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전쟁기 외국인 참전 수기 연구 = A Study on Foreigner``s Korean War Memoi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2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eigner``s war memoirs in Korean war period were transnational case which got out of the bounds of the Nation by itself. When compared with the internal Korean war memoirs based on Nationalism, Foreigner``s war memoirs were sticked to the existential aspect of individual and then based on realistic representation and intense desire to record. The statements like ``strange`` and ``incomprehensible`` war, and confession of ``meaningless`` ``indifference`` ``uselessness`` visualized the confusion on justification of war and individual existential difficulty. Their memoirs were written as resistance to being left as ``forgotten being``. The physical and realistic representation refrained from subjective description and analysis restored the detailed ``daily life`` and ``living``, and then reached the multi-faceted descriptin on the scene of war. Also, their memoirs showed the multiple and detailed representation about the other/the same. This study confirmed the psychological basis of the others involved in Korean peninsula, and then maximized heterogeneous possibilities about discourses in Korean war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re-focused the boundary of ``anti-communism`` and ``nation`` in internal memoirs, through the other``s eyes. That is for restoring the existential zone that was suppressed or omitted in internal memoirs.
      번역하기

      Foreigner``s war memoirs in Korean war period were transnational case which got out of the bounds of the Nation by itself. When compared with the internal Korean war memoirs based on Nationalism, Foreigner``s war memoirs were sticked to the existentia...

      Foreigner``s war memoirs in Korean war period were transnational case which got out of the bounds of the Nation by itself. When compared with the internal Korean war memoirs based on Nationalism, Foreigner``s war memoirs were sticked to the existential aspect of individual and then based on realistic representation and intense desire to record. The statements like ``strange`` and ``incomprehensible`` war, and confession of ``meaningless`` ``indifference`` ``uselessness`` visualized the confusion on justification of war and individual existential difficulty. Their memoirs were written as resistance to being left as ``forgotten being``. The physical and realistic representation refrained from subjective description and analysis restored the detailed ``daily life`` and ``living``, and then reached the multi-faceted descriptin on the scene of war. Also, their memoirs showed the multiple and detailed representation about the other/the same. This study confirmed the psychological basis of the others involved in Korean peninsula, and then maximized heterogeneous possibilities about discourses in Korean war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re-focused the boundary of ``anti-communism`` and ``nation`` in internal memoirs, through the other``s eyes. That is for restoring the existential zone that was suppressed or omitted in internal memoi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기형, "해방직후 수기문학에 대한 한 양상" 깊은샘 2002

      2 세르주 브롱베르제, "한국전쟁통신" 눈빛출판사 2012

      3 서은주, "한국전쟁의 기억과 글쓰기 - 거제도 포로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2) : 43-75, 2011

      4 서동수, "한국전쟁기 반공텍스트와 고백의 정치학" 한국현대문학회 (20) : 79-112, 2006

      5 김영희, "한국전쟁기 미디어와 사회"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6 한명환, "한국전쟁기 대구경북지역 신문 연재 수기의반공이데올로기 형성과정에 나타난 탈식민적 양상"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 : 245-273, 2011

      7 이행선, "한국전쟁, 전쟁수기와 전시의 정치" 상허학회 46 : 117-157, 2016

      8 러셀 브라인즈, "한국전선 : 미군기자의 종군 수기" 수도문화사 1951

      9 안소니 파라 호커리, "한국인만 몰랐던 파란 아리랑" 한국언론인협회 2003

      10 전혜자, "한국의 전후문학" 태학사 1991

      1 한기형, "해방직후 수기문학에 대한 한 양상" 깊은샘 2002

      2 세르주 브롱베르제, "한국전쟁통신" 눈빛출판사 2012

      3 서은주, "한국전쟁의 기억과 글쓰기 - 거제도 포로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2) : 43-75, 2011

      4 서동수, "한국전쟁기 반공텍스트와 고백의 정치학" 한국현대문학회 (20) : 79-112, 2006

      5 김영희, "한국전쟁기 미디어와 사회"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6 한명환, "한국전쟁기 대구경북지역 신문 연재 수기의반공이데올로기 형성과정에 나타난 탈식민적 양상"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 : 245-273, 2011

      7 이행선, "한국전쟁, 전쟁수기와 전시의 정치" 상허학회 46 : 117-157, 2016

      8 러셀 브라인즈, "한국전선 : 미군기자의 종군 수기" 수도문화사 1951

      9 안소니 파라 호커리, "한국인만 몰랐던 파란 아리랑" 한국언론인협회 2003

      10 전혜자, "한국의 전후문학" 태학사 1991

      11 황호덕, "트랜스내셔널리즘과 전쟁. 백치와 돼지의 기억 말 정치 : 전후라는 지금. 사카구치안고(坂口安吳)를 읽는다" (겨울) : 2008

      12 윤해동,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Transnational History)의 가능성 - 한국근대사를 중심으로 -" 역사학회 (200) : 33-65, 2008

      13 유임하, "정체성의 우화 반공 증언수기집과 냉전의 기억들" 겨레어문학회 (39) : 275-307, 2007

      14 표인주, "전쟁과 사람들 : 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 연구" 한울 2003

      15 안서현, "작가들의 전쟁 체험 수기 연구–동일 소재 소설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8) : 59-97, 2013

      16 마가레트 히긴스, "자유를 위한 희생" KORUS 2009

      17 유임하, "이데올로기의 억압과 공포 -반공 텍스트의 기원과 유통, 1950년대 소설의 왜곡" 한국현대소설학회 (25) : 55-76, 2005

      18 국가보훈처, "유엔군 6. 25 전쟁 참전 약사" 국가보훈처 2010

      19 서동수, "숭고의 수사학과 환멸의 기억- 한국전쟁기 문학담론과 집단기억의 재구성 -" 우리말글학회 38 : 275-302, 2006

      20 모리스 싼틀우, "북한포로수용소 : 모리스 싼틀우 수기" 동아문화사 1953

      21 앤드루 새먼, "마지막 한발" 시대정신 2009

      22 김옥선, "<전선문학>에 나타난 감정 정치" 인문과학연구소 25 : 103-129, 2011

      23 신형기, "6․25와 이야기 경험 ― 전쟁 수기들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31 : 211-25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9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