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Asset-Backed Securitization Regulatory Responses Thereto in the EU and the United States = 미국과 EU의 세계금융위기와 자산유동화증권에 관한 규제 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333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Georgette Chapman Phillips는 Cornell International Law Journal의 2009년 기사에서 부채시장이 기능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법률상의 보호, 견고한 경제적 기반 그리고 낮은 정치적 리스크와 같은 요소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역설한 바 있다. Phillips는 권리를 충분히 보호하는 담보법과 같은 법률적인 보호가 필요하며, 안정적인 인플레이션 및 부동산 시장이 존재하여 경제가 안정화되어 있어야 하고, 정부는 사적 재산이나 계약상의 권리에 대하여 존중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법률적, 경제적, 정치적 기초의 중요성은 저자에게 안정적이고 유용한 증권시장을 재건하기 위하여 고심하는 선진국의 최근의 규제 동향을 분석하는 기초가 되었다.
      미국과 EU는 최근의 경제적 위기에 잇따른 금융시장의 제규제의 선봉에 서 있다. 이들은 2007년 이래, 세계의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기로, ABS에 대한 규제를 새롭게 도안한 바 있다. 이러한 규제는 포괄적인 그러나 상당히 아귀가 맞지 않는, 금융시장에 대한 국내외적 제규제의 일부라 할 수 있다. 이들 나라의 규제는 부채시장의 기능과 관련하여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하더라도, 시장 참여자들이 의존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시장과 관련된 정치적 리스크를 증폭시키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규제의 노력들이 리스크 보유 규제와 공시규제라는 증권화의 주된 영역에서 혼란스럽고 부적절하다는 점이 이미 명백하다. 이 두 영역에서 미국과 EU는 유사한 목표를 지향하지만, 국내적으로나 국제적으로 제대로 조화되지 못한 규제의 길을 걷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는 규제기관이 규제 대상이나 현안들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다소간의 충격 속에서 혹은 기회주의의 발상에서 규제절차를 밟았다는데 일부분 기인한다.
      규제기관과 시장참여자가 ABS 시장을 재부흥하기 위해 노력하거나 그러한 시장을 처음으로 출범시키고자 한다면, 규제 대상과 시장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무릇, 신중한 인수와 철처한 실사를 보완할 규제란 있을 수 없을 것이다. 규제를 아무리 늘린다하더라도 투자자들이 그러한 합리적 행동을 하도록 강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Georgette Chapman Phillips는 Cornell International Law Journal의 2009년 기사에서 부채시장이 기능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법률상의 보호, 견고한 경제적 기반 그리고 낮은 정치적 리스크와 같은 요소가 뒷받...

      Georgette Chapman Phillips는 Cornell International Law Journal의 2009년 기사에서 부채시장이 기능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법률상의 보호, 견고한 경제적 기반 그리고 낮은 정치적 리스크와 같은 요소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역설한 바 있다. Phillips는 권리를 충분히 보호하는 담보법과 같은 법률적인 보호가 필요하며, 안정적인 인플레이션 및 부동산 시장이 존재하여 경제가 안정화되어 있어야 하고, 정부는 사적 재산이나 계약상의 권리에 대하여 존중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법률적, 경제적, 정치적 기초의 중요성은 저자에게 안정적이고 유용한 증권시장을 재건하기 위하여 고심하는 선진국의 최근의 규제 동향을 분석하는 기초가 되었다.
      미국과 EU는 최근의 경제적 위기에 잇따른 금융시장의 제규제의 선봉에 서 있다. 이들은 2007년 이래, 세계의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기로, ABS에 대한 규제를 새롭게 도안한 바 있다. 이러한 규제는 포괄적인 그러나 상당히 아귀가 맞지 않는, 금융시장에 대한 국내외적 제규제의 일부라 할 수 있다. 이들 나라의 규제는 부채시장의 기능과 관련하여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하더라도, 시장 참여자들이 의존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시장과 관련된 정치적 리스크를 증폭시키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규제의 노력들이 리스크 보유 규제와 공시규제라는 증권화의 주된 영역에서 혼란스럽고 부적절하다는 점이 이미 명백하다. 이 두 영역에서 미국과 EU는 유사한 목표를 지향하지만, 국내적으로나 국제적으로 제대로 조화되지 못한 규제의 길을 걷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는 규제기관이 규제 대상이나 현안들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다소간의 충격 속에서 혹은 기회주의의 발상에서 규제절차를 밟았다는데 일부분 기인한다.
      규제기관과 시장참여자가 ABS 시장을 재부흥하기 위해 노력하거나 그러한 시장을 처음으로 출범시키고자 한다면, 규제 대상과 시장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무릇, 신중한 인수와 철처한 실사를 보완할 규제란 있을 수 없을 것이다. 규제를 아무리 늘린다하더라도 투자자들이 그러한 합리적 행동을 하도록 강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her 2009 article in the Cornell International Law Journal, Georgette Chapman Phillips posits that in order for a debt market in any country to function, one must find the following factors underpinning such market: (ⅰ) adequate legal protections, (ⅱ) strong economic foundations and (ⅲ) a low degree of political risk. Phillips discusses general legal protections, such as strong foreclosure laws, the need for stable inflation and real estate values as underpinnings of economic stability and the need for government to respect private property and contract rights. Her three-pronged focus on legal, economic and political fundamentals serves as the basis for analyzing recent and ongoing regulatory efforts in developed countries that are struggling with the important work of re-establishing stable and useful securitization markets.
      Presently,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EU”) are at the forefront of financial market re regulation in the wake of the most recent banking,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Since 2007, they, like those regulators in various other jurisdictions around the world, have instituted new regulations on asset-backed securities (“ABS”). Such regulations have been part of a comprehensive, yet fairly disjointed, re-regul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including previously lightly regulated areas. While their asset backed securitization (“securitization”) regulations have had some positive impact on the functionality of the debt markets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beyond, they (1) have thus far failed to provide a coherent legal framework for market participants to rely upon and have (2) increased the political risk associated with involvement in the debt markets.
      The disjointed and improperly targeted nature of regulatory efforts thus far are evident in the primary areas of securitization regulation thus far, the so called “skin in the game” regulations and transparency regulations. In both areas, the United States and the EU have started with similar objectives but are in the process of instituting regulatory regimes that fail to be properly coordinated within their own jurisdictions and across jurisdictions as well. Part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at regulators, in a bit of panic or maybe opportunism, started the regulatory process before they could fully understand what they were regulating or the true problems they were trying to deal with.
      As regulators and market participants around the world endeavor to restart ABS markets or even launch them for the first time, they need to do a better job of understanding the institutions and markets they are seeking to regulate. Additionally, they need to acknowledge that no regulations can make up for prudent underwriting and thorough due diligence. No amount of regulation can force such activities to take place.
      번역하기

