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법은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화자와 청자의 관계 및 행동 요구 정도에 따라 기원, 청원, 의뢰, 청유, 제안, 요구, 명령으로 나누고 있다. 선행연구를 정리해 보면 이두 자료에 나타나는 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7445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명령법은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화자와 청자의 관계 및 행동 요구 정도에 따라 기원, 청원, 의뢰, 청유, 제안, 요구, 명령으로 나누고 있다. 선행연구를 정리해 보면 이두 자료에 나타나는 명...
명령법은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화자와 청자의 관계 및 행동 요구 정도에 따라 기원, 청원, 의뢰, 청유, 제안, 요구, 명령으로 나누고 있다. 선행연구를 정리해 보면 이두 자료에 나타나는 명령형에는 ‘-齊’와 ‘-良如’가 있으며, 향찰 자료에 나타나는 명령형은 ‘-賜立’, ‘-齊’, ‘-良/耶’가 있음 알 수 있다. 그리고 15세기 이후의 한글 입겿에 나타나는 명령법은 공손법의 등분에 따라 대개 ‘하[아래아]라체’, ‘하[아래아]야쎠체’, ‘하[아래아]쇼셔체’로 정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음독 입겿 자료에 나타나는 명령형은 이와는 사뭇 다르다. 본 연구자의 검토에 의하면 음독 입겿 자료에 나타나는 명령형을 대략 ‘-[쇼셔]’형과 ‘-[셔]’형, 그리고 ‘-[라]’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음독 입겿 명령형의 특이점은 15세기 한글 입겿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형태인 ‘-[거셔]’, ‘[하[아래아]셔]’ 형태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이두, 향찰 및 석독 입겿에서 찾아 볼 수 없었던 "용언 어간에 직접 통합된 ‘-[셔]’가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이는 음독 입겿 명령형이 이두, 향찰 자료에 나타나는 명령형과 공손법의 등분에 따라 구분되는 15세기 이후의 한글 입겿 명령법과도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음독 입겿[口訣]에 나타난 새로운 형태의 명령형의 제시하고 이를 통시적으로 비교․분석하고 아울러 명령법 체계의 변화 양상과 그 상관성을 고찰하여 음독 입겿의 명령법 체계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