 신뢰할 수 있는 학교를 구축하는데 기여하는 초석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안전한 학교란 무엇이며 안전한 학교를 위한 학교사회복지실천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안전한 학교에 ...

      본 연구는 안전한 학교란 무엇이며 안전한 학교를 위한 학교사회복지실천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안전한 학교에 대한 정의와 외국의 사례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전국의 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초점집단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대상자는 3년 이상 학교사회복지 경력자로 교육복지, we-start, 공동모금회 사업을 진행하는 5인으로 안전한 학교에 대한 정의와 학교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학교의 안전 실태, 안전한 학교를 만들기 위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안전한 학교는 물리적 안전 뿐 아니라 심리·정서적 안전의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범죄나 사고로부터의 안전 뿐 아니라 문화적 차별과 다양성을 인정하고 상호 존중하는 인격적 장의 마련과 이를 위하여 학교를 넘어선 지역사회, 가정 등 학생의 생태체계적 환경의 안전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학교사회복지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대체로 학교의 안전도나 안전교육, 안전대책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실태조사에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하여 학교사회복지사의 안전에 대한 민감성 증진과 함께 개별개입과 함께 교육자, 지역사회네트워크 구축, 중재자, 교육자 등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안전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나 지금까지 안전한 학교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의 논의를 보다 더 확장시켜 나가며, 이를 실천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하여 발전시키고 궁극적으로는 학생의 삶의 질 향상과 학부모나 지역사회가 신뢰할 수 있는 학교를 구축하는데 기여하는 초석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현, "현대청소년교육의 현실적 과제와 미래지향적 정향: 학교에서의 안전교육과 지도대책" 170-212, 2005

      2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 "학생사안과 예방지도" 1982

      3 Dupper, "학교사회사업" 학지사 2004

      4 안정선,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과 직무표준안 개발" 한국아동복지학회 (21) : 147-179, 2006

      5 한국학교사회사업실천가협회, "학교 위기상황 발생에 대한 위기개입" 2002

      6 "최근 3년간 학교 안전사고로 57명 사망"

      7 교육과학기술부, "주요 학교안전사고 사례" 2009

      8 김영일, "정신지체학교의 학교안전사고 실태, 사고처리 및 예방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25-147, 2007

      9 김부기, "정서장애 특수학교 교원의 학교안전사고와 학교안전공제회에 대한 실태 및 인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0 김식현, "인사관리론" 무역경영사 1994

      1 김두현, "현대청소년교육의 현실적 과제와 미래지향적 정향: 학교에서의 안전교육과 지도대책" 170-212, 2005

      2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 "학생사안과 예방지도" 1982

      3 Dupper, "학교사회사업" 학지사 2004

      4 안정선,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과 직무표준안 개발" 한국아동복지학회 (21) : 147-179, 2006

      5 한국학교사회사업실천가협회, "학교 위기상황 발생에 대한 위기개입" 2002

      6 "최근 3년간 학교 안전사고로 57명 사망"

      7 교육과학기술부, "주요 학교안전사고 사례" 2009

      8 김영일, "정신지체학교의 학교안전사고 실태, 사고처리 및 예방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25-147, 2007

      9 김부기, "정서장애 특수학교 교원의 학교안전사고와 학교안전공제회에 대한 실태 및 인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0 김식현, "인사관리론" 무역경영사 1994

      11 Ulrich B,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새물결 1997

      12 성윤숙, "안전한 학교 만들기를 위한 학교 안전지표 개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29-132, 2008

      13 윤선화, "안전한 도시만들기 프로젝트; 우리 아이들 안심하고 학교 보내기" 43 : 38-50, 2008

      14 김혜원, "안전의식 측정 척도 개발 연구: 서울시 일부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19 (19): 87-107, 2002

      15 김진향, "모두가 함께 노력하는 안전한 학교 만들기-국제안전학교" 2010

      16 "농·어촌 학교 보건교사 배치율 저조"

      17 박소영, "강도 높은 처벌이 능사는 아니다"

      18 Verdugo, R. R, "School Quality, Safe Schools: An Empirical Analysis" 3 (3): 96-117, 2005

      19 Florio, A. E, "Safety Education Editorial Revision Committee(2nd ed.)" Man and Motor Car 1974

      20 Bucher, K. T, "Challenges and suggestions for safe schools, In Annual Editions: Adolescent Psychology 05/06" McGraw-Hill/Dushkin 65-69, 2005

      21 Howard County, "A Parents' Guide to Reporting Acts of Harassment or Intimidation Against Students, In Reporting Harassment" Intenational Student and Family Services- Korean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