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공지능과 언어의 의미 -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meaning of language - focusing on the meaning of language in Wittgenstein’s philosoph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366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인공지능은 인간의 자연언어를 인식하고 사용하기도 한다. 우리는 과연 인공지능의 언어사용을 인간의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을 것인가?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는 것일까? 그리고 우리는 인공지능의 언어사용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비트겐슈타인 철학에 있어 언어의 의미에 비추어 인공지능이 갖는 언어와 의미개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필자들은 본 논문에서 비트겐슈타인 철학을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각 분기 별로 그가 어떻게 자신의 철학에서 언어의 의미를 정립해 나갔는지를 살펴본 후, 인공지능이 발화하는 언어와 그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번역하기

      현대 인공지능은 인간의 자연언어를 인식하고 사용하기도 한다. 우리는 과연 인공지능의 언어사용을 인간의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을 것인가?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는 것일까? 그리고 우리...

      현대 인공지능은 인간의 자연언어를 인식하고 사용하기도 한다. 우리는 과연 인공지능의 언어사용을 인간의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을 것인가?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는 것일까? 그리고 우리는 인공지능의 언어사용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비트겐슈타인 철학에 있어 언어의 의미에 비추어 인공지능이 갖는 언어와 의미개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필자들은 본 논문에서 비트겐슈타인 철학을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각 분기 별로 그가 어떻게 자신의 철학에서 언어의 의미를 정립해 나갔는지를 살펴본 후, 인공지능이 발화하는 언어와 그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ificial intelligence may be said like a human being. What is different thing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intelligence? The people think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s the meaning of the word to see artificial intelligence saying. However, it is differen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is identified as understanding a human being. We apply Wittgenstein’s philosophy to this problem whethe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s a meaning of language. We think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oes not understand a live meaning of human life.
      번역하기

      Artificial intelligence may be said like a human being. What is different thing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intelligence? The people think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s the meaning of the word to see artificial intelligenc...

      Artificial intelligence may be said like a human being. What is different thing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intelligence? The people think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s the meaning of the word to see artificial intelligence saying. However, it is differen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is identified as understanding a human being. We apply Wittgenstein’s philosophy to this problem whethe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s a meaning of language. We think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oes not understand a live meaning of human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종, "자연언어와 인공지능" 철학연구회 34 (34): 1994

      2 김영정, "인지과학과 가족 유사성" 철학연구회 34 (34): 1994

      3 이초식, "인공지능의 철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3

      4 "인공지능#"

      5 이영의, "의식의 어려운 문제와 신경현상학" 인문학연구원 (45) : 7-42, 2013

      6 김학근, "비트겐슈타인의 이해" 서광사 1984

      7 신상형, "비트겐슈타인의 말놀이 해석—오스왈드 한플링의 경우—" 영남철학회 12 : 1996

      8 박정식, "비트겐슈타인의 규칙 따르기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9 공용현, "마음, 지능, 인공지능 – AI의 정의에 관한 철학적 반성" 국인지과학회 1 (1): 1989

      10 윤애선, "기계를 통한 재현의 관점에서 신체언어 다시보기"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62 : 2007

      1 이승종, "자연언어와 인공지능" 철학연구회 34 (34): 1994

      2 김영정, "인지과학과 가족 유사성" 철학연구회 34 (34): 1994

      3 이초식, "인공지능의 철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3

      4 "인공지능#"

      5 이영의, "의식의 어려운 문제와 신경현상학" 인문학연구원 (45) : 7-42, 2013

      6 김학근, "비트겐슈타인의 이해" 서광사 1984

      7 신상형, "비트겐슈타인의 말놀이 해석—오스왈드 한플링의 경우—" 영남철학회 12 : 1996

      8 박정식, "비트겐슈타인의 규칙 따르기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9 공용현, "마음, 지능, 인공지능 – AI의 정의에 관한 철학적 반성" 국인지과학회 1 (1): 1989

      10 윤애선, "기계를 통한 재현의 관점에서 신체언어 다시보기"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62 : 2007

      11 공용현, "계산주의, 연결주의, 단순성" 철학연구회 34 (34): 1994

      12 "https://ko.wikipedia.org/wiki/인공지능#"

      13 L. Wittgenstein,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Routledge & Kegan Paul 1961

      14 H. Bunt, "Standardization in multimodal content representation: Some methodological issues" 2004

      15 L. Wittgenstein,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asil Blackwell 1978

      16 P. H. Winston, "LISP" Addison-Wesley Publishing 1989

      17 D. R. Hofstadter, "Gödel, Escher, Bach: An eternal golden braid" Vintage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98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