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학습병행 훈련과정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 프로티언 경력 태도의 매개 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Protean Career Attitude on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ork-Learning Dual Training Program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6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PC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ork-learning dual training program (WL)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SCS) [career satisfaction (CS), job satisfaction (JS), and employability (EA)]. For doing so, this study used four scales (Briscoe et al., 2006; Greenhaus et al., 1990, Mobley et al., 1994; Johnson 2001),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739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L, PCA, CS, JS and EA had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PCA ha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L and CS, JS, EA (full mediation).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career developmen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PC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ork-learning dual training program (WL)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SCS) [career satisfaction (CS), job satisfac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PC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ork-learning dual training program (WL)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SCS) [career satisfaction (CS), job satisfaction (JS), and employability (EA)]. For doing so, this study used four scales (Briscoe et al., 2006; Greenhaus et al., 1990, Mobley et al., 1994; Johnson 2001),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739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L, PCA, CS, JS and EA had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PCA ha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L and CS, JS, EA (full mediation).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career developmen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와 주관적 경력 성공의 관계에 대한 프로티언 경력 태도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Briscoe 외(2006), Greenhaus 외(1990), Mobley 외(1994), Johnson(2001)의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515명과 일학습병행과 무관한 중소기업 재직자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 프로티언 경력 태도, 경력만족, 직무만족, 고용가능성은 상호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티언 경력 태도는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와 경력만족, 직무만족, 고용가능성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며, 그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및 중소기업 경력개발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와 주관적 경력 성공의 관계에 대한 프로티언 경력 태도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Briscoe 외(2006), Greenhaus 외(1990), Mobley 외(1994), John...

      이 연구는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와 주관적 경력 성공의 관계에 대한 프로티언 경력 태도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Briscoe 외(2006), Greenhaus 외(1990), Mobley 외(1994), Johnson(2001)의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자 515명과 일학습병행과 무관한 중소기업 재직자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 여부, 프로티언 경력 태도, 경력만족, 직무만족, 고용가능성은 상호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티언 경력 태도는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이수와 경력만족, 직무만족, 고용가능성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며, 그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및 중소기업 경력개발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혜영,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13 (13): 3-23, 2015

      2 최우재, "한국인력개발학회 HRD 총서 2:Career Development" 박영스토리 130-147, 2018

      3 김대영, "한국인력개발학회 HRD 총서 2: Career Development" 박영스토리 50-81, 2018

      4 김나정, "한국 근로자들의 경력성공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7 (17): 253-287, 2014

      5 김시진, "프로틴 경력태도, 무경계 경력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분석" 대한경영학회 23 (23): 1899-1915, 2010

      6 김선자, "초등 교사의 평생학습 참여 경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및 주관적 경력 성공 간의 관계"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1 (11): 71-94, 2015

      7 김지석, "청소년지도자의 자기주도성, 개인-직무 적합성, 경력개발지원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프로틴 경력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9 (19): 263-287, 2017

      8 배을규, "중소기업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참여업체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25, 2014

      9 황애영, "주도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프로틴(protean) 경력지향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4 (24): 409-428, 2011

      10 전승환, "일학습병행제의 경제․사회적 성과분석" 한국산업인력공단․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1 박혜영,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13 (13): 3-23, 2015

      2 최우재, "한국인력개발학회 HRD 총서 2:Career Development" 박영스토리 130-147, 2018

      3 김대영, "한국인력개발학회 HRD 총서 2: Career Development" 박영스토리 50-81, 2018

      4 김나정, "한국 근로자들의 경력성공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7 (17): 253-287, 2014

      5 김시진, "프로틴 경력태도, 무경계 경력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분석" 대한경영학회 23 (23): 1899-1915, 2010

      6 김선자, "초등 교사의 평생학습 참여 경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및 주관적 경력 성공 간의 관계"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1 (11): 71-94, 2015

      7 김지석, "청소년지도자의 자기주도성, 개인-직무 적합성, 경력개발지원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프로틴 경력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9 (19): 263-287, 2017

      8 배을규, "중소기업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참여업체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25, 2014

      9 황애영, "주도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프로틴(protean) 경력지향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4 (24): 409-428, 2011

      10 전승환, "일학습병행제의 경제․사회적 성과분석" 한국산업인력공단․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11 국회예산정책처, "일학습병행제 성과평가"

