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교육 관련 규정이 인성교육에 주는 함의 = Implications of Chosun Dynasty’s Educational Regulations on South Korea’s Characte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6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motion of Character Education Act took effect in 2015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still are many confusions as to what constitutes character education.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regulations pertinent to chara...

      The Promotion of Character Education Act took effect in 2015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still are many confusions as to what constitutes character education.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regulations pertinent to character education from Chosun Dynasty. In this study, we analyzed articles regarding character education from codes of law of Chosun Dynasty. In addition we analyzed school regulations regarding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selective schools. We found that both the national policy and school regulations provided clear guidelines for promoting character education at schools during Chosun Dynasty. This implies that even in Chosun Dynasty, schools were responsible for providing proper character to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성교육의 개념과 목표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전통교육에 대해서 보다 정확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인성교육의 기본 방...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성교육의 개념과 목표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전통교육에 대해서 보다 정확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인성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 국가수준의 교육 관련 규정과 학교 현장에서 시행된 인성교육의 실제를 파악하기 위해 학교수준의 교육 관련 규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선시대에도 국가 및 학교 수준에서 다양한 인성교육 노력을 기울여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통교육에서 인성교육이 주로 가정에서 이루어졌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공교육에서 인성교육이 강조되었음이 본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한편, 인성교육 관련 규정의 분석 결과 최근 인성교육에서 강조되는 타인의 이해, 공감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역량 또한 인성교육의 중요한 일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교사목(學校事目) [Hakgyosamok]"

      2 "학교모범(學校模範) [Hakgyomobeom]"

      3 이인재, "학교 인성교육의 체계적 접근과 교사의 역량" 한국윤리교육학회 (39) : 271-300, 2016

      4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 [Toegyeseonsaengmunjip]"

      5 "태학지(太學志) [Taehakji]"

      6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Jeungbomunheonbigo]"

      7 김용환, "조선의 인성교육 범례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7) : 139-157, 2015

      8 김경용, "조선의 교육헌장 -우리 교육의 오래된 미래" (도서출판)원미사 2012

      9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Joseonwangjosillok(Annals of the Joseon Dynasty)]"

      10 박종배, "조선시대 학령 및 학규" 28 (28): 213-237, 2006

      1 "학교사목(學校事目) [Hakgyosamok]"

      2 "학교모범(學校模範) [Hakgyomobeom]"

      3 이인재, "학교 인성교육의 체계적 접근과 교사의 역량" 한국윤리교육학회 (39) : 271-300, 2016

      4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 [Toegyeseonsaengmunjip]"

      5 "태학지(太學志) [Taehakji]"

      6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Jeungbomunheonbigo]"

      7 김용환, "조선의 인성교육 범례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7) : 139-157, 2015

      8 김경용, "조선의 교육헌장 -우리 교육의 오래된 미래" (도서출판)원미사 2012

      9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Joseonwangjosillok(Annals of the Joseon Dynasty)]"

      10 박종배, "조선시대 학령 및 학규" 28 (28): 213-237, 2006

      11 박현준, "조선시대 선악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12 김경용, "조선시대 과거제도 시행의 법규와 실제" 대한교육법학회 16 (16): 1-25, 2004

      13 김경용, "장서각 수집 교육 과거 관련 고문서 해제 권2" 민속원 2008

      14 조정호, "인성교육진흥법의 문제점과 그 원인에 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4 : 421-448, 2016

      15 교육부, "인성교육진흥법"

      16 유한구, "인성교육의 한국적 전통" 10 (10): 135-151, 1996

      17 "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Yulgokseonsaengjeonseo]"

      18 박의수, "유가적 전통에서의 인성교육" 교육문제연구소 (28) : 1-22, 2007

      19 "속대전(續大典) [Sokdaejeon]"

      20 "설월당선생문집(雪月堂先生文集) [Seolwoldangseonsaengmunjip]"

      21 남상호, "서원의 인성교육 - 철학치유의 방법을 찾아서" 인문과학연구소 (49) : 377-406, 2016

      22 "대전회통(大典會通) [Daejeonhoetong]"

      23 "대전통편(大典通編) [Daejeontongpyeon]"

      24 홍신기, "논어에 나타난 교육사상의 전인교육적 의미 탐색" 14 (14): 233-250, 2007

      25 조화태, "교육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26 "경국대전(經國大典) [Gyeonggukdaejeon]"

      27 Roseth, C. J.,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Routledge 213-225, 2015

      28 Lickona, T., "Eleven principles of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25 (25): 93-100,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38 1.31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