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기형, "해방직후 수기문학에 대한 한 양상" 깊은샘 2002
2 세르주 브롱베르제, "한국전쟁통신" 눈빛출판사 2012
3 서은주, "한국전쟁의 기억과 글쓰기 - 거제도 포로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2) : 43-75, 2011
4 서동수, "한국전쟁기 반공텍스트와 고백의 정치학" 한국현대문학회 (20) : 79-112, 2006
5 김영희, "한국전쟁기 미디어와 사회"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6 한명환, "한국전쟁기 대구경북지역 신문 연재 수기의반공이데올로기 형성과정에 나타난 탈식민적 양상"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 : 245-273, 2011
7 이행선, "한국전쟁, 전쟁수기와 전시의 정치" 상허학회 46 : 117-157, 2016
8 러셀 브라인즈, "한국전선 : 미군기자의 종군 수기" 수도문화사 1951
9 안소니 파라 호커리, "한국인만 몰랐던 파란 아리랑" 한국언론인협회 2003
10 전혜자, "한국의 전후문학" 태학사 1991
1 한기형, "해방직후 수기문학에 대한 한 양상" 깊은샘 2002
2 세르주 브롱베르제, "한국전쟁통신" 눈빛출판사 2012
3 서은주, "한국전쟁의 기억과 글쓰기 - 거제도 포로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2) : 43-75, 2011
4 서동수, "한국전쟁기 반공텍스트와 고백의 정치학" 한국현대문학회 (20) : 79-112, 2006
5 김영희, "한국전쟁기 미디어와 사회"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6 한명환, "한국전쟁기 대구경북지역 신문 연재 수기의반공이데올로기 형성과정에 나타난 탈식민적 양상"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 : 245-273, 2011
7 이행선, "한국전쟁, 전쟁수기와 전시의 정치" 상허학회 46 : 117-157, 2016
8 러셀 브라인즈, "한국전선 : 미군기자의 종군 수기" 수도문화사 1951
9 안소니 파라 호커리, "한국인만 몰랐던 파란 아리랑" 한국언론인협회 2003
10 전혜자, "한국의 전후문학" 태학사 1991
11 황호덕, "트랜스내셔널리즘과 전쟁. 백치와 돼지의 기억 말 정치 : 전후라는 지금. 사카구치안고(坂口安吳)를 읽는다" (겨울) : 2008
12 윤해동,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Transnational History)의 가능성 - 한국근대사를 중심으로 -" 역사학회 (200) : 33-65, 2008
13 유임하, "정체성의 우화 반공 증언수기집과 냉전의 기억들" 겨레어문학회 (39) : 275-307, 2007
14 표인주, "전쟁과 사람들 : 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 연구" 한울 2003
15 안서현, "작가들의 전쟁 체험 수기 연구–동일 소재 소설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8) : 59-97, 2013
16 마가레트 히긴스, "자유를 위한 희생" KORUS 2009
17 유임하, "이데올로기의 억압과 공포 -반공 텍스트의 기원과 유통, 1950년대 소설의 왜곡" 한국현대소설학회 (25) : 55-76, 2005
18 국가보훈처, "유엔군 6. 25 전쟁 참전 약사" 국가보훈처 2010
19 서동수, "숭고의 수사학과 환멸의 기억- 한국전쟁기 문학담론과 집단기억의 재구성 -" 우리말글학회 38 : 275-302, 2006
20 모리스 싼틀우, "북한포로수용소 : 모리스 싼틀우 수기" 동아문화사 1953
21 앤드루 새먼, "마지막 한발" 시대정신 2009
22 김옥선, "<전선문학>에 나타난 감정 정치" 인문과학연구소 25 : 103-129, 2011
23 신형기, "6․25와 이야기 경험 ― 전쟁 수기들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31 : 211-252,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