      12 강경종, "일학습병행제 성과진단 및 성과관리" 한국산업인력공단․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13 김대영, "일학습병행은 경력개발에 효과적인가?" 21 (21): 26-57, 2018

      14 한국산업인력공단 일학습확산팀, "일학습병행 통계현황"

      15 한국산업인력공단 일학습확산팀, "일학습병행 통계현황"

      16 고용노동부, "일학습병행 운영매뉴얼"

      17 배을규, "인적자원개발론" 학이시습 2009

      18 한수진, "여성 관리자의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력열망 그리고 멘토링/교육훈련의 효과" 대한경영학회 31 (31): 743-760, 2018

      19 고윤승, "성인학습자의 프로틴 경력과 무경계 경력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6 : 13-29, 2016

      20 배을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가 경력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조절 효과" 한국성인교육학회 17 (17): 91-113, 2014

      21 조형래,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12-224, 2017

      22 김대영, "기업현장교사 양성 및 관리 체계 구축 방안" 한국산업인력공단․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23 박용호, "기업의 학습조직 구축정도, 자기주도 학습능력,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53-79, 2013

      24 박종선, "기업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전이의도 영향요인" 한국인력개발학회 18 (18): 49-79, 2016

      25 이재봉, "군 장교의 프로틴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교육학회 (22) : 89-112, 2011

      26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7

      27 오석영,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 내 학습 경험이 직장유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0 (10): 71-90, 2014

      28 "고용노동부고시 제2017-29호. 일학습병행 운영 및 평가 규정"

      29 김성국, "경력 개념의 변화와 미래 방향에 관한 이론적 고찰" 17 (17): 5-29, 1999

      30 Rodrigues, R., "Who benefits from independent careers? Employees, organizations, or both?" 91 : 23-34, 2015

      31 Akkermans, J., "Trending topics in careers: A review and future research agenda" 22 (22): 586-627, 2017

      32 Brinkerhoff, R. O., "Training impact evaluation that senior managers believe and use" ASTD 2008

      33 Thissen, J. G., "Toward the employability-link model:Current employment transition to future employment perspectives" 7 (7): 165-183, 2008

      34 Briscoe, J. P., "The protean orientation: Creating the adaptable workforce necessary for flexibility and speed" 2002

      35 Clarke, M., "The organizational career: not dead but in need of redefinition" 24 (24): 684-703, 2013

      36 Baron, R.,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37 Briscoe, J. P., "The interplay of boundaryless and protean careers: Combinations and implications" 69 : 4-18, 2006

      38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ow-step approach" 103 (103): 411-423, 1988

      39 Nunnally, J.,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1978

      40 Chin, W. S, "Protean career development: Exploring the individuals, organizational and job-related factors" 10 (10): 203-215, 2014

      41 De Vos, A., "Protean attitude and career success: The mediating role of self-management" 73 (73): 449-456, 2008

      42 Briscoe, J. P.,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s: An empirical exploration" 69 : 30-47, 2006

      43 Inkson, K.,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s as metaphors" 69 : 48-63, 2006

      44 Wong, S. C., "Promoting protean career through employability culture and mentoring: career strategies as moderator" 41 (41): 277-302, 2017

      45 Eby, L. T., "Predictors of success in the era of the boundaryless career" 24 (24): 689-708, 2003

      46 Hayes, A. F,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신영사 2015

      47 Mobley, G. M., "Mentoring job satisfaction, gender and the legal profession" 31 (31): 79-98, 1994

      48 Johnson, C. D., "In search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areer success"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01

      49 Fugate, M., "Emploability: A psycho-social construct, its dimension, and applications" 65 : 14-38, 2004

      50 Heslin, P. A., "Conceptualizing and evaluating career success" 26 (26): 113-136, 2005

      51 Podsakoff, P. M.,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88 (88): 879-903, 2003

      52 Hall, D. T., "Careers in and out of organizations" Sage 2002

      53 Arthur, M. B., "Career success in a boundaryless career world" 26 : 177-202, 2005

      54 Greenhaus, J. H., "Career management" Harcourt College Publishers 2000

      55 Greenberg, J., "Behavior in organization" Pearson Education 2008

      56 Judge, T. A.,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predictors of executive career success" 48 (48): 485-519, 1995

      57 Arbuckle, J. L., "AMOS (Version 7.0)" SPSS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