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모션캡처 기반 태권도 움직임 궤적 시각화 미디어아트 기법 = Motion Capture based Taekwondo Motion Trajectory Visualization Media Art Techniq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9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의 움직임의 궤적을 시각화하기 위한 예술적인 노력은 계속해서 진행되었다. 일정 시간동안 발생하였던 움직임의 궤적을 하나의 프레임 안에서 시각화하면 움직임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에서 인간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모션캡처 기술로 생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게임엔진을 사용하여 움직임의 궤적들을 심미적으로 표현하는 시각화 기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공중동작의 역동성과 발차기의 화려한 기술을 갖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무도인 태권도 움직임 데이터를 사용하여 움직임의 궤적을 심미적으로 표현하는 미디어아트 작품의 제작기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작품을 제작하였다.
      번역하기

      인간의 움직임의 궤적을 시각화하기 위한 예술적인 노력은 계속해서 진행되었다. 일정 시간동안 발생하였던 움직임의 궤적을 하나의 프레임 안에서 시각화하면 움직임이 가지고 있는 특성...

      인간의 움직임의 궤적을 시각화하기 위한 예술적인 노력은 계속해서 진행되었다. 일정 시간동안 발생하였던 움직임의 궤적을 하나의 프레임 안에서 시각화하면 움직임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에서 인간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모션캡처 기술로 생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게임엔진을 사용하여 움직임의 궤적들을 심미적으로 표현하는 시각화 기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공중동작의 역동성과 발차기의 화려한 기술을 갖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무도인 태권도 움직임 데이터를 사용하여 움직임의 궤적을 심미적으로 표현하는 미디어아트 작품의 제작기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작품을 제작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istic efforts to visualize the trajectory of human motion have been tried consistently. By visualizing the trajectory of motion that occurred during a period of time in one frame, it is possible to vis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motion. In this paper, visualization technique that expresses the trajectories of motion based on spatial data generated by motion capture technology has been studied using a game engine. In particular, we studied about the production technique of media art that expresses the trajectory of Taekwondo, representative martial art of Republic of Korea, which has dynamic technique of aerial motion and splendid technique of kicking.
      번역하기

      Artistic efforts to visualize the trajectory of human motion have been tried consistently. By visualizing the trajectory of motion that occurred during a period of time in one frame, it is possible to vis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motion. In this p...

      Artistic efforts to visualize the trajectory of human motion have been tried consistently. By visualizing the trajectory of motion that occurred during a period of time in one frame, it is possible to vis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motion. In this paper, visualization technique that expresses the trajectories of motion based on spatial data generated by motion capture technology has been studied using a game engine. In particular, we studied about the production technique of media art that expresses the trajectory of Taekwondo, representative martial art of Republic of Korea, which has dynamic technique of aerial motion and splendid technique of kick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 Andreadis, "Real-time motion capture technology on a live theatrical performance with computer generated scenery" 2010

      2 M. Song, "Rapid interactive real-time application prototyping for media arts and stage performance" 2015

      3 A. P. Shimamura, "Muybridge in motion: travels in art, psychology and neurology" 26 (26): 341-350, 2002

      4 S. Narang, "Motion recognition of self and others on realistic 3D avatars" 28 (28): 2017

      5 G. Balla, "Lines of Movement and Dynamic Succession"

      6 H. Zhou, "Human motion tracking for rehabilitation - A survey" 3 (3): 1-18, 2008

      7 S. H. Artut, "Futurism art and its significance to computational generative art" 2018

      8 S. Kenderdine, "EMBODIED MUSEOGRAPHY" 24-43, 2012

      1 A. Andreadis, "Real-time motion capture technology on a live theatrical performance with computer generated scenery" 2010

      2 M. Song, "Rapid interactive real-time application prototyping for media arts and stage performance" 2015

      3 A. P. Shimamura, "Muybridge in motion: travels in art, psychology and neurology" 26 (26): 341-350, 2002

      4 S. Narang, "Motion recognition of self and others on realistic 3D avatars" 28 (28): 2017

      5 G. Balla, "Lines of Movement and Dynamic Succession"

      6 H. Zhou, "Human motion tracking for rehabilitation - A survey" 3 (3): 1-18, 2008

      7 S. H. Artut, "Futurism art and its significance to computational generative art" 2018

      8 S. Kenderdine, "EMBODIED MUSEOGRAPHY" 24-43,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