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연안은 도시개발, 인구증가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연안재해 취약성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87788
2015
Korean
경향성 분석 ; MK Test ; 분위회귀분석 ; 해수면 상승 ; 기후변화 ; Trend Analysis ; Quanitle Regression ; Sea Level Rise ; Climate Change
KCI등재
학술저널
94-104(11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연안은 도시개발, 인구증가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연안재해 취약성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연...
우리나라의 연안은 도시개발, 인구증가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연안재해 취약성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연안의 20개 지역의 조위자료를 바탕으로 Mann-Kendall(MK) 검정, 선형회귀분석(OR), 분위회귀분석(QRA) 등을 이용하여 해수면상승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MK 검정결과 연평균조위의 경우 18개 지점에서 경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연최대치의 경우에도 10개 지점에서 경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p < 0.05)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QRA 방법을 이용하여 해수면의 경향성을 분위별로 평가한 결과 기존 회귀분석 방법에 비해 다각적인 경향성 검토가 가능하였다. QRA분석 결과 연평균해수면은 매년 1-6 mm의 범위에서 상승하고 있으며, 연최대해수면의 경우 1-20 mm의 범위에서 증가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해수면상승의 경우 대부분 상향수렴 및 상향발산의 형태를 가지는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향후 연구로서 이러한 경향성을 기반으로 연최대해수면 자료에 대한 비정상성빈도해석 절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pulation and urban development along the coast is growing in South Korea, and particularly sea level rise is likely to increase the vulnerability of coastal area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ea level rise through Mann-Kendall(MK) test, ordi...
Population and urban development along the coast is growing in South Korea, and particularly sea level rise is likely to increase the vulnerability of coastal area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ea level rise through Mann-Kendall(MK) test, ordinary linear regression(OR) and quantile regression analysis(QRA) with sea level data at the 20 tide stations along the coast of Korean Peninsula.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long-term trends were analysed using a non-parametric MK test and the test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s for 18 and 10 stations at the 5% significance level in the annual mean value of sea level and the annual maximum value of sea level, respectively. The QRA method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characterizing the degree of trend. QRA showed that an average annual rise in mean sea level is about 1-6 mm/year, and an average rise in maximum sea level is about 1-20 mm. It was found that upward convergent and upward divergent were a representative change given the nine-category distributional changes. We expect that in future work we will address nonstationarities with respect to sea level that were identified above, and develop a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with climate change scenario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수, "해수면 상승이 해양경계와 섬에 미치는 법적 쟁점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8 (28): 1-40, 2013
2 이수연,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손실 분석 -부산시 해운대구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46 (46): 597-607, 2011
3 박영길, "해수면 상승과 해양 관할권 범위의 문제" 부설법학연구소 37 : 49-70, 2012
4 이동욱,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른 제주연안지역 건설시설물의 영향 분석" 대한토목학회 31 (31): 267-274, 2011
5 조광우,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대응방향에 관한 소고"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0 (10): 227-234, 2007
6 Titus, J. G., "State and local governments plan for development of most land vulnerable to rising sea level along the US Atlantic coast" 4 (4): 7-, 2009
7 Kim, G. S., "Review of Statistical Methods for Hydrologic -Meteorological Data Analysis. 2006 Subcommittee Research Task Report" 373-398, 2006
8 Kendall, M., "Rank correlation methods" E.Arnold 260-, 1990
9 소병진, "Quantile 회귀분석을 이용한 극대강수량 자료의 경향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5 (45): 815-826, 2012
10 Hao, L., "Quantile regression" Sage Publications. Inc 2007
1 김민수, "해수면 상승이 해양경계와 섬에 미치는 법적 쟁점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8 (28): 1-40, 2013
2 이수연,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손실 분석 -부산시 해운대구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46 (46): 597-607, 2011
3 박영길, "해수면 상승과 해양 관할권 범위의 문제" 부설법학연구소 37 : 49-70, 2012
4 이동욱,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른 제주연안지역 건설시설물의 영향 분석" 대한토목학회 31 (31): 267-274, 2011
5 조광우,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대응방향에 관한 소고"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0 (10): 227-234, 2007
6 Titus, J. G., "State and local governments plan for development of most land vulnerable to rising sea level along the US Atlantic coast" 4 (4): 7-, 2009
7 Kim, G. S., "Review of Statistical Methods for Hydrologic -Meteorological Data Analysis. 2006 Subcommittee Research Task Report" 373-398, 2006
8 Kendall, M., "Rank correlation methods" E.Arnold 260-, 1990
9 소병진, "Quantile 회귀분석을 이용한 극대강수량 자료의 경향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5 (45): 815-826, 2012
10 Hao, L., "Quantile regression" Sage Publications. Inc 2007
11 Koenker, R., "Quantile regression" Cambridge Univ Pr 2005
12 Mann, H.B., "Nonparametric Tests Against Trend" 13 (13): 245-259, 1945
13 Yu, Y.S.,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f rivers in Kansas" 150 : 61-80, 1993
14 KENDALL, M., "Multivariate analysis" Charles Griffin 1975
15 Fangfang, ZHAO., "Long-Term Trend and Abrupt Change for Major Climate Variables in the Upper Yellow River Basin" 21 : 204-214, 2007
16 Jang, H.B., "Impact of Sea Level Rise and Coastal Area" 6 (6): 407-, 1991
17 Robert J. Nicholls, "Climate change and coastal vulnerability assessment: scenarios for integrated assessment" Springer Nature 3 (3): 89-102, 2008
18 IPCC,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9 Oh, J.S., "A study on Trend Analysis of Time Series Data"
20 Khaled, H.H., "A modified Mann-Kendall trend test for autocorrelated data" 204 : 182-196, 1998
21 Yuk, G. H., "A Study on the Coastal Vulnerability Assessment Model to Sea Level Rise. Economy, Humanities and Social Green Growth Research Comprehensive Research Series, 11-02-65" 2011
22 Hirsch, R.M., "A Nonparametric Trend Test for Seasonal Data With Serial Dependence" 20 (20): 727-732, 1984
Effect of Model Resolution on The Flow Structures Near Mesoscale Eddies
새만금 점착성 퇴적물의 퇴적저면 침식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흐름과 완전중복파와의 공존장하에서 해저지반내 동적응답의 해석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2-2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7 | 0.608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