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독립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독립과 의존의 재개념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78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노인관련 정책에서 핵심적인 주제는 노인독립이다. 본 연구는 독립의 의미가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채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는 어떤 의미의 독립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고, 정책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 독립이 실제 노인들의 관점을 어느 정도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0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독립, 의존, 삶의 질 등에 대한 노인들의 주관적 의미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 일반적으로 주장되고 있는 노인들의 경제적 독립, 공간적 독립, 신체적 자립 등은 노인들에게 외형적인 현상에 불과했다. 노인들은 이러한 독립을 구성하는 보다 내밀한 의미들을 언급하였는데, 그들이 인식하는 독립의 개념은 사생활, 자존감, 자율성, 자유 등의 핵심적 개념들로 구성된 복합적인 의미를 담고 있었다. 의존에 대한 인식 또한 사회적 고정관념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의존은 독립과 마찬가지로 그들 경험이 존중되는 삶의 한 방식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놓고 볼 때, 독립, 참여 등과 같은 개념으로 노인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려는 최근의 정책은 여전히 노인의 관점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함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오늘날 노인관련 정책에서 핵심적인 주제는 노인독립이다. 본 연구는 독립의 의미가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채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는 어떤 의미의 독립에 대해 이야기하...

      오늘날 노인관련 정책에서 핵심적인 주제는 노인독립이다. 본 연구는 독립의 의미가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채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는 어떤 의미의 독립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고, 정책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 독립이 실제 노인들의 관점을 어느 정도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0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독립, 의존, 삶의 질 등에 대한 노인들의 주관적 의미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 일반적으로 주장되고 있는 노인들의 경제적 독립, 공간적 독립, 신체적 자립 등은 노인들에게 외형적인 현상에 불과했다. 노인들은 이러한 독립을 구성하는 보다 내밀한 의미들을 언급하였는데, 그들이 인식하는 독립의 개념은 사생활, 자존감, 자율성, 자유 등의 핵심적 개념들로 구성된 복합적인 의미를 담고 있었다. 의존에 대한 인식 또한 사회적 고정관념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의존은 독립과 마찬가지로 그들 경험이 존중되는 삶의 한 방식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놓고 볼 때, 독립, 참여 등과 같은 개념으로 노인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려는 최근의 정책은 여전히 노인의 관점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함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otion of independence is currently a focal point in public discourses in relation to the elderly. In most countries, the promotion of independence, not the alleviation of dependence, has been addressed as a priority goal in the formulation of social policies for the elderly and the term of independence is used in policy documents as if it were unproblematic. In most cases, policy documents do not offer a clear definition of independence, but generally the term is interpreted as self-sufficiency and health. Accordingly, in order to promote independence of the elderly, concrete strategies such as employment, social activities, participation, direct payments are being introduced in many dvanced countries.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se discourses and strategies, and attempts at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how independence and dependence is constructed in contemporary social policies for the elderly. It is our critical point that we explores the meaning of the independence and depend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nded to construct the meaning of 'independence' as privacy, self-esteem, autonomy and freedom. They also tended to perceive and interpret, from their perspective, the 'dependence' as a natural law and process, affection among human beings, reward and fruit of their lives, social justice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this sense current policies for the elderly have not fully reflected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Therefore, it is argued what is important in policy formulations for the elderly is to make efforts to reflect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on policy-makings for the elderly in terms of independence and dependence.
      번역하기

      The notion of independence is currently a focal point in public discourses in relation to the elderly. In most countries, the promotion of independence, not the alleviation of dependence, has been addressed as a priority goal in the formulation of soc...

      The notion of independence is currently a focal point in public discourses in relation to the elderly. In most countries, the promotion of independence, not the alleviation of dependence, has been addressed as a priority goal in the formulation of social policies for the elderly and the term of independence is used in policy documents as if it were unproblematic. In most cases, policy documents do not offer a clear definition of independence, but generally the term is interpreted as self-sufficiency and health. Accordingly, in order to promote independence of the elderly, concrete strategies such as employment, social activities, participation, direct payments are being introduced in many dvanced countries.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se discourses and strategies, and attempts at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how independence and dependence is constructed in contemporary social policies for the elderly. It is our critical point that we explores the meaning of the independence and depend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nded to construct the meaning of 'independence' as privacy, self-esteem, autonomy and freedom. They also tended to perceive and interpret, from their perspective, the 'dependence' as a natural law and process, affection among human beings, reward and fruit of their lives, social justice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this sense current policies for the elderly have not fully reflected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Therefore, it is argued what is important in policy formulations for the elderly is to make efforts to reflect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on policy-makings for the elderly in terms of independence and depend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문제제기
      • 2. 노인문제의 사회적 재구성 : 의존에 대한 사회적 관점의 변화
      • 3. 노인정책에 구현된 독립의 의미
      • 4. 조사방법
      • 요약
      • 1. 문제제기
      • 2. 노인문제의 사회적 재구성 : 의존에 대한 사회적 관점의 변화
      • 3. 노인정책에 구현된 독립의 의미
      • 4. 조사방법
      • 5. 조사 결과
      • 6. 논의
      • 참고 문헌
      • 영문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복지국가에서 능력개발국가로 : 미국사회복지의 이해" 한울 2001

      2 "마드리드 고령화국제행동계획=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U.N 2002

      3 "노년 불평등과 복지정책" 나눔의집 2000

      4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보건복지종합 대책" 국무조정실ㆍ노인보건복지대책위원회 2002

      5 "What is justification for a qualitative approach to aging studies" 143-156, 1992

      6 "The challenge of ageing in tomorrow's Britain" 20 : 33-54, 2000

      7 "Relationship-based social policy : personal and policy constructions of care" 22 (22): 669-687, 2002

      8 "Reconstructing old age : New agendas in social theory and practice" Sage Publications 1998

      9 "Public policy and the construction of old age in Europe" 40 (40): 304-309, 2000

      10 "Modernizing social services: Promoting independence improving protection and raising standards" HMSO 4169 : 1998

      1 "복지국가에서 능력개발국가로 : 미국사회복지의 이해" 한울 2001

      2 "마드리드 고령화국제행동계획=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U.N 2002

      3 "노년 불평등과 복지정책" 나눔의집 2000

      4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보건복지종합 대책" 국무조정실ㆍ노인보건복지대책위원회 2002

      5 "What is justification for a qualitative approach to aging studies" 143-156, 1992

      6 "The challenge of ageing in tomorrow's Britain" 20 : 33-54, 2000

      7 "Relationship-based social policy : personal and policy constructions of care" 22 (22): 669-687, 2002

      8 "Reconstructing old age : New agendas in social theory and practice" Sage Publications 1998

      9 "Public policy and the construction of old age in Europe" 40 (40): 304-309, 2000

      10 "Modernizing social services: Promoting independence improving protection and raising standards" HMSO 4169 : 1998

      11 "Ethics and economics in community care" 21 (21): 81-101, 2001

      12 "Disabled people in Britain:A case for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for disabled people" Hurst/BCODP 1991

      13 "Dependency and old age" 8 : 172-188, 1988

      14 "Community care and independence : Self-sufficiency or empowerment" 20 (20): 255-276, 2000

      15 "Caring for people" 1989

      16 "Caring about carers : A national strategy for carers" HMSO 1999

      17 "Carers (recognition and services) Act" HMSO 1995

      18 "Aged care : Old policies new probl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9 "A postmodern perspective on feminist gerontology" 36 (36): 674-680, 1996

      20 "A new myth about families of older people?" 611-618,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7 2.08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