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명재 윤증의 가족사에 대한 인식과 표현 양상 연구 = The research for the aspects of perception and expression on Myungje, Yeun Jeung s family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44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명재 윤증(1629(인조7)-1714(숙종40)) 관련 연구에서 명재의 부친 윤선거의 강도지사(江都之事)와 어머니의 순절은 계속 거론되는 문제이다. 하지만 이는 한 개인의 가족사가 정치이념적인 논리로 이용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정작 명재의 입장에서 이들을 어떻게 평가하고 바라보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특히 명재가 평생 정신적으로 의지하고 살았던 누나에 대한 논의도 영성한 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명재 윤증의 가문 여성 관련 작품과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그의 가족사에 대한 인식과 표현 양상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살아남은 부친, 순절한 모친, 함께 살아온 누나에 대해 명재 윤증이 어떻게 평가하고 수용하였는지를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명재가 감정적인 측면에서 내면을 통제하거나 노출하는 양상이 갖는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당대 정치 세력 사이에서 이루어진 명재 부친의 살아남음과 모친의 순절에 대한 평가는 17세기에 더욱 강화되는 의리 및 열절(烈節)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다. 하지만 명재가 자신의 부친, 모친, 누나의 삶과 죽음을 바라보는 개인적인 입장은 당대 이념적인 기준으로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명재의 가족사에 대한 인식은 당대 정치·이념적인 부분에서는 포착되지 않았던, 명재 개인의 상처와 내면의 슬픔을 감정의 통제와 노출이라는 이중적인 표현 양상으로 드러내고 있다.
      번역하기

      명재 윤증(1629(인조7)-1714(숙종40)) 관련 연구에서 명재의 부친 윤선거의 강도지사(江都之事)와 어머니의 순절은 계속 거론되는 문제이다. 하지만 이는 한 개인의 가족사가 정치이념적인 논리...

      명재 윤증(1629(인조7)-1714(숙종40)) 관련 연구에서 명재의 부친 윤선거의 강도지사(江都之事)와 어머니의 순절은 계속 거론되는 문제이다. 하지만 이는 한 개인의 가족사가 정치이념적인 논리로 이용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정작 명재의 입장에서 이들을 어떻게 평가하고 바라보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특히 명재가 평생 정신적으로 의지하고 살았던 누나에 대한 논의도 영성한 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명재 윤증의 가문 여성 관련 작품과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그의 가족사에 대한 인식과 표현 양상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살아남은 부친, 순절한 모친, 함께 살아온 누나에 대해 명재 윤증이 어떻게 평가하고 수용하였는지를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명재가 감정적인 측면에서 내면을 통제하거나 노출하는 양상이 갖는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당대 정치 세력 사이에서 이루어진 명재 부친의 살아남음과 모친의 순절에 대한 평가는 17세기에 더욱 강화되는 의리 및 열절(烈節)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다. 하지만 명재가 자신의 부친, 모친, 누나의 삶과 죽음을 바라보는 개인적인 입장은 당대 이념적인 기준으로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명재의 가족사에 대한 인식은 당대 정치·이념적인 부분에서는 포착되지 않았던, 명재 개인의 상처와 내면의 슬픔을 감정의 통제와 노출이라는 이중적인 표현 양상으로 드러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research of Myungje Yunjeung, one of the big issues is his father s activity (Gangdozisa) and his mother s dying for loyalty. This is the example that a family s history was utilized for political ideology. Yet there is no research how Myungje himself looked at this issue. Even worse there is very few research on his sister who Myungje soulfully depended on in his whole life. This research studied on Myungje s women family related literature and reviewed on his perception and expressions on his family. By concretely studying Myungje s literatures, we can
      understand Myungje s evaluation and acceptance on a survived father, a dead mother and a contemporary sister. Escpecially, this research contemplat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when Myungje controled or revealed his inner mind in the emotional aspects. The evaluation between political forces on Myungje s family affairs such as a survived father and dead mother was related on 17th century s recognition of the reinforced loyalty and chastity. Yet,
      Myungje s personal position on his family s life and death was understood only by the contemporary recognition. Myungje s perception on his family history was not easily captured from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point of view, but captured from his control or reveal of his inner mind in the emotional aspects.
      번역하기

      In the research of Myungje Yunjeung, one of the big issues is his father s activity (Gangdozisa) and his mother s dying for loyalty. This is the example that a family s history was utilized for political ideology. Yet there is no research how Myungje...

      In the research of Myungje Yunjeung, one of the big issues is his father s activity (Gangdozisa) and his mother s dying for loyalty. This is the example that a family s history was utilized for political ideology. Yet there is no research how Myungje himself looked at this issue. Even worse there is very few research on his sister who Myungje soulfully depended on in his whole life. This research studied on Myungje s women family related literature and reviewed on his perception and expressions on his family. By concretely studying Myungje s literatures, we can
      understand Myungje s evaluation and acceptance on a survived father, a dead mother and a contemporary sister. Escpecially, this research contemplat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when Myungje controled or revealed his inner mind in the emotional aspects. The evaluation between political forces on Myungje s family affairs such as a survived father and dead mother was related on 17th century s recognition of the reinforced loyalty and chastity. Yet,
      Myungje s personal position on his family s life and death was understood only by the contemporary recognition. Myungje s perception on his family history was not easily captured from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point of view, but captured from his control or reveal of his inner mind in the emotional asp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명재 윤증의 가문 여성 관련 기록과 양상
      • 3. 가족사에 대한 인식과 표현 양상
      • 1) 내면의 상처 숨기기
      • (1) 살아남은 부친에 대한 옹호
      • 1. 서론
      • 2. 명재 윤증의 가문 여성 관련 기록과 양상
      • 3. 가족사에 대한 인식과 표현 양상
      • 1) 내면의 상처 숨기기
      • (1) 살아남은 부친에 대한 옹호
      • (2) 순절한 모친에 대한 객관적 제시
      • 2) 내면의 상처 드러내기
      • - 함께 삶을 지탱해 온 누나에 대한 감정 이입
      • 4.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