      In her 2009 article in the Cornell International Law Journal, Georgette Chapman Phillips posits that in order for a debt market in any country to function, one must find the following factors underpinning such market: (ⅰ) adequate legal protections,...

      In her 2009 article in the Cornell International Law Journal, Georgette Chapman Phillips posits that in order for a debt market in any country to function, one must find the following factors underpinning such market: (ⅰ) adequate legal protections, (ⅱ) strong economic foundations and (ⅲ) a low degree of political risk. Phillips discusses general legal protections, such as strong foreclosure laws, the need for stable inflation and real estate values as underpinnings of economic stability and the need for government to respect private property and contract rights. Her three-pronged focus on legal, economic and political fundamentals serves as the basis for analyzing recent and ongoing regulatory efforts in developed countries that are struggling with the important work of re-establishing stable and useful securitization markets.
      Presently,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EU”) are at the forefront of financial market re regulation in the wake of the most recent banking,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Since 2007, they, like those regulators in various other jurisdictions around the world, have instituted new regulations on asset-backed securities (“ABS”). Such regulations have been part of a comprehensive, yet fairly disjointed, re-regul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including previously lightly regulated areas. While their asset backed securitization (“securitization”) regulations have had some positive impact on the functionality of the debt markets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beyond, they (1) have thus far failed to provide a coherent legal framework for market participants to rely upon and have (2) increased the political risk associated with involvement in the debt markets.
      The disjointed and improperly targeted nature of regulatory efforts thus far are evident in the primary areas of securitization regulation thus far, the so called “skin in the game” regulations and transparency regulations. In both areas, the United States and the EU have started with similar objectives but are in the process of instituting regulatory regimes that fail to be properly coordinated within their own jurisdictions and across jurisdictions as well. Part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at regulators, in a bit of panic or maybe opportunism, started the regulatory process before they could fully understand what they were regulating or the true problems they were trying to deal with.
      As regulators and market participants around the world endeavor to restart ABS markets or even launch them for the first time, they need to do a better job of understanding the institutions and markets they are seeking to regulate. Additionally, they need to acknowledge that no regulations can make up for prudent underwriting and thorough due diligence. No amount of regulation can force such activities to take pl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Introduction.
      • Ⅱ. Use and Misuse of Securitization: Growth, Implosion and Systemic Crisis.
      • Ⅲ. Regulatory Respons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
      • Ⅳ. Conclusion.
      • 〈국문초록〉
      • Ⅰ. Introduction.
      • Ⅱ. Use and Misuse of Securitization: Growth, Implosion and Systemic Crisis.
      • Ⅲ. Regulatory Respons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
      • Ⅳ. Conclusion.
      • WORKS CITED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