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서 책 읽는 여성 주체의 등장 = The Advent of Reading Woman Subjectivity in Shinjak-Gusose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44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 등장하는 책 읽는 여성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주요 연구 내용은 두 가지이다 첫째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 등장하는 책 읽는 여성 형상은 전대의 고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어떻게 다른가 둘째 소설사에서 새롭게 등장한 책 읽는 여성주체가 서사에 안착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인가 고소설에서 책 읽는 여성은 다양한 양식의 작품들에서 발견된다 이들의 형상화에는 남성 중심의 여성 이해가 관철되고 있다 책 읽는 여성은 남성이 원하는 여성상에 근접해 가는 존재이거나 이미 이를 타고난 여성으로 비쳐진다 독서를 자기 계발의 과정이라 할 때 자신과 세상에 대한 이해와 성찰 없이 피동적인 훈육의 과정으로만 여성의 독서가 제시된다는 점에서 고소설에 형상화된 책 읽는 여성은 말 그대로 책 읽는 여성일 뿐 여성 주체라고 하기 어렵다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서 책 읽는 여성은 귀족적 영웅소설의 여주인공의 형상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여성 이해와 자각을 보인다 가령 난봉기합 에서 이채봉의 독서는 여성에게 부여된 삶을 배우고 내면화하는 과정이 아니라 스스로의 욕망에 따라 자신의 인생을 탐색하고 개척하는 행위로 이해된다 이는 책 읽는 여성이 여성의 자각과 계몽 의지를 독자에게 격려하는 사례로 쓰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약산동대 ・미인도 등에서도 책 읽는 여성은 반동인물에 맞서 스스로의 인생을 개척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애정류 신작 구소설은 책 읽는 여성 주체를 제시하는 것이다 책 읽는 여성 주체가 신작 구소설에서 새롭게 등장한 인물 형상이라는 점에서 그 이질성을 무마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탐색될 필요가 있다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서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책 읽는 여성 주체는 서사에 안착하고 있다 첫째는 향학열을 매력적인 인물의 자질로 제시한다는 점이다 향학열은 주인공이 박대받거나 성공하게 되는 사유로 제시된다는 점에서 귀족적 영웅소설의 천수 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둘째는 학문숭상의 가치관이 작품 전편에서 나타난다는 점이다 귀족적 영웅소설에서 영웅의 무공과 승리가 공동체의 환호를 받았다면 신작 구소설에서는 학문 숭상이 그 자리를 대신하는 것이다 셋째는 서책이 사건 전개에 유기적으로 관여한다는 점이다 서책이 단순한 배경물이 아니라 기능물로 다루어지면서 책 읽는 여성도 자연스러운 존재로 부각되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 등장하는 책 읽는 여성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주요 연구 내용은 두 가지이다 첫째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 등장하는 책 읽는 여성 형상은 전대의 ...

      이 논문은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 등장하는 책 읽는 여성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주요 연구 내용은 두 가지이다 첫째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 등장하는 책 읽는 여성 형상은 전대의 고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어떻게 다른가 둘째 소설사에서 새롭게 등장한 책 읽는 여성주체가 서사에 안착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인가 고소설에서 책 읽는 여성은 다양한 양식의 작품들에서 발견된다 이들의 형상화에는 남성 중심의 여성 이해가 관철되고 있다 책 읽는 여성은 남성이 원하는 여성상에 근접해 가는 존재이거나 이미 이를 타고난 여성으로 비쳐진다 독서를 자기 계발의 과정이라 할 때 자신과 세상에 대한 이해와 성찰 없이 피동적인 훈육의 과정으로만 여성의 독서가 제시된다는 점에서 고소설에 형상화된 책 읽는 여성은 말 그대로 책 읽는 여성일 뿐 여성 주체라고 하기 어렵다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서 책 읽는 여성은 귀족적 영웅소설의 여주인공의 형상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여성 이해와 자각을 보인다 가령 난봉기합 에서 이채봉의 독서는 여성에게 부여된 삶을 배우고 내면화하는 과정이 아니라 스스로의 욕망에 따라 자신의 인생을 탐색하고 개척하는 행위로 이해된다 이는 책 읽는 여성이 여성의 자각과 계몽 의지를 독자에게 격려하는 사례로 쓰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약산동대 ・미인도 등에서도 책 읽는 여성은 반동인물에 맞서 스스로의 인생을 개척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애정류 신작 구소설은 책 읽는 여성 주체를 제시하는 것이다 책 읽는 여성 주체가 신작 구소설에서 새롭게 등장한 인물 형상이라는 점에서 그 이질성을 무마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탐색될 필요가 있다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서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책 읽는 여성 주체는 서사에 안착하고 있다 첫째는 향학열을 매력적인 인물의 자질로 제시한다는 점이다 향학열은 주인공이 박대받거나 성공하게 되는 사유로 제시된다는 점에서 귀족적 영웅소설의 천수 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둘째는 학문숭상의 가치관이 작품 전편에서 나타난다는 점이다 귀족적 영웅소설에서 영웅의 무공과 승리가 공동체의 환호를 받았다면 신작 구소설에서는 학문 숭상이 그 자리를 대신하는 것이다 셋째는 서책이 사건 전개에 유기적으로 관여한다는 점이다 서책이 단순한 배경물이 아니라 기능물로 다루어지면서 책 읽는 여성도 자연스러운 존재로 부각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책 읽는 여성 주체의 등장
      • 2.1. 고소설의 책 읽는 여성
      • 2.2. 애정류 신작 구소설의 책 읽는 여성
      • 3. 책 읽는 여성 주체의 서사적 안착
      • 1. 서론
      • 2. 책 읽는 여성 주체의 등장
      • 2.1. 고소설의 책 읽는 여성
      • 2.2. 애정류 신작 구소설의 책 읽는 여성
      • 3. 책 읽는 여성 주체의 서사적 안착
      • 3.1. 인물 자질로서의 향학열
      • 3.2. 학문 숭상의 가치관
      • 3.3. 서책과 사건 전개의 유기성
      • 4.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說」 賀敎育月報刊行"

