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남북한 경제통합의 단계를 통합 이전과 인구의 이동을 허용하는 통합 이후의 단계로 나누어 경제정책의 우선순위를 살펴본다. 독일통합의 과정에서 나타난 경제적 측면에서의 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93217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6(3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북한 경제통합의 단계를 통합 이전과 인구의 이동을 허용하는 통합 이후의 단계로 나누어 경제정책의 우선순위를 살펴본다. 독일통합의 과정에서 나타난 경제적 측면에서의 부...
본 연구는 남북한 경제통합의 단계를 통합 이전과 인구의 이동을 허용하는 통합 이후의 단계로 나누어 경제정책의 우선순위를 살펴본다. 독일통합의 과정에서 나타난 경제적 측면에서의 부작용을 검토하며, 남북한 통합의 기존연구를 생산요소(노동)에 대한 분리와 통합 상황을 서로 비교한 후 거시적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논의를 발전시킨다. 이어서 모형 시뮬레이션을 통해 통합 전후 남한과 북한지역에서 예상되는 거시경제의 변동성을 살펴보고, 북한 지역의 사회간접자본투자를 위한 지원과 인도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소득지원의 정책이 주요 가격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feasible economic policies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First, we review German unification and develop our discussions for economic policies to minimize macroeconomic shocks from Korea unification. Second, we build up a...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feasible economic policies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First, we review German unification and develop our discussions for economic policies to minimize macroeconomic shocks from Korea unification. Second, we build up a general equilibrium model of unification and look at macroeconomic fluctuations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Finally, we examine the model quantitatively to assess macroeconomic impacts of government transfers for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incom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석진, "통일한국의 경제정책: 경제통합 시나리오와 성장 전망" 2017
2 이종규, "통일한국의 경제정책: 거시경제 및 재정" 2017
3 최준욱, "통일재원 조달 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1
4 전상진, "통일에 대비한 한국의 통일비용 재원조달방안에 관한 논의" 한독사회과학회 17 (17): 9-44, 2007
5 이종원, "통일실현시 경제안정화를 위한 주요 정책과제: 대량 기업도산 및 실업 그리고 인구이동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3-17, 2003
6 신창민, "통일비용과 통일편익" 국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 2007
7 김석진, "통일 이후 사회보장제도 분리운영 방안: 경제적 및 법적 분석" 통일연구원 2015
8 김석진, "통일 이후 북한 산업개발전략 연구" 산업연구원 2011
9 안예홍, "통일 이후 남북한 경제통합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291) : 2007
10 문외솔, "동태적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통일의 경제효과 분석" 한국비교경제학회 22 (22): 67-104, 2015
1 김석진, "통일한국의 경제정책: 경제통합 시나리오와 성장 전망" 2017
2 이종규, "통일한국의 경제정책: 거시경제 및 재정" 2017
3 최준욱, "통일재원 조달 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1
4 전상진, "통일에 대비한 한국의 통일비용 재원조달방안에 관한 논의" 한독사회과학회 17 (17): 9-44, 2007
5 이종원, "통일실현시 경제안정화를 위한 주요 정책과제: 대량 기업도산 및 실업 그리고 인구이동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3-17, 2003
6 신창민, "통일비용과 통일편익" 국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 2007
7 김석진, "통일 이후 사회보장제도 분리운영 방안: 경제적 및 법적 분석" 통일연구원 2015
8 김석진, "통일 이후 북한 산업개발전략 연구" 산업연구원 2011
9 안예홍, "통일 이후 남북한 경제통합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291) : 2007
10 문외솔, "동태적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통일의 경제효과 분석" 한국비교경제학회 22 (22): 67-104, 2015
11 고일동, "독일통일의 경제적 평가와 한반도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1995
12 통일부, "독일통일백서 2004" 2005
13 김석진, "독일통일 20년의 경제적 교훈과 시사점" KIET 53-68, 2010
14 김영윤, "독일, 통일에서 통합으로" 통일부 2009
15 김창권, "독일 통일 비용 15년 평가와 시사점" (겨울) : 66-83, 2005
16 우베 뮐러, "대재앙 통일: 독일통일로부터의 교훈" 문학세계사 2006
17 고일동, "남북한 경제통합의 새로운 접근방법: 독일식 통일의 문제점과 극복방안" 한국개발연구원 1997
18 전홍택, "남북한 경제통합 연구: 북한경제의 한시적 분리 운영방안" 한국개발연구원 2012
19 이석, "남북한 경제통합 연구: 북한경제의 개혁 및 이행전략" 한국개발연구원 2012
20 최기춘, "경제통합 이론과 남북한 경제통합의 성격"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9 (9): 199-229, 2005
21 Acemoglu, Daron, "The World Income Distribution" 117 (117): 659-694, 2002
22 Moon, Weh-Sol, "Macroeconomic Impacts of Korea Reunification: A Neoclassical Life-Cycle Model with Two Regions" 2017
23 Tauchen, George, "Finite State Markov-Chain Approximations to Univariate and Vector Autoregressions" 20 (20): 177-181, 1986
24 von Hagen, Jürgen, "East Germany:Transition with Unification" ZEI 2002
25 Busch Ulrich, "Despite or Because? - Some Lessons of German Unification for EU Enlargement" Swiss Institute for Business Cycle 2004
26 Institut für Wirtschaftsforschung Halle, "20 Jahre Deutsche Einheit - Teil 1" 15 (15): 2009
DMZ의 UNESCO 세계유산 등재 가능성 및 기대효과
신고립주의와 아시아공동체에 관한 일고찰 - 북핵 위기 해법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57 | 1.12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