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교원양성대학의 언택트(Un-tact) 수업환경에 관한 신입생 인식 조사 = A Research on Perception of Freshmen College Students about the Online Classes in Teac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outh-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4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인한 언택트 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대학 수업환경의 급격한 변화 요구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수업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업방식 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인한 언택트 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대학 수업환경의 급격한 변화 요구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수업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업방식 제시에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예비교원을 양성하는 교원양성대학 역시 이러한 시대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전통적인 수업 방식과 함께 언택트 방식의 수업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불가피한 수업 상황 변화에 따라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 환경 차이로 유발되는 교수자 및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별도의 정서가 유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서 변화는 교육만족도 및 교육의 질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교원양성대학의 예비교사들 중 대학 입학 후 대학 문화를 직접 접해 보지 못한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한 대학의 온라인 수업 환경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S-사범대학 신입생과 C-교육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수업 실태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수업진행 전반에 대한 학습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자와의 소통이나 학습자간의 소통 부재에 대한 요구, 대학 체계에 대한 사전 교육의 필요, 그리고 시설환경 등 콘텐츠에 접근하는 학습자별 환경 차이는 지속적인 고민과 지원이 필요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strong social need of change in university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the current COVID-19, teaching has to be occurred in a form of minimal contact in person. Teacher educational institutions desperately seek for substitutional s...

      According to the strong social need of change in university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the current COVID-19, teaching has to be occurred in a form of minimal contact in person. Teacher educational institutions desperately seek for substitutional suggestions for a place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simultaneously should examine its efficiency. This inevitable change, led by COVID-19, in traditional way of teaching, based on human contact, causes various different emotions in people, involved in educational process, which occurs in off-line/on-line. Emotions, caused by different teaching environment in off-line/on-line, affects satisfaction in educational efficiency and also in quality of teaching. This research is for the first year college students, who has not been experienced the college culture yet, an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 on on-line teaching environment. Research result is based on survey, which is for S-university, and C-university students of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in class process in general is positive, however a few points-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with class peers, and efficient orientation on college system, and improvement on technical support and equipment-are need of attention to get better in quality of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쌍철,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2 박중열, "코로나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고찰" 60 (60): 32-36, 2020

      3 김상미, "코로나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기사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1 (21): 1091-1100, 2020

      4 양정훈, "정보화사회의 사이버교육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10 (10): 149-189, 2002

      5 한국교육개발원, "온라인수업 신청 현황"

      6 심선경,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도구와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56-467, 2013

      7 박하나, "사회과 블렌디드 PBL 수업모형 설계와 개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경제 수업의 구상-"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197-227, 2020

      8 이인숙, "대학의 웹기반 수업을 위한 총체적 운영 전략 규명 연구"

      9 기영화,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과 블랜디드 러닝 수업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연구: S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 (1): 63-80, 2005

      10 전영미, "대학 이러닝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8 (18): 131-141, 2017

      1 이쌍철,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2 박중열, "코로나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고찰" 60 (60): 32-36, 2020

      3 김상미, "코로나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기사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1 (21): 1091-1100, 2020

      4 양정훈, "정보화사회의 사이버교육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10 (10): 149-189, 2002

      5 한국교육개발원, "온라인수업 신청 현황"

      6 심선경,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도구와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56-467, 2013

      7 박하나, "사회과 블렌디드 PBL 수업모형 설계와 개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경제 수업의 구상-"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197-227, 2020

      8 이인숙, "대학의 웹기반 수업을 위한 총체적 운영 전략 규명 연구"

      9 기영화,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과 블랜디드 러닝 수업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연구: S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 (1): 63-80, 2005

      10 전영미, "대학 이러닝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8 (18): 131-141, 2017

      11 채민정, "대학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523-548, 2017

      12 서민원, "대학 수업만족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교육학회 46 (46): 57-79, 2008

      13 김동심, "고등교육에서의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4 (34): 901-927, 2018

      14 "http://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981"

      15 남정권, "WAI 환경과 자기조절학습: 웹기반 자기조절학습 지원 전략" 한국학술정보(주) 2006

      16 Corno, L.,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nd motivation" 18 : 88-100, 1983

      17 Pintrich, P. R., "The dynamic interplay of student motivation and cognition in the college classroom" 6 : 117-160, 1989

      18 Zimmerman, B. J.,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Springer-Verlag 1989

      19 Zimmerman, B. J.,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23 (23): 614-628, 1986

      20 Spreng, R. A., "An empirical examination of a model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72 (72): 201-214, 1996

      21 Zimmerman, B. J., "A social-cognitivi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81 : 329-339, 1989

      22 한국교육개발원, "2018년도 온라인수업 사업 1차 시·도교육청 담당자 협의회자료집"

      23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7년 e-러닝 산업 실태조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9-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연구소 ->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