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을 활용한 문화유적복원 = Restoring Cultural Properties Utilizing Digit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94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digital has become our daily routine and people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the value of cultural content. These digital innovations are digitalized content and the term 'digital content' has been established. Meanwhile, with increasing interest in cultural relic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digitally preserve and restore cultural relics using digital technology. The digital restoration of cultural artifacts is very necessary because they are likely to be lost or damaged over time. This is because not only analog data from the past, but also all data using IT devices can be converted to computer graphics, 3-D virtual reality, holograms, and then various graphic programs can be used to visualize the past with the original images of cultural relics. In this paper, we will explore the meaning of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examine the type and form of digital restoration of cultural relics, and propose the significance of restoring digital cultural assets through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IT devices by examining representative domestic and foreign cases.
      번역하기

      Today, digital has become our daily routine and people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the value of cultural content. These digital innovations are digitalized content and the term 'digital content' has been established. Meanwhile, with increasing inte...

      Today, digital has become our daily routine and people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the value of cultural content. These digital innovations are digitalized content and the term 'digital content' has been established. Meanwhile, with increasing interest in cultural relic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digitally preserve and restore cultural relics using digital technology. The digital restoration of cultural artifacts is very necessary because they are likely to be lost or damaged over time. This is because not only analog data from the past, but also all data using IT devices can be converted to computer graphics, 3-D virtual reality, holograms, and then various graphic programs can be used to visualize the past with the original images of cultural relics. In this paper, we will explore the meaning of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examine the type and form of digital restoration of cultural relics, and propose the significance of restoring digital cultural assets through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IT devices by examining representative domestic and foreign ca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디지털은 우리의 일상이 되었고 사람들은 문화콘텐츠의 가치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디지털의 기술 혁신은 콘텐츠의 디지털화가 이루어지며 '디지털콘텐츠'라는 말이 정착되었다. 한편 문화유적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문화유적을 디지털로 보존, 복원하기 위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현존하는 문화유적은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유실되거나 훼손되기 쉽기 때문에 문화유적의 디지털 복원방식은 매우 필요하다. 과거의 아날로그방식의 자료뿐 아니라 IT기기를 이용한 자료전부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컴퓨터그래픽, 3차원 가상현실, 홀로그램 등으로 전환한 후, 다양한 그래픽 프로그램들을 통해 문화유적의 원상과 함께 과거의 모습을 시각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유적복원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유적의 디지털 복원의 유형과 형태에 관해 살펴본 후, 국내외 대표사례를 살펴 IT기기의 과학기술을 통한 디지털 문화재 복원에 대한 의의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디지털은 우리의 일상이 되었고 사람들은 문화콘텐츠의 가치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디지털의 기술 혁신은 콘텐츠의 디지털화가 이루어지며 '디지털콘텐츠'라는 말이 정착되...

      오늘날, 디지털은 우리의 일상이 되었고 사람들은 문화콘텐츠의 가치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디지털의 기술 혁신은 콘텐츠의 디지털화가 이루어지며 '디지털콘텐츠'라는 말이 정착되었다. 한편 문화유적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문화유적을 디지털로 보존, 복원하기 위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현존하는 문화유적은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유실되거나 훼손되기 쉽기 때문에 문화유적의 디지털 복원방식은 매우 필요하다. 과거의 아날로그방식의 자료뿐 아니라 IT기기를 이용한 자료전부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컴퓨터그래픽, 3차원 가상현실, 홀로그램 등으로 전환한 후, 다양한 그래픽 프로그램들을 통해 문화유적의 원상과 함께 과거의 모습을 시각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유적복원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유적의 디지털 복원의 유형과 형태에 관해 살펴본 후, 국내외 대표사례를 살펴 IT기기의 과학기술을 통한 디지털 문화재 복원에 대한 의의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의행, "발굴조사 유적지의 복원과 활용 연구 - 자연환경의 디지털 복원을 중심으로 -" 영남고고학회 (77) : 75-97, 2017

      2 문승현, "미륵사지석탑 정밀복원모형 제작을 중심으로 한 3차원 실측데이터의 활용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44 (44): 76-95, 2011

      3 남주현, "문화재의 디지털복원을 위한 3D애니메이션 사례연구-신라 월성 복원영상 ‘천년왕국의 부활’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269-281, 2013

      4 박소연, "문화재 디지털 복원을 통한 디지털 문화 컨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6 (6): 485-495, 2005

      5 김진, "문화유적 공원 조성방법과 활용방안 연구-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40 : 114-144, 2012

      6 이창순, "문화원형의 디지털복원" 한국산업정보학회 15 (15): 25-36, 2010

      7 박소연,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문화재의 디지털 복원" 한국디자인학회 16 (16): 21-228, 2003

      8 Jae Hong Ahn, "Digital heritage : 3D documentation and application of cultural heritage" Sigma Press 2016

      9 Eui Haeng Heo, "Digital Restoration of Excavation Sites and Accessibility of the Public" (40) : 225-236, 2016

      10 Jin Ho Park, "Digital Restoration of Cambodia Angkorwat" 6 (6): 10-17, 2008

      1 허의행, "발굴조사 유적지의 복원과 활용 연구 - 자연환경의 디지털 복원을 중심으로 -" 영남고고학회 (77) : 75-97, 2017

      2 문승현, "미륵사지석탑 정밀복원모형 제작을 중심으로 한 3차원 실측데이터의 활용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44 (44): 76-95, 2011

      3 남주현, "문화재의 디지털복원을 위한 3D애니메이션 사례연구-신라 월성 복원영상 ‘천년왕국의 부활’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269-281, 2013

      4 박소연, "문화재 디지털 복원을 통한 디지털 문화 컨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6 (6): 485-495, 2005

      5 김진, "문화유적 공원 조성방법과 활용방안 연구-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40 : 114-144, 2012

      6 이창순, "문화원형의 디지털복원" 한국산업정보학회 15 (15): 25-36, 2010

      7 박소연,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문화재의 디지털 복원" 한국디자인학회 16 (16): 21-228, 2003

      8 Jae Hong Ahn, "Digital heritage : 3D documentation and application of cultural heritage" Sigma Press 2016

      9 Eui Haeng Heo, "Digital Restoration of Excavation Sites and Accessibility of the Public" (40) : 225-236, 2016

      10 Jin Ho Park, "Digital Restoration of Cambodia Angkorwat" 6 (6): 10-17, 2008

      11 Jong Sun Park, "A Study on the Digital Restoration Method for Utilizing," And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Industry 2015

      12 So hyun Kim, "(The)study on activation &the present status of digital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Arts, Dankook University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