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통합프로그램에서 비장애아와 장애아들의 지능발달수준과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행동특성에 따라 유아의 작업집중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비장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34647
2004
-
375.05
KCI등재
학술저널
95-114(2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통합프로그램에서 비장애아와 장애아들의 지능발달수준과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행동특성에 따라 유아의 작업집중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비장애...
본 연구는 통합프로그램에서 비장애아와 장애아들의 지능발달수준과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행동특성에 따라 유아의 작업집중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비장애아와 장애아의 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어린이집 2개소의 원아 63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유아 지능검사(K-WPPSI), 유아행동특성 질문지(CEQ)와 작업집중도 관찰지(E-Qual)이다. 연구결과, 유아의 지능발달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교사가 지각한 행동특성 중 유능성, 안정성, 경청도가 높았으며 작업집중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ntelligence developmental level, perceived behavior traits and engagement behavior in the Integrated Program of disabled children. The objects of the research are 63 children from 2 childca...
This research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ntelligence developmental level, perceived behavior traits and engagement behavior in the Integrated Program of disabled children. The objects of the research are 63 children from 2 childcare centers which enforce the Integrated Program for both normal and disabled children in Daegu city.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are K-WPPSI, CEQ and E-QUAL. These data were analyzed by MANOVA.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at children of high intelligence developmental level show persistent behaviors and children of low intelligence developmental level non-engaged behaviors. In addition, the group of high intelligence developmental level shows higher competence, persistence and attention of the behavior traits perceived by teachers. Moreover, persistent behavior is in direct correlation to competence, persistence and attention, and nonengagement behavior is inverse correlation to them.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5
2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1999
3 "통합환경의 장애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에 대한 분석" 21 (21): 155-184, 2001
4 "통합된 장면에 있어서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 15 (15): 27-43, 1994
5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중재 효과 연구의 동향과 과제" 35 (35): 167-200, 2000
6 "장애아 통합프로그램에서 유아의 지능발달수준이 인지적사회적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7 (7): 231-246, 2002
7 "유아통합 프로그램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갖추어야할 자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미국교사를 중심으로" 21 (21): 283-294, 2000
8 "상상놀이 훈련이 정신지체유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14 (14): 85-106, 1997
9 "몰입의 즐거움" 해냄 1999
10 "매력적인 수업설계" 교육과학사 1999
1 "한국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5
2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1999
3 "통합환경의 장애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에 대한 분석" 21 (21): 155-184, 2001
4 "통합된 장면에 있어서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 15 (15): 27-43, 1994
5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중재 효과 연구의 동향과 과제" 35 (35): 167-200, 2000
6 "장애아 통합프로그램에서 유아의 지능발달수준이 인지적사회적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7 (7): 231-246, 2002
7 "유아통합 프로그램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갖추어야할 자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미국교사를 중심으로" 21 (21): 283-294, 2000
8 "상상놀이 훈련이 정신지체유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14 (14): 85-106, 1997
9 "몰입의 즐거움" 해냄 1999
10 "매력적인 수업설계" 교육과학사 1999
11 "경도장애아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태도 비교" 1994
12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Harper & Row Publishers 1989
13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NC: Frank Porter Graham Child Development Cente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1995
14 "The reliability of observations young children's engagement: An application of generalizability theory" 18 (18): 34-47, 1994
15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delay on sustained attention in young children" 54 : 1143-1155, 1983
16 "The effects of activity structure and age mixture on child engagement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NC: Frank Porter Graham Child Development Cente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1992
17 "Some conditions affecting manipulative play with object in severely mentally development delay children" 7 : 1-20, 1981
18 "Social skills and self-efficacy for exceptional children" 51 : 253-261, 1984
19 "Play and the mentally retarded child" 19 (19): 121-126, 1981
20 "Parent and teacher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s mastery motivation. Assessment and review of research. In D. J. Messer(Eds.) Mastery motivation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measurement and social processes" Routledge 109-122, 1993
21 "Open environment design for infant and toddler day care" 7 : 529-546, 1974
22 "Multivariate relationships among developmental age, global engagement, and observed child engagement" 14 (14): 515-536, 1999
23 "Influences on children's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12 : 247-262, 1997
24 "Incidental teaching of language in the preschool" 8 : 411-420, 1975
25 Yarrow, L. J, "Exploratory play as an index of mastery motivation: Relationship to persistence, cognitive functioning, and environmental measures" 15 : 386-394, 1979
26 "Evaluating traditional day care practices: An empirical approach" 4 : 208-215, 1975
27 "Effects of classroom social structure and disability on engagement" 15 (15): 123-147, 1995
28 "Dimentions of mastery in same-age and mixed-age integrated classrooms" 8 (8): 193-206, 1993
29 Harter,S,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the manifestation of mastery motivation on problem-solving tasks" 46 : 370-378, 1975
30 "Contextual variation of correspondences among measures of play and developmental level of preschool children" 18 (18): 199-215, 1994
31 "Children's Engagement Questionnaire. Chapel Hill" NC: Frank Porter Graham Child Development Cente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1991
32 "Behavioral engagement as a fundamental variable in treatment quality" 1986
33 "Behavioral ecology in the classroom. In K. D. O'Leary & S. G. O'Leary(Eds.). Classroom management: The successful use of behavior modification" Pergamon 349-367, 1977
34 "An exploration of variables affecting engagement in inclusive preschool classrooms" 21 (21): 160-170, 1998
유아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사립 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들의 갈등 및 안정에 대한 이해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2.72 | 2.72 | 2.8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2.74 | 2.67 | 3.087 | 0.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