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매장규모 변화추세 및 매출액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ends of Shop-Area Size of Super-Supermarket(SSM) and the Determinants of Sales of S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80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SSM (Super-Supermarket) has been regulated with distance; however, there is no regulation about size of SSM. Moreover, related literatures have discussed that the size of SSM is simply examined as a main factor influencing on total supermarket sales.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the trends of shop-area size of SSM and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size of SSM on sales increment of SSM. The study sample was composed of 395 SSM of three franchises in Korea with sales data in 2009. For analyses, a regression model was conducted with sales of SSM a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show that the size of SSM in large cities is decreased; however, the size of SSM in local area is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shop-area of SSM is increased by 1㎡, the sales of SSM is increased by 0.05%, and when the number of annual average buyers are increased by 1 person, the sales of SSM is increased by 0.1%. Finally, the sales of SSM in Seoul Metropolitan Area, Kangwon-Do, and Chungchung-Do are about 9.4%~27.4% higher than the sales of SSM in other place.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regulation for the size of SSM should be considered by local governments.
      번역하기

      Recently SSM (Super-Supermarket) has been regulated with distance; however, there is no regulation about size of SSM. Moreover, related literatures have discussed that the size of SSM is simply examined as a main factor influencing on total supermarke...

      Recently SSM (Super-Supermarket) has been regulated with distance; however, there is no regulation about size of SSM. Moreover, related literatures have discussed that the size of SSM is simply examined as a main factor influencing on total supermarket sales.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the trends of shop-area size of SSM and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size of SSM on sales increment of SSM. The study sample was composed of 395 SSM of three franchises in Korea with sales data in 2009. For analyses, a regression model was conducted with sales of SSM a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show that the size of SSM in large cities is decreased; however, the size of SSM in local area is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shop-area of SSM is increased by 1㎡, the sales of SSM is increased by 0.05%, and when the number of annual average buyers are increased by 1 person, the sales of SSM is increased by 0.1%. Finally, the sales of SSM in Seoul Metropolitan Area, Kangwon-Do, and Chungchung-Do are about 9.4%~27.4% higher than the sales of SSM in other place.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regulation for the size of SSM should be considered by local govern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입점과 운영에 관련한 규제가 다양하게 추진되는데 반해, SSM의 입점 추세에 대한 전체적인 연구와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개 기업에서 운영하는 전국 395개 SSM을 대상으로 SSM의 매장규모 변화추세를 검토하고, 2009년 SSM 일일 매출액 자료를 이용한 회귀모델을 구축하여 매장면적과 매출액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평균 매장규모가 대도시를 중심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 반면, 지방에서는 대규모 점포가 등장하는 등 차이가 나는 것을 발견했다. 다음으로, 매장면적이 1㎡ 증가할 때, SSM 매출액은 0.05% 증가하였다.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매장면적이 100㎡ 증가하면 매출액이 5% 증가하는데, 이 증가분은 서울의 매장면적 약 40㎡인 슈퍼마켓 3개의 매출액과 같은 수준이다. 마지막으로 수도권, 강원도, 충청도에 위치하는 SSM의 매출액은 그 이외 지역에 위치하는 SSM 보다 9.4%~27.4%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상대적으로 매장면적이 큰 SSM이 입점하는 지방을 중심으로, SSM 규모에 대한 규제도 검토되어야 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입점과 운영에 관련한 규제가 다양하게 추진되는데 반해, SSM의 입점 추세에 대한 전체적인 연구와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입점과 운영에 관련한 규제가 다양하게 추진되는데 반해, SSM의 입점 추세에 대한 전체적인 연구와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개 기업에서 운영하는 전국 395개 SSM을 대상으로 SSM의 매장규모 변화추세를 검토하고, 2009년 SSM 일일 매출액 자료를 이용한 회귀모델을 구축하여 매장면적과 매출액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평균 매장규모가 대도시를 중심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 반면, 지방에서는 대규모 점포가 등장하는 등 차이가 나는 것을 발견했다. 다음으로, 매장면적이 1㎡ 증가할 때, SSM 매출액은 0.05% 증가하였다.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매장면적이 100㎡ 증가하면 매출액이 5% 증가하는데, 이 증가분은 서울의 매장면적 약 40㎡인 슈퍼마켓 3개의 매출액과 같은 수준이다. 마지막으로 수도권, 강원도, 충청도에 위치하는 SSM의 매출액은 그 이외 지역에 위치하는 SSM 보다 9.4%~27.4%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상대적으로 매장면적이 큰 SSM이 입점하는 지방을 중심으로, SSM 규모에 대한 규제도 검토되어야 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우진,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상권 잠식 강도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07-218, 2010

      2 신기동, "기업형 슈퍼마켓(SSM) 확산의 지역상권 영향과 대응방안연구" 경기개발연구원 (4) : 2010

      3 중소기업중앙회, "기업형 SSM 입점이 중소유통업에 미치는 영향 조사 보고서" 서울중소기업중앙회 2009

      4 박재홍, "국내 대형할인점 분석을 통한 대형슈퍼마켓(SSM)의 유통부문 발전전략에 대한 실증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5 전태훈, "SSM(Super SuperMarket) 입지전략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6 중소기업중앙회, "SSM 주변 소매점 실태조사 결과" 서울중소기업중앙회 2009

      7 중소기업청, "SSM 입점에 따른 예상 피해액 산정기준 작성에 관한 연구" 소상공인진흥원 2010

      8 문소연, "SSM 입점에 따른 슈퍼마켓의 피해범위 및 피해율 결정에 관한 연구 : Huff 모형을 이용하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9 S. Rosen, "Hedonic Prices and Implicit Markets: Product Differentiation in Pure Competition" 82 : 34-55, 1974

      1 신우진,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상권 잠식 강도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07-218, 2010

      2 신기동, "기업형 슈퍼마켓(SSM) 확산의 지역상권 영향과 대응방안연구" 경기개발연구원 (4) : 2010

      3 중소기업중앙회, "기업형 SSM 입점이 중소유통업에 미치는 영향 조사 보고서" 서울중소기업중앙회 2009

      4 박재홍, "국내 대형할인점 분석을 통한 대형슈퍼마켓(SSM)의 유통부문 발전전략에 대한 실증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5 전태훈, "SSM(Super SuperMarket) 입지전략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6 중소기업중앙회, "SSM 주변 소매점 실태조사 결과" 서울중소기업중앙회 2009

      7 중소기업청, "SSM 입점에 따른 예상 피해액 산정기준 작성에 관한 연구" 소상공인진흥원 2010

      8 문소연, "SSM 입점에 따른 슈퍼마켓의 피해범위 및 피해율 결정에 관한 연구 : Huff 모형을 이용하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9 S. Rosen, "Hedonic Prices and Implicit Markets: Product Differentiation in Pure Competition" 82 : 34-55, 19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감정평가연구 -> 부동산연구
      외국어명 : Korean Appraisal Review -> Korea Real Estate Review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6 1.1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