      2 "「論說」 柴商談話"

      3 "「寄書」 瑞士建國誌譯述序"

      4 권순긍, "활자본고소설의 편폭과 지향" 보고사 107-160, 2000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 지식산업사 1-470, 2007

      6 김종철, "한국고전문학과 서사문학 상" 집문당 431-453, 1998

      7 "청년회심곡" 신구서림 1914

      8 "채봉감별곡" 신구서림 1913

      9 "이화몽" 신구서림 1914

      10 서혜은, "이해조의 <소양정>과 고전소설의 교섭 양상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30) : 41-74, 2010

      1 "「論說」 賀敎育月報刊行"

      2 "「論說」 柴商談話"

      3 "「寄書」 瑞士建國誌譯述序"

      4 권순긍, "활자본고소설의 편폭과 지향" 보고사 107-160, 2000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 지식산업사 1-470, 2007

      6 김종철, "한국고전문학과 서사문학 상" 집문당 431-453, 1998

      7 "청년회심곡" 신구서림 1914

      8 "채봉감별곡" 신구서림 1913

      9 "이화몽" 신구서림 1914

      10 서혜은, "이해조의 <소양정>과 고전소설의 교섭 양상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30) : 41-74, 2010

      11 성현경, "이고본 춘향전 연구" 판소리학회 3 : 7-61, 1992

      12 송명진, "역사·전기소설의 국민 여성, 그 상상된 국민의 실체 - 『애국부인전』과 『라란부인전』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4 (14): 249-270, 2010

      13 "약산동대" 광동서국 1913

      14 이정원, "신작 구소설의 근대성 -<채봉감별곡>ㆍ<청년회심곡>ㆍ<부용상사곡>을 대상으로-" 한국고소설학회 (27) : 231-264, 2009

      15 이은숙, "신작 구소설연구" 국학자료원 1-459, 2000

      16 이정원, "신작 구소설 <난봉기합(鸞鳳奇合)> 연구- 귀족적 영웅소설 양식의 계승과 변용의 관점에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195-223, 2014

      17 조동일,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서울대학교출판부 1-156, 1973

      18 정선희, "소현성록 1" 소명출판 39-40, 2010

      19 "소양정" 신구서림 1912

      20 이해조, "소설예고"

      21 "부용의 상사곡" 신구서림 1913

      22 "미인도" 회동서관 1913

      23 김시습, "매월당 김시습 금오신화" 홍익출판사 59-97, 2000

      24 "라란부인젼"

      25 "논설"

      26 "난봉기합" 동양서원 1913

      27 김옥란, "근대 여성 주체로서의 여학생과 독서체험" 상허학회 13 : 245-276, 2004

      28 이정원, "군담소설 양식의 계승으로 본 신작구소설 <방화수류정>" 한국고소설학회 (31) : 299-325, 2011

      29 "論說"

      30 "談叢"

      31 "女子及勞働社會의 知識普及 할 道"

      32 이덕무, "『청장관전서』 권30, 「사소설」 하 婦儀 2, 事物"

      33 이정원, "<소양정>에서 새로운 여주인공의 등장과 군담소설 양식의 해체"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259-290, 2012

      34 "<목단화> 광고"

      35 이은영, "1910년대 김교제 소설의 근대적 성격 -<목단화>, <현미경>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85) : 417-